목차
권호명 : 1


한결 金允經全集 간행사 / 허웅 = ⅰ
朝鮮文字及語學史
出版記 / 金性洙 = ⅶ
序 / 曺晩植 = ⅸ
Foreword / H.H. Underwood = ⅺ
本書(朝鮮文字及語學史)의 來歷 = xiii
序 / 金允經 = xv
第1篇 緖論
第1章 意思表示의 方法 = 5
第2章 言語의 分類 = 6
第1節 系統的 分類 = 6
第2節 形態的 分類 = 17
第2章 우랄·알타이語族의 特質 = 22
第1節 홀소리의 고룸 = 22
第2節 닿소리의 法則 = 25
第3節 첫소리 規則 = 26
第4節 끝소리 規則 = 27
第5節 월의 構成法 = 28
第4章 朝鮮語의 範圍 = 29
第1節 檀君朝鮮 = 29
第2節 扶餘 = 29
第3節 漢族 朝鮮 = 30
第4節 濊 = 30
第5節 沃沮 = 31
第6節 辰韓 = 31
第7節 馬韓 = 32
第8節 弁韓 = 32
第9節 新羅 = 33
第10節 高句麗 = 34
第11節 百濟 = 34
第12節 渤海 = 34
第13節 高麗 = 35
第14節 耽羅 = 35
第5章 文字의 發生 = 37
第6章 文字의 種類 = 40
第2篇 本論
第1章 訓民正音 創作 以前의 文字 = 45
第1節 傳하지 못한 文字 = 45
1. 三皇內文 = 45
2. 神誌秘詞文 = 45
3. 王文文 = 47
4. 刻木文 = 47
5. 高句麗文字 = 48
6. 百濟文字 = 48
7. 鄕札 = 49
8. 渤海文字 = 51
9. 高麗文字 = 54
第2節 今日까지 傳한 文字 = 55
1. 吏讀 = 55
2. 口訣 = 63
第2章 訓民正音 = 72
第1節 名稱 = 77
第2節 製定의 理由 = 73
第3節 製定의 苦心 = 75
第4節 訓民正音의 本文 = 84
第5節 訓民正音의 性質과 價値 = 141
第6節 系統的, 象徵的, 起源 諸說 = 152
1. 古篆 起源說 = 152
2. 梵字 起源說 = 156
3. 蒙古字 起源說 = 158
4. 梵字와 蒙古字의 起源說 = 159
5. 薜聰 創作說 = 163
6. 了義 創作說 = 163
7. 日本 神代文字 起源說 = 166
8. 象形 起源說 = 177
9. 樂理 起源說 = 178
10. 二十八宿 起源說 = 179
11. 古代文字에 起源됨 = 180
第7節 發布 以來의 變遷의 槪要 = 182
1. 世宗의 實行 奬勵 = 184
2. 世祖 및 그 뒤 歷代의 實行 奬勵 = 187
3. 燕山主의 暴政 = 187
4. 反切과 崔世珍의 訓蒙字會 凡例 = 189
5. 朴性源의 華東正音通釋韻考 凡例 = 194
6. 申景濬의 訓民正音韻解 = 197
7. 洪啓禧의 三韻聲彙 凡例 = 211
8. 洪良浩의 經世正韻圖說 序 = 215
9. 眞言集의 凡例 = 218
10. 黃胤錫의 字母辨 = 220
11. 柳僖의 諺文志 = 229
12. 李圭景의 諺文辨證說 = 244
13. 姜瑋의 東文字母分解 = 246
14. 이 봉운의 「國文正理」 = 253
15. 池錫永 提案의 新訂國文 = 265
16. 權貞善의 正音宗訓 = 267
17. 國文硏究所 委員들의 硏究報告書 = 271
國文 淵源 參互 硏究案(第1回) = 272
魚允迪 = 272
李能和 = 272
權輔相 = 274
李億 = 277
尹敦求 = 277
國文 字體 及 發音의 沿革(第2回) = 277
周時經 = 277
權輔相 = 318
玄櫽 = 326
宋綺用 = 333
李億 = 334
尹敦求 = 337
18. 崔光玉의 「大韓文典」 = 341
19. 兪吉濬의 「大韓文典」 = 353
20. 金熙祥의 「初等國語譜典」과 「울이글틀」 = 369
21. 周時經의 「國語文法」 = 384
22. 周時經 後繼 學說 = 406
(ㄱ) 金某의 「조설말본」 = 407
(ㄴ) 李奎榮의 「現今朝鮮文典」 = 420
(ㄷ) 金元祐의 「朝鮮正音文典」 = 420
(ㄹ) 李奎昉의 「新撰朝鮮語法」 = 422
(ㅁ) 姜邁, 金鎭浩의 「잘뽑은 조선말과 글의 본」 = 430
(ㅂ) 李常春의 「朝鮮語文法」 = 433
(ㅅ) 鄭烈模의 「朝鮮語文法論」 = 446
(ㅇ) 崔鉉培의 「중등조전말본」 = 447
(ㅈ) 其他 學者들 = 456
23. 李弼秀의 「鮮文通解」 = 456
24. 朴勝彬의 「朝鮮語學」 = 468
25. 流宜麟의 「中等學校朝鮮語文法」 = 477
26. 한글의 普及과 發展에 對한 基督敎의 貢獻 = 481
27. 總督府의 綴字法 規定 = 490
28. 朝鮮語學會의 "한글마춤법통일안" = 512


권호명 : 2


29. 最近의 한글 運動 = 545
外來語 表記法 統一案 = 630
30. 한글 硏究材料의 文獻 = 678
註 = 763
새로 지은 국어학사
제1편 서론
제1장 문짜와 문화와 민족의 관계 = 5
제2장 말과 글의 관계와 말의 갈래 = 6
1. 계통적 분류 = 6
2. 형태적 분류 = 8
3. 글(문짜)의 종류 = 10
제3장 우랄 알타이 말의 특질 = 12
1. 홀소리 어울림 = 12
2. 닿소리의 법칙 = 13
3. 첫소리의 규칙 = 4
4. 끝소리 규칙 = 15
5. 월을 짜는 법 = 15
제4장 한국말의 범위 = 16
1. 단군 조선(檀君朝鮮) = 16
2. 부여(扶餘) = 16
3. 한족 조선(漢族朝鮮) = 17
4. 예(濊) = 18
5. 옥저(沃沮) = 18
6. 삼한(三韓) = 18
7. 신라(新羅) = 20
8. 고구려(高句麗) = 21
9. 백제(百濟) = 21
10. 발해(渤海) = 21
11 고려(高麗) = 22
12. 탐라(耽羅) = 22
제2편 훈민정음 이전의 글짜
제1장 전해지지 않은 고대의 글(文字) = 27
1. 삼황내문(三皇內文) = 27
2. 신지비사문(神誌秘詞文) = 27
3. 왕문문(王文文) = 29
4. 나무에 새긴 글 = 29
5. 고구려 글(高句麗 文字) = 30
6. 백제 글(百濟 文字) = 30
7. 항찰(鄕札) = 31
8. 발해 글(渤海 文字) = 32
9. 고려 글(高麗 文字) = 34
제2장 전해진 글 = 35
1. 이두(吏讀) = 35
2. 입겾(口訣, 토) = 39
제3편 훈민정음
제1장 세종대왕과 훈민정음 = 47
1. 만든 까닭 = 47
2. 만들기에 고심한 자취 = 48
3. 노력한 결과 = 49
4. 맞훔법 = 51
제2장 훈민정음의 기원설 = 53
1. 고전 기원설(古篆起源說) = 53
2. 범자 기원설(梵字起源說) = 56
3. 몽고자 기원설(蒙古字起源說) = 57
4. 범자와 몽고자 기원설 = 59
5. 설총(薛聰) 창작설 = 61
6. 요의(了儀) 창작설 = 62
7. 일본 신대문짜(神代文字) 기원설 = 63
8. 상형(象形) 기원설 = 66
9. 악리(樂理) 기원설 = 67
10. 28수(宿) 기원설 = 68
11. 고대문짜(古代文字) 기원설 = 69
제3장 반포 이후의 변천 = 71
1. 문헌의 소실 = 71
2. 세종의 국문 보급 정책 = 72
3. 세조의 국문 보급 정책 = 72
4. 성종의 국문 보급 정책 = 73
제4편 박해받은 훈민정음
제1장 연산주의 국문 말살 정책 = 77
1. 정음 사용 금지령 = 77
2. 금지령의 동기 = 77
3. 금지령 이후의 훈민정음 = 78
제2장 반절과 훈몽자회 = 79
1. 민간에 보존된 정음·반절 = 79
2. 반절에 대한 기원설 = 80
3. 최 세진의 「훈몽자회」범례 = 82
제3장 음운 연구 = 85
1. 박 성원의 「화동 정음 통석 운고」범례 = 85
2. 신 경준의 「훈민정음 운해」 = 87
3. 홍 계희의 「삼운성휘」범례 = 94
4. 이 사질(李恩質)의 학설 = 96
5. 금 영택(琴榮澤)의 학설 = 99
6. 홍 양호의 「경세정운도설」서문 = 101
7. 「진언집」범례 = 103
8. 황 윤석의 "자모변(字母辨)" = 105
9. 정 동유의 학설 = 110
10. 유 희의 「언문지(諺文志)」 = 113
11. 석범(石帆)의 학설 = 117
12. 이 규경의 「언문 변증설(諺文 辯證說)」 = 119
13. 정 윤용(鄭允容)의 학설 = 120
14. 강 위의 「동문자모분해(東文字母分解)」 = 121
15. 노 정섭(盧正燮)의 학설 = 124
제5편 한글의 부흥과 새 연구
제1장 갑오경장과 국문 운동 = 129
1. 국어에 대한 자각 = 129
2. 이 봉운의 「국문졍리(國文正理)」 = 130
3. 지 석영의 "신정국문(新訂國文)" = 132
4. 권 정선의 「정음종훈(正音宗訓)」 = 134
5. 권 정신(標端善) 학설 붙임 = 136
6. 국문 연구소(國文 硏究所) = 139
7. 최 광옥의 「대한문전(大韓文典)」 = 141
8. 유 길준의 「대한문전(大韓文典)」 = 147
제2장 문법 연구의 발전 = 154
1. 주 시경의 국어 문법 = 154
2. 주 시경의 후계학자들 = 159
3. 본 저자의 주장하는 체계 = 257
제3장 한글의 보급과 발전 = 277
1. 총독부의 철자법 규정 = 277
2. 조선어 학회의 "한글 맞훔법 통일안" = 290
3. "조선어 학회"의 표준말 사정 = 309
4. "조선어 학회"이 외래어 표기법 제정 = 310
5. "조선어 학회" 수난 = 311
6. "한글 맛훔법" 파동 = 314
7. 해방 뒤 국어학계의 동향 = 333
부록
1. 한결 年譜 = 345
2. 저작 목록 = 352


권호명 : 3


한글 말본
1. 소리갈(音學) = 3
2. 씨갈(單語學) = 8
3. 씨갈 익힘 = 22
4. 월갈(文章學) = 25
나라 말본(고급용)
제1장 총론(總論) = 45
제2장 소리갈(音聲學) = 48
1. 말소리의 갈래 = 48
2. 닿소리의 갈래 = 49
3. 홑소리의 갈래 = 53
4. 소리의 바꿈 = 55
5. 실사끼리와 실사와 허사의 이음소리 법칙 = 63
6. 어감의 바꿈 = 64
제3장 씨갈(品詞學) = 67
1. 이름씨 = 70
1) 이름씨의 갈래 = 70
2) 이름씨의 쓰임 = 73
3) 이름씨의 바꿈 = 75
4) 이름씨의 어우름 = 76
5) 이름씨의 높임과 낮춤 = 77
6) 이름씨의 보기틀 = 78
2. 그림씨 = 80
1) 그림씨의 갈래 = 80
2) 벗어난 그림씨(變則形容詞) = 81
3) 그림씨의 쓰임 = 88
4) 그림씨의 바꿈 = 89
5) 그림씨의 어우름 = 91
6) 그림씨가 움직씨와 다른 점 = 91
7) 그림씨의 보기틀 = 94
3. 움직씨 = 96
1) 움직씨의 갈래 = 96
2) 벗어난 움직씨(變則動詞) = 103
3) 움직씨의 쓰임 = 113
4) 움직씨의 바꿈 = 114
5) 움직씨의 어우름 = 119
6) 움직씨의 보기틀 = 120
4. 겻씨 = 123
1) 겻씨의 갈래 = 123
2) 겻씨의 높임과 낮춤 = 130
3) 겻씨의 쓰임 = 131
4) 겻씨의 어우름 = 133
5) 겻씨의 보기틀 = 136
5. 이음씨 = 138
1) 이음씨의 갈래 = 138
2) 이음씨의 쓰임 = 142
3) 이음씨의 어우름 = 143
4) 이음씨의 보기틀 = 144
6. 맺음씨 = 146
1) 맺음씨의 갈래 = 146
2) 맺음씨의 높임과 낮춤 = 148
3) 맺음씨의 쓰임 = 152
4) 맺음씨의 어우름 = 153
5) 맺음씨의 보기틀 = 154
7. 토씨의 때매김 = 155
8. 매김씨 = 159
1) 매김씨의 갈래 = 159
2) 매김씨의 쓰임 = 160
3) 매김씨의 보기틀 = 161
9. 어찌씨 = 161
1) 어찌씨의 갈래 = 161
2) 어찌씨의 쓰임 = 164
3) 어찌씨의 보기틀 = 167
10. 느낌씨 = 167
1) 느낌씨의 갈래 = 167
2) 느낌씨의 쓰임 = 170
3) 느낌씨의 보기틀 = 171
11. 가지(接辭, affix) = 172
제4장 월갈(文章學) = 182
1) 월의감 = 182
2) 감의 갈래 = 183
3) 감의 벌림 = 187
4) 감의 줄임 = 188
5) 월의 마디와 그 갈래 = 189
6) 월의 임자붙이와 풀이붙이 = 191
7) 월의 감의 높임의 맞섬 = 192
8) 월의 갈래 = 196
9) 월의 풀이(文의 分解) = 202
10) 월의 그림풀이(文의 圖解) = 207
제5장 붙임말 = 233
나라 말본(고등용)
제1장 총론(總論) = 245
제2장 소리갈(音學) = 261
1. 목소리의 갈래 = 261
2. 닿소리의 갈래 = 262
3. 홀소리의 갈래 = 265
4. 소리의 고룸 = 268
5. 버릇 소리 = 274
제3장 씨갈(單語學) = 277
1. 임씨 = 280
1) 임씨의 갈래 = 280
2) 임씨의 쓰임 = 283
3) 임씨의 바꿈 = 284
4) 임씨의 어우름 = 285
5) 임씨의 높임과 낮춤 = 286
6) 임씨의 보기틀 = 286
2. 얻씨 = 288
1) 얻씨의 갈래 = 288
2) 본 없는 얻씨(變則形容詞) = 289
3) 얻씨의 쓰임 = 295
4) 얻씨의 바꿈 = 296
5) 얻씨의 어우름 = 298
6) 얻씨의 움씨의 다른 점 = 298
7) 얻씨의 보기틀 = 301
3. 움씨 = 302
1) 움씨의 갈래 = 302
2) 본 없는 움씨(變則動詞) = 311
3) 움씨의 쓰임 = 320
4) 움씨의 바꿈 = 321
5) 움씨의 어우름 = 325
6) 움씨의 보기틀 = 327
4. 겻씨 = 329
1) 겻씨의 갈래 = 329
2) 겻씨의 때 = 336
3) 겻씨의 높임과 낮훔 = 341
4) 겻씨의 쓰임 = 342
5) 겻씨의 어우름 = 344
6) 겻씨의 보기틀 = 347
5. 잇씨 = 349
1) 잇씨의 갈래 = 349
2) 잇씨의 때와 높임 = 353
3) 잇씨의 쓰임 = 356
4) 잇씨의 어우름 = 357
5) 잇씨의 보기틀 = 358
6. 맺씨 = 360
1) 맺씨의 갈래 = 360
2) 맺씨의 높임과 낮춤 = 362
3) 맺씨의 때 매김 = 365
4) 맺씨의 쓰임 = 371
5) 맺씨의 어루름 = 373
6) 맺씨의 보기틀 = 373
7. 언씨 = 375
1) 언씨의 갈래 = 375
2) 언씨의 쓰임 = 376
3) 언씨의 보기틀 = 376
8. 억씨 = 376
1) 억씨의 갈래 = 377
2) 억씨의 쓰임 = 379
3) 억씨의 보기틀 = 381
9. 늑씨 = 382
1) 늑씨의 갈래 = 382
2) 늑씨의 쓰임 = 384
3) 늑씨의 보기틀 = 385
10. 더음(接辭, affix) = 386
1) 더음의 갈래 = 386
2) 더음의 보기틀 = 395
제4장 월갈(文章學) = 398
1) 월의 감 = 398
2) 감의 갈래 = 399
3) 감의 보기틀 = 403
4) 감과 씨의 관계의 보기틀 = 404
5) 감의 벌임 = 405
6) 감의 줄임 = 406
7) 월의 마디와 그 갈래 = 407
8) 월의 임자 붙이와 풀이 붙이 = 408
9) 월의 감의 높임의 맞섬 = 410
10) 월의 갈래 = 412
11) 월의 풀이(文의 分解) = 418
12) 월의 그림 풀이(文의 圖解) = 425


권호명 : 4


「龍飛御天歌」강의
제1장 - 제125장 = 3
국어학 관계 논문
1. 「용비어천가」에 나타난 옛말의 변천 = 193
2. 국어학의 기초 문헌 해제 = 229
3. "ㅿㆆㆅㅱㅸㅹㆄᄛ·"들의 소리값 = 315
4. 훈민정음에 대한 몇 가지 고찰 = 331
5. 훈민정음의 장점과 단점 = 342
6. 訓民正音 = 353
7. 訓民正音 創作에 대한 異說 = 356
8. 훈민정음 발표의 사정 = 370
9. 말의 변천과 분화 = 382
10. 문자 체계의 전통 = 402
11. 한글 발전사 = 421
12. 퉁구스 말 = 428
13. 말·글·인쇄술의 발달과 사회 문명의 발달 = 443
14. 세종 대왕과 훈민정음 = 456
15. 세종 임금의 훈민정음과 주시경 선생의 국어학 = 462
16. 민족과 문화와 문자의 연쇄적 관계 = 467
17. 말은 종합적에서 분석적으로 발전한다 = 474
18. 우리말의 씨를 어떻게 가름이 옳은가? = 495
19. 말본의 씨가름으로 본 세 가지 학설 = 510
20. "배재"가 낳은 위대한 국어학자 주시경의 학설 = 518
21. 우리 말소리와 발음 = 537


권호명 : 5


1. 한글 학회와 한글 운동의 역사 = 3
2. 우리글의 변천과 한글 운동 = 103
3. 한글의 걸어온 길 = 113
4. 왜정 때 한글 운동의 희고 = 130
5. 조선어 학회 수난기 = 141
6. 성서가 국어에 미친 영향 = 161
7. 그리스도교와 한글 = 191
8. 한글과 기독교의 공헌 = 199
9. 성경의 표준판과 한뫼 이 윤재 선생 = 204
10. 바른 언어 생활 = 210
11. 말본 통일 문제 시비 = 215
12. 우리글의 가치를 찾자 = 222
13. 한글 가로쓰기의 필요성 = 229
14. 문짜와 문화 = 234
15. 해방 전과 후의 남의 말의 찌꺼기 = 237
16. 우리말에 對한 常識 = 240
17. 국어 정리의 여러 문제 = 246
18. 한글 전용을 생활화하자 = 256
19. 한글을 전용해야 한다 = 264
20. 한글 전용을 위한 우리의 정신적 태도 = 274
21. 한글 전용의 필요성 = 295
22. 한글 전용에 관한 나의 주장 = 302
23. 한글 전용과 한자 약자 = 307
24. 한글의 전용 문제 = 310
25. 한글만 쓰기를 찬성한다 = 323
26. 우리말 큰 자전 편찬 사업적 걸어온 길 = 327
27. 국어학사상으로 본 「큰 사전」 = 331
28. 옳고 유익한 한글 전용 = 336
29. 언어미는 어떻게 이루어지나 = 340
30. 바른 말 쓰기에 힘쓰자 = 349
31. 잘못 적거나 말하기 쉬운 말 = 360
32. 희화의 미화에 대하여 = 368
33. 방송과 국어의 정화 = 372
34. 귀로는 보지 못한다 = 378
35. 가장 아름다운 말 열 가지 = 380
36. 외국어의 딘무 = 385
37. 조선말과 글에 바루 잡을 것 = 388
38. 조선어 학회 사건 회고 = 405
39. 우리의 보고 - 한글 학회 = 410
40. 맞춤법 개정에 관하여 = 413
41. 국무총리 훈령 제8호의 시비 = 423
42. 문교부의 한글 간소화안을 읽고 나서 = 427
43. 한글 간소화 방안 검토 = 437
44. 문교부의 한글 간소화안 비판 = 451
45. 무궤도한 국어 정책 = 468
46. 국어 정책에 대한 나의 글을 읽은 이의 글을 읽고 = 470
47. 깨어진 말본 통일안 강제 시행의 의도는? = 472
48. 정음 창제의 공적과 갈피 못 잡는 국어 정책 = 475
49. 한글 綴宇法 改革令을 圍繞하는 對談 = 480
50. 한글 박대를 통탄함 = 501
51. 문화의 개성의 보존과 발전·전파 = 502


권호명 : 6


1. 나의 인생관 = 3
2. 6·25와 나의 피난 = 15
3. 연두 기원 = 19
4. 인류를 위한 축원= 22
5. 나의 부부생활 50년 = 24
6. 인격 수양은 인생의 목적 = 29
7. 병신년을 보내면서 = 32
8. 인생 지상의 행복은? = 37
9. 덕(德) = 41
10. 물의 공덕 = 52
11. 인생의 모순 = 56
12. 준법 정신으로 살자 = 61
13. 사랑·자유·평등 = 63
14. 모순 생활을 없애기에 힘쓰자 = 66
15. 역사의 교훈 = 75
16. 거듭나자 = 79
17. 어머니를 그리는 마음 = 101
18. 학생에게 주는 말 = 110
19. 졸업생에게 주는 글 = 113
20. 사필귀정 = 118
21. 단결(團結) 이라는 것 = 136
22. 배움과 인격 완성 = 143
23. 나의 인생과 나의 학문 = 151
24. 책 읽는 방법 = 155
25. 젊은 세대에게 = 157
26. 한국 대학생의 나아갈 길 = 159
27. 人生觀 = 164
28. 眞理生活 할 만한 人格者 = 168
29. 人生과 宗敎 = 170
30. 人生의 目的 = 177
31. 人格의 涵養 = 186
32. 내가 여학교를 졸업한다면 = 192
33. 戀愛觀 = 193
34. 座右銘 = 198
35. 婦人 運動과 人格 問題 = 199
36. 宗敎 撲滅에 對하여 = 202
37. 가는 분, 오는 분 = 214
38. 흥사단 창립 42주년의 기념사 = 228
39. 삼일 정신 = 237
40. 4·19 학생 의거의 뜻 = 249
41. 4·26 민주 혁명의 위력 = 260
42. 학원의 민주화 운동 = 264
43. 비정상적 사회 현실 = 274
44. 여자의 옷차림 = 284
45. 느껴지는 몇 가지 = 286
46. 농촌 지도자들에게 = 292
47. 강자와 약자 = 296
48. 오늘의 현실과 나의 심경 = 298
49. 모순 생활의 고민을 벗는 방법 = 303
50. 교육가로서의 긍지 = 305
51. 우리 민족 교육의 갈 길 = 307
52. 학원 정화 운동 = 315
53. 왜 우리는 남처럼 잘 살지 못할까? = 321
54. 日本은 對答하라 = 323
55. 학생 활동과 대학 = 326
56. 주체성 확립과 노력 = 330
57. 부인 직업 문제 = 332
58. 女子의 努力이 얼마나 큰 것을 自覺하라 = 339
59. 婦人 問題의 意義와 婦人 運動의 由來 = 349
60. 地方熱 云云하는 者부터 制裁하자 = 359
61. 학생 풍기 문란 대책 = 361
62. 靑年의 讀書와 自修養을 權함 = 363
63. 現代 우리 社會의 急務는 形而上學인가 形而下學인가 = 367
64. 敎育의 目的 = 376
65. 성에 대한 지식을 주자는 데 찬성함 = 391
66. 가치 있는 삻을 닦자 = 393
67. 교육의 목적을 깨뜨리는 입학시험 제도를 폐지하라 = 401
68. 바른 학풍을 세우자 = 414
69. 나의 학창시대 회고 = 418
70. 나의 학창시대 = 420
71. 6·25와 회복할 수 없는 나의 손실 = 431
72. 인생의 행복과 문화의 향상은 독서로써 보장된다 = 434
73. 국어 연구와 나 = 438
74. 국어 학자로서 밟아 온 길 = 443
75. 학자로서의 고민 = 453
76. 8·15 전후의 일기에서 = 460
77. 나의 先生님을 紹介합니다 = 477


권호명 : 7


1. 주 시경 선생 전기 = 3
2. 독서는 정신의 양식이다 = 27
3. 사회의 심사에도 합격하라 = 30
4. 학자가 되려면 어떠하여야 할까 = 31
5. 격동기에 있어서의 지성인의 사명 = 36
6. 서재 수상 = 40
7. 생각나는 대로 = 41
8. 파란곡절의 중첩 = 47
9. 새옹마의 운수 = 50
10. 인상에 남는 일들 = 53
11. 한글과 여성 = 65
12. 김 안국의 일화 = 67
13. 황 진이 이야기 = 75
14. 신학문에의 동경 = 81
15. 培花를 떠나아 東京에 가아서 = 83
16. 「신학 논단」에 줌 = 88
17. 보배 = 90
18. 창간을 빌며 붙이는 글 = 94
19. 暮鐘 = 98
20. 農村 = 102
21. "東問西答"이지만 = 113
22. 질의 응답 = 114
23. 문답 - 선생님의 여름 = 115
24. 世界的 覺醒 運動에 一臂之役 = 117
25. 서울을 무엇이라 할까? = 118
26. 김 일성 별장에서의 하루 = 120
27. 한국을 이해하는 일본 학자 = 126
28. 4·19 일 년을 맞아 옳은 일은 끈기 있게 = 129
29. 단양 8경과 영춘 기행문 = 131
30. 관동 8경과 설악산 기행문 = 136
31. 제주도 기행 = 160
32. 전라 남북도와 경남 여행기 = 174
33. 한일 회담 문제 = 195
34. 왜정 때 거족적 항일 운동의 3대 사건 = 198
35. 8·15를 회고함 = 206
36. 우리 민족의 주체성은 어떠하였는가 = 209
37. 歷史的으로 본 平壤 = 221
38. 敎育主義의 種類 = 226
39. 中世 哲學과 基督敎 = 233
40. 歐羅巴의 學校의 由來 = 251
41. 偉大한 猶太人 = 263
42. 金剛山 探勝 嚮導記 = 287
43. 李朝의 敎育機關 = 301
44. 年中 舊俗 = 306
45. 동우회 수난기(同友會受難記) = 350
46. "大唐平百濟國碑"에 대하여 = 368
47. 北漢의 眞興王 巡狩碑 = 377
48. 北漢眞興王巡狩碑 建立年代 推定에 對한 崔益翰氏의 答을 읽고 = 392
49. 한국의 교육계의 은인 원 박사를 애도함 = 410
50. 환산 이 윤재 언니를 그리워함 = 414
51. 슬기로움 온 누리에 = 420
52. 춘원과 수양 동맹회 = 423
53. 동우회 사건과 김 병로 변호사 = 426
54. 민족 정기의 모범자 도산 안 창호 = 435
55. 도산의 생애와 독립 운동 = 447
56. 박 의장에게 드리는 연하장 = 450
57. 월인천강지곡에 나타난 세종 임금의 주체성 = 451
58. H 누이님에게 = 461
編輯 後記 = 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