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그림 목록
표 목록
약어 목록

1. 개관
1.1 굴절의 격
1.2 다른 표현
1.2.1 호응의 격
1.2.2 비-명사의격
1.2.3 호격
1.2.4 지배받지 않는 격
1.2.5 분석적 격 표지
1.3 경쟁 기제
1.3.1 머리어 표시
1.3.2 어순
1.3.3 부사와 관계 명사
1.3.4 소유 형용사
2. 격 체계 기술의 문제
2.1 전통적 분석
2.2 격 구별
2.2.1 분포적 접근
2.2.2 비-자율적 격
2.2.3 형식적 접근
2.2.4 요약
2.3 의미와 기능
2.3.1 주격 대 사격
2.3.2 문법적 격과 의미적 격
2.3.3 보어와 부가어
2.3.4 격 자질
2.3.5 요약
3. 격에 대한 현대적 접근
3.1 도입
3.2 문법적 관계
3.2.1 하나의 격 내의 상이한 문법적 관계
3.2.2 핵심 구서의 갈등 체계
3.2.3 문법적 관계로서 SP의 지위
3.3 추상적 격
3.4 의미적 역할과 문법적 관계
3.4.1 P a¯ nini와 k a¯ raka 이론
3.4.2 Fillmore
3.4.3 관계 문법
3.4.4 국부적 격 문법
3.4.5 Starosta의 어휘격
3.5 위계
3.5.1 문법적 관계
3.5.2 격
3.5.3 표시
3.5.4 역할
4. 격 표시의 분포
4.1 도입
4.2 절 내에서
4.3 명사구 내에서
4.3.1 내적 관계
4.3.2 외적 관계
4.4 단어 내에서
4.4.1 표시의 유형
4.4.2 어간 형성 요소
4.4.3 복합 격 표시
4.4.4 다중격
4.5 종속절 내에서
4.5.1 내적 관계
4.5.2 외적 관계
5. 격 표시에 대한 연구
5.1 도입
5.2 핵심적 관계의 조직
5.2.1 대격 체계
5.2.2 능격 체계
5.2.3 능동 체계
5.2.4 혼합 체계
5.2.5 직접-역 체계
5.2.6 핵심 표시의 해석
5.3 여격
5.4 소유격
5.5 부분격
5.6 위치의 격
5.7 다른 격
5.8 굴절 격 위계
6. 격 체계들의 수명 주기
6.1 기원
6.1.1 동사가 격 표지로
6.1.2 명사가 격 표지로
6.1.3 부사적 분사가 격 표지로
6.2 격 체계 내에서의 발전
6.2.1 음운적 요소
6.2.2 비음운적 요소
6.3 격 표지의 상실
6.4 격 표지의 파생 기능
용어 안내
더 읽을 거리
참고 문헌
영한 용어 대조
주제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