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서론
제1부 조선전기의 의료정책과 의관층의 형성
조선초기 의서습독관의 운영과 활동
1. 머리말
2. 의서습독관제도의 실시와 사례
3. 의서습독관제도의 강화와 갈등
4. 의서습독관들의 활동과 그 귀추
5. 맺음말
15세기 의료정책의 전개: 통유론과 직분론의 대립과 절충
1. 머리말
2. 건국초기의 의료관서 강화
3. 세종~성종대 의료진흥정책의 추이
4. 맺음말
성종대 이후의 의관층 동향 : 관료제와 신분제의 충돌
1. 머리말
2. 양인의관층의 성장 방향
3. 천인의관층의 처지와 목표
4. 맺음말
제2부 조선전기의 성리학과 의료의 관계
몸의 소비: 조선전기의 인육치료
1. 머리말
2. 인육치료의 연원과 양상
3. 인육치료 유행의 의미
4. 맺음말
조선초기의 성리학적 의료관과 의료의 위상
1. 머리말
2. 생리론: 음양오행이 몸을 이룬다
3. 병인론: 질병은 죄악이다
4. 치료론: 건강하려면 이치에 순응하라
5. 맺음말
조선전기 의료기구 개편의 성격과 그 의의
1. 머리말
2. 의료기구 개편의 추이
3. 의료기구의 운영 양상
4. 의료기구 개편의 함의
5. 맺음말
제3부 조선전기의 질병 양상과 그 영향
고려와 조선전기 중풍의 사회사
1. 머리말
2. 중풍 지식의 수용
3. 중풍 인식의 확산
4. 중풍 관념의 정착
5. 맺음말
『향약집성방』의 편찬과 질병의 창출
1. 머리말
2. 『향약집성방』의 편찬 과정
3. 『향약집성방』의 체재와 질병의 창출
4. 맺음말
중종 19~20년의 전염병 창궐과 그 대응
1. 머리말
2. 전염병 발생과 관례적 대응
3. 전염병 확산과 의료적 대응
4. 전염병 치성과 정치적 대응
5. 맺음말
제4부 조선전기의 약재 개발과 활용
조선전기 감초의 토산화와 그 의미
1. 머리말
2. 감초의 활용 양상과 재배 착수
3. 감초 재배의 갈등과 토산화 성공
4. 맺음말
세종대 향약 개발의 두 방향
1. 머리말
2. 향약 실태의 조사
3. 향약 약성의 이해
4. 향약 증산의 독려
5. 맺음말
위령선을 통해 본 동아시아 본초학의 한 사례
1. 머리말
2. 위령선 치료의 기원과 지식의 축적 과정
3. 한국과 일본에서의 위령선 활용
4. 맺음말
결론
부록
1. 조선시대 의서습독관 명단
2. 『향약구급방』의 중풍 처방과 출전 비교표
3. 중국의 위령선 기록 일람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