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상고시대의 의약사
1. 원시시대의 의약학
2. 신정시대의 의약학

Ⅱ. 고조선의 의약사

Ⅲ. 삼국시대의 의약사
1. 한의약서의 수입
2. 불교의 전래와 승의약학. 인도의 의약학
3. 삼국시대의 본초학
4. 고구려(기원전~668)의 의약학
5. 백제(기원전~660)의 의약학
6. 신라(기원전~661)의 의약학

Ⅳ. 통일신라시대의 의약사
1. 의약제도
2. 의약서의 발행
3. 본초학

Ⅴ. 고려시대의 의약사
1. 의약관계관제
2. 의약관의 사회적 및 경제적 지위
3. 의약학교육과 과거제도
4. 약물의 교류
5. 의약인의 교류와 의약서의 전래·간행
6. 「선화봉사고려도경」의 의약사
7. 의약서의 편집과 발행

Ⅵ. 조선시대의 의약사
1. 의약관계관제
2. 의약학교육
3. 의약인의 등용
4. 의녀
5. 의약인의 신분과 사회적지위
6. 「경국대전」에서의 의약제도
7. 외국과의 의약교류
8. 연초의 전래
9. 역려의 구료와 구황
10. 향약이용의 권장 및 감별
11. 외국산약재의 재배
12. 입진·문안
13. 온천욕·초수·한증욕
14. 약령시와 약령장정
15. 납약과 언해납약증치방
16. 본초학
17. 서양의약학의 전래
18. 인삼과 금제
19. 동의수세보원과 사상의설
20. 이규준의 부양론
21. 의서와 그 간행

Ⅶ. 대한제국시대의 의약사
1. 의약사행정
2. 관내부의 의약사
3. 군부의 의약사
4. 병원관제 및 의약학교육
5. 위생방해률
6. 삼정
7. 전염병 및 그 대책
8. 축산·수의학
9. 기타사항

Ⅷ. 일본강점하의 의약사
1. 의약행정
2. 이왕직관제
3. 병원관제
4. 의약학교육
5. 마약행정
6. 삼정
7. 방역
8. 위생·음식물
9. 수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