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서장 의학사의 개념과 필요성
세계의학사 속의 한국의학사
의학사의 개념과 대상
의학사의 필요성

1장 선사시대 의학
선사시대 질병과 치료
삼한의 의료 풍습

2장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시대 의학
삼국의 의학
삼국시대 역병의 유행과 대응책
신라 의학의 발전
7세기 통일전쟁과 군사의학
통일신라시대 의학의 발전

3장 고려시대 의료체제와 의학
고려시대 의료체제
질병과 치료
고려 후기 민간의료의 성장

4장 조선 전기 국가 중심의 의학 정립
국가의 의료 기능 강화
향약의 장려
『의방유취』 편찬
의사 양성
전문 분과의 발달

5장 조선 중기 ‘동의’의 성립
조선의학의 혼란
『동의보감』의 출현
치료기술의 다양화
민간의학의 확대
교양인의 지식, 의학

6장 조선 후기 의학의 다양화
조선의 주류 의학이 된 『동의보감』
마진학의 발전
서양의학의 도입
의학 이론의 다양화
의료 환경의 변화와 의사

7장 개항 이후 서양의학과 한의학의 발전
인두법과 우두법의 도입
제중원의 설립과정
내한 선교의사들의 병원 개설과 활동
개항 이후 의약업의 성장과 발전

8장 대한제국기 근대적 의료체계의 구축
검역주권의 확립과정과 법정전염병의 제정
대한제국의 위생행정
의학교의 설립과 운용
내부병원 및 광제원의 설립
의사단체의 결성과 의사독립운동

9장 일제강점기 전기 식민지의료체계의 형성
동인회의 조직과 활동
대한의원과 식민지의료체계의 확립
위생경찰의 활동
일제강점기의 의학교육
일제의 의료법규 제정

10장 일제강점기 후기 식민지의료체계의 변화와 한의학
「의생규칙」과 일제강점 초기의 한의학정책
1930년대 한의학정책의 변화
한의학 부흥 논쟁
전시체제하의 의료정책

11장 해방 이후 한국 현대의료의 형성
해방과 미군정의 보건의료정책
한국전쟁과 의료
1950년대 의료 문제와 해결 노력
해방 후 한의학의 재건과 과학화
약장수와 돌팔이 의사의 유행

12장 경제개발과 의료 환경의 변화
가족계획사업과 경제 성장
의료보험의 실시와 의료계의 변화
약사와 제약산업의 성장
사라져가는 의료인

13장 현대 한국사회의 의료와 전망
사회 변동과 의료 환경의 변화
의료제도와 기관의 정비
의료직종의 직역 갈등
윤리 문제의 대두
질병에 대한 도전
전망과 과제

14장 북한 보건의료체제의 형성과 발전
사회주의 의료제도의 기반 구축기(1945~1957)
사회주의 의료제도의 수립(1958~1971)
사회주의 의료제도의 공고화(1972~1990)
사회주의 의료제도의 쇠퇴(1991~현재)

한국의학사 연표
더 읽을거리
찾아보기
사진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