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총론
1. 국어 연구사의 시대 구분
2. 이조 국어학과 철학관
3. 근대 국어학과 철학관
4. 현대 국어학과 철학관

본론
제 1 장 15 세기의 국어학과 역(易) 사상
1.1 "訓民正音解例" 의 분석
1.1.1 조음 음성학과 변별적 자질의 범주론 : 역자질(易資質)과 조음적(調音的)자질
1.1.2 초성 체계와 변별적 자질
1.1.3 중성(단모음) 체계와 변별적 자질
1.1.4 얹힘 음소 체계와 변별적 자질
1.1.5 음소관(音素觀)
1.1.6 생성철학관(生成哲學觀) : 역관(易觀)
1.1.6.1 생성철학의 개념
1.1.6.2 자음 글자의 생성관
1.1.6.3 모음 글자의 생성관
1.1.6.4 음절(音節) 자의 생성관
1.1.7 "訓民正音解例"의 역사적 의의

제 2 장 18 세기 국어학과 역(易)사상
2.1 崔錫鼎의 "經世訓民正音圖說"과 역리(易理)
2.1.1 국어학연구사 상의 "經世訓民正音圖說"
붙임 : 崔世珍, "訓蒙字會"와 국어교육
2.1.2 崔錫鼎, "經世訓民正音圖說" 분석
2.1.3 "訓民正音" 의 역(易)이론
2.1.4 초성의 역 이론과 변별적 자질론
2.1.5 중성과 역 생성론(易生成論)
2.1.6 종성(終聲)에서의 이합종성(二合終聲)설의 효시
2.1.7 "律呂相乘配合成字圖"와 역리적 수리론(易理的數理論)
2.1.8 "聲分平上去入圖"와 "音分開發收閉圖"에 나타난 음양순환 호장론(互藏論)
2.1.9 요약

2.2 申景濬, "訓民正音韻解"
2.2.1 현대 언어학적인 음소관(ㄱ) : "韻"의 정의
2.2.1 음소관(ㄴ) : 음소와 음성 및 글자 개념의 혼동
2.2.3 음운학 및 역학적 언어관
2.2.4 요약

2.3 李思質, "訓音宗編"
2.3.1 생애와 역관(易觀)
2.3.2 학문과 역관
2.3.3 요약
2.4 柳僖의 "諺文志"와 분포 구조(分布構造)
2.4.1 "諺文志"의 내용 분석
2.4.2 "諺文志"의 국어 연구사적 의의
2.4.2.1 역철학(易哲學)의 동요
2.4.2.2 음소(音素) 정립의 효시 : 유 개념(類槪念)과 대립 개념(對立槪念)의 인식 : 기술 구조주의(記述構造主義)
2.4.2.3 음성의 분포(distribution)관 : 경험주의(經驗主義) 언어관
2.4.2.4 접촉의 구조(contactic structure)인식
2.4.2.5 분석(分析)과 계열(set) 이동의 인식
2.4.2.6 형태론(形態論)의 인식

2.5 權靖善의 "音經"과 역관(易觀)
2.5.1 "音經"의 역관(易觀)
2.5.2 요약

제 3 장 이조 국어학의 철학의 요약
제 4 장 근대 국어학과 언어관
4.1 갑오경장과 근대 인문과학의 성립
4.2 근대(초기) 국어학의 형성
4.2.1. 崔光玉의 "大韓文典"의 사상과 언어관
4.2.1.1. 국어학의 민족주의
4.2.1.2. 단음(單音)에 대한 인식
4.2.1.3. 규범 문법학의 출현과 의미·기능주의 언어관
4.2.1.4. 분석성(analytic)
4.2.1.5. 구조적 인식

4.2.2. 兪吉濬의 "大韓文典"
4.2.2.1. 민족주의 사상적 배경
4.2.2.2. "大韓文典"은 규범문법
4.2.2.3. 사상 표출의 두 가지 수단의 인식
4.2.2.4. 의미·기능주의 언어관
4.2.2.5. 분석적 판단
4.2.2.6. 구조의 변화(構造變化) 인식과 논리학(論理學)의 개입
4.2.3. 周時經의 국어학
4.2.3.1. 신학문과 민족 자존 실천의 국어관
4.2.3.2. "國語文法"은 규범문법
4.2.3.3. 근대 조음 음성학과 음성 배합론의 효시
4.2.3.4. 물리학(物理學)적 배경과 얹힘 음소(suprasegmental features)의 인식 4.2.3.5. 말의 소리 법칙의 발견과 형태음소론(morphophonemics)의 태동
4.2.3.6. 분석주의와 분석적 구조체계의 확립
4.2.3.7. 품사 분류 체계의 비판
4.2.3.8. 문장 구조의 직접 구성요소 분석(IC분석)과 변형성 제시
4.2.3.9. 요약

4.3. 주시경 이후의 학맥과 삼대 학파
4.3.1. 종합적 분석파와 최현배의 "우리말본"
4.3.1.1. "우리말본"과 민족사상
4.3.1.2. "우리말본"의 새로운 말본관
4.3.1.3. 말소리갈(音聲學)과 조음 음성학의 확립
4.3.1.4. 품사 체계의 종합적 분석성
4.3.1.5. 논리성과 잡음씨 설
붙임 : 12시제(時制)관
4.3.1.6. 월갈(文章論)의 심리학적 정의
4.3.1.7. 월(文)의 구성 요소와 비판
4.3.1.8. 월의 성분과 "기본" 의식
4.3.1.9. 월의 조각의 맞음(對應)과 공존(共存, Co-occurrence)관계
4.3.1.10. 요약
4.3.2. 분석파의 계승
4.3.3. 김윤경, "조선말본"과 언어관
4.3.3.1. 언어 문자와 국가 성쇠와의 함수관계(函數關係) : 민족주의
4.3.3.2. 말본 연구의 통시관(通詩觀)
4.3.3.3. 규범적 언어관의 시사
4.3.3.4. 분석주의 체제의 시사
4.3.3.5. 월(文章)의 정의의 특이성
4.3.4. 김윤경, "나라말본"과 언어관
4.3.4.1. 규범적 언어관의 재 천명
4.3.4.2. 생리적 음성관
4.3.4.3. 분석주의 문법체계의 확립과 기계주의(機械主義)
4.3.4.4. 요약
4.3.5. 종합주의와 정열모 "신편 고등국어문법"
4.3.5.1. 논리적(論理的) 이론 및 기술적(記術的)방법
4.3.5.2. 말의 본질 : 심리학적 이해 : 나와 상대의 동질적인 소리의 마음표(心象)
4.3.5.3. 말본의 양면성 : 속 법칙(內部法則)과 겉 법칙(外部法則)을 가진 말의 규범
4.3.5.4. 사상(思想) 형성의 두 가지 다리 : 관념(觀念)과 단정(斷定)에서 오는 통합관(統合觀)
4.3.5.5. 문법학의 범주 : 낱뜻론(辭論)과 감말론(詞論) - 소리갈을 뺌
4.3.5.6. 감말의 분류의 종합관과 철학관
4.3.5.7. 직접 구성요소의 분석(直接構成要素分析, IC cut)
4.3.5.8. 문장 변형 의식
4.3.5.9. 요약

제5장 맺는말
1. 이조국어학
2. 근대국어학
3. 현대국어학
참고문헌
찾아보기 = 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