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xi

1부
한국어의 규범 생성 문법 시론 / 전수태
1. 문법 규칙 = 8
2. 대상 본문 = 16
이야기 형식의 한국어 문법 기술 시고 / 최호철
1. 머리말 = 27
2. 주어진 단어를 이용한 텍스트의 완성 = 33
3. 이야기 형식의 문법 규칙 기술 = 42
4. 맺음말 = 52
신국어문법의 기초를 위한 시안 / 이윤표
1. 국어에 대한 신기초문법을 작성하는 의의 = 55
2. 문법 기술 방식 = 56
3. 문법 기술의 실제 = 58
규범생성문법에 기초한 한국어문법의 설계 / 최경봉
1. 문법 기술 방안 = 83
2. 문법 기술 = 84

2부
우리말의 규범생성문법에 대하여 / 김민수
1. 構造言語學과 生成言語學 = 98
2. 變形生成文法과 規範生成文法 = 100
3. 規範生成文法의 구성과 전망 = 103
파니니 文法과 우리말의 規範生成文法 / 전수태
1. 머리말 = 109
2. 파니니 文法의 記述 방법 = 111
2.1. 語彙 총량적 문법 = 111
2.2. 包括的 기술 = 113
2.3. 暗誦을 위한 문법 = 116
2.4. 基底構造와 表面構造 = 119
2.5. 關聯條項 제시 = 121
2.6. 記號言語 사용 = 123
3. 한국어의 규범생성 文法 실험 = 126
3.1. 기초 어휘 확립 = 126
3.2. 규범 생성적 실험 = 134
4. 앞으로의 과제 = 143
漢譯 佛經 속의 古典梵語文法과 고대국어의 수용에 대하여 / 이준석
1. 古代國語와 梵語의 受容 = 147
2. 佛經의 漢譯化와 印度 言語學 = 153
2.1. 佛經의 結集과 漢譯 = 153
2.2. 譯經僧들의 梵語 學習과 베다(Veda), 聲明, 悉曇 = 156
2.3. 譯經僧들이 학습한 古典梵語文法의 실제 = 165
3. 高麗大藏經에 나타난 譯經僧 = 171
4. 結論 = 174
古典文法學發達要論 / 金秀娥(素雲) = 177

기초어휘(안) = 221

찾아보기 = 265

후기 = 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