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한국문학의 역사와 전통

국문학의 개념 규정을 위한 제언 = 9
한국의 고전문학 = 22
한국문학사에 있어서의 근대문학의 성립 과정 = 63
한국 근대문학의 기점(대담) = 100
한글과 국문학 = 114
우리 문학의 전통과 인습 = 126
해학의 전통성 = 141
국문학에 나타난 효 = 158
불교사상과 한국문학 = 175
불교와 국문학 = 185
국문학과 유교사상 = 190
민속예술의 개념 = 194
민속극(대담) = 198
규방문학(대담) = 206

제2부 국문학 연구의 방향

고전문학 연구의 과제와 전망 = 217
국문학 연구의 당면 과제 = 229
장르 체계의 혼효 = 233
민속예술과 국문학 = 237
고전과 현대문학의 제 문제 = 239
국문학의 비평적 연구 방향 = 247
국학과 동양학의 재평가 = 257
정지 끝낸 국문학 연구 = 268
고전문학 연구 반세기 = 284
국문학자의 계보 = 322
국문학 연구 학풍 30년 = 335
나의 학사논문 작성시절 = 340

제3부 고전의 현대적 의의

고전문학의 순화 문제 = 353
고전과 현대인 = 360
고전의 현대화 논의 = 364
고전 존중의 참뜻 = 377
고전 교육의 방향 = 380
고전문학과 오늘의 문학(대담) = 385
한국인의 해학 - 닭타고 가겠다 = 394
한국 여성의 미 - ''안'' 볼 ''겉'' = 398
한국인의 미의식 - 작은 골무에도 = 402
입성과 먹새의 멋 - 구수한 숭늉 맛 = 406
한국인의 멋 - 너그러운 백성 = 410
전통 예술에 나타난 두루미 = 414
강같은 은근, 산같은 끈기 = 419
민속예술 계승의 신국면 = 424
전통음악의 현대화 논의 = 429
우리 춤과 문학(대담) = 437
찾아보기 = 4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