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장 총론: 한양의 인구분포와 여성의 삶
'한양'의 도시공간 속 여성의 삶 = 10
17세기 한성부 <북부장호적> 속 여성주호들 = 15
18~19세기 한성부 준호구 속 여성주호들 = 24
17세기 후반~20세기 초 한양의 여성 인구 추이 = 28
그 많은 한양 여성들은 어디서 무엇을 하며 살았을까? = 34

2장 왕비의 친잠의례 장소, 선잠단과 채상단 =
조선의 국모 왕비, 양잠을 장려하고 친잠의례를 행하다 = 44
선잠제를 지내더너 곳, 선잠단 = 50
채상단, 왕비가 뽕잎을 따던 곳 = 57
최초의 친잠례, 성종 8년(1477)에 시행하다 = 66
친잠의례의 완성, 영조43년(1767) '정해친잠' = 73
대한제국기에도 친잠의례는 계속 되었다 = 84

3장 한양 여성의 출산과 의료현장 속 산파와 의녀
다산이 곧 다복이었던 시대를 살았던 한양 여성 = 94
한양 여성의 출산과 질병, 그리고 죽음의 양상 = 100
한양에서 태어난 왕비 = 104
궁궐 안 출산공간과 왕실 출산을 돕는 여성 = 111
궁가와 양반가 여성의 출산 공간 = 125
"산파에게는 급료를 지급하라": 산파는 과연 누구인가? = 132
남녀유별의 시대, 의녀의 탄생 = 137
조선 최고의 여의사, 내의녀가 되기까지 = 139
왕실 내의녀의 의료 현장 속으로: 치료, 간호, 간병 = 142

4장 한양 여성의 종교생활
한양 경관 속의 랜드마크, 절 = 150
유교적 사회의 불교적 여성: 차별적 질서vs평등의 교리 = 158
도성 안의 비구니절: 정업원, 자수궁, 인수궁 = 167
성불을 향한 여성들의 발원: 남성의 몸으로 나게 하소서 = 179
한양 여인들의 전국구 불사: 명산대찰의 여성 대시주 = 187
한양의 절들: 여성들의 구원과 치유의 공간 = 192

5장 한양 무녀들의 구료.구휼활동과 활인서
무녀와 활인서, 그곳에서의 활동은 왜 주목받지 못하였을까? = 198
무녀의 활인서 근무를 명하다 = 199
동.서활인서가 위치한 공간에 숨겨진 의미는 무엇일까? = 212
무녀들을 활인서 주변에 모여 살게 하다 = 223
기억의 공간 활인서, 무녀들의 구료와 구휼 활동을 재조명하다 =234

6장 한양 여성의 가계경영과 상업활동
치산이재는 한양 여성들의 덕목 =246
물긷고 빨래하고: 빨래터와 우물= 249
도성 안팎 밭을 일궈 가계를 경영하고 재산을 늘리다 = 258
가게 열어 장사해도 남는 게 없네: 여인전 상인들 = 265
한양 곳곳에 주점 깃발이 꽂혔구나: 주막과 기방 = 280
20세기 초 한양 여성 상인들의 흔적 = 2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