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1.1 한글이 없던 시절의 문자

2. 내 이를 딱하게 여겨
2.1 백성을 이롭게 한 세종의 발명

3. 스물여덟 자를 만드니
3.1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소리, <훈민정음>
3.2 세종의 한글 실험

4. 쉽게 익혀
4.1 부처의 말씀을 쉽게 풀어낸 한글
4.2 유교의 이념을 쉽게 풀어낸 한글
4.3 전문 지식을 쉽게 풀어낸 한글
4.4 제도와 법률을 쉽게 전한 한글

5. 사람마다
5.1 왕도 노비도 한글로 편지를 쓰다
5.2 억울한 사람 누구나 한글로 호소하다
5.3 한글, 모두의 생활에 스미다
5.4 다함께 한글 문학을 즐기다

6. 날로 씀에
6.1 나라의 글이 되다
6.2 국어와 조선어
6.3 조선어학회와 한글 연구
6.4 민간의 한글 교육
6.5 문인들의 한글 수호

7. 편안케 하고자 할 따름이니라
7.1 편한 소통을 위한 약속, 한글 맞춤법과 외래어 표기법
7.2 빠르게 읽기 위한, 한글 모아쓰기
7.3 편안하게 읽기 위한, 한글 가로쓰기
7.4 보기 좋고 멋스러운, 한글 서체


부록
한글의 여러 이름들
15가지 한글의 알아두면 좋을 순간들

도판 목록

-------------------------------------------------------------------
도판 목록

1. 점과 선을 사용해 우리말 조사와 어미를 쓴 불교 경전 <유가사지론> 권66
2. 한자를 변형한 글자로 우리말 조사와 어미를 쓴 불교 경전
<유가사지론> 권20
3. 세종을 상징하는 도장, 세종어보
4. 한글 금속 활자가 들어 있던 항아리
5. 동국정운식 한자음을 포함한 한글 활자
6. 동국정운식 한자음을 포함한 활자로 찍어 낸 책 <금강경삼가해>
7. 을유년에 만든 한글 활자
8. 을유년에 만든 한글 활자로 찍어낸 책 <원각경>
9. 한글의 창제 배경과 원리를 설명한 책 <훈민정음해례본>
10. 한문본 <훈민정음>을 우리말로 풀어 쓴 글 <훈민정음언해본>
11. 한글로 쓴 최초의 시가 문학 <용비어천가>
12. 한글로 한자음을 정리한 최초의 책 <동국정운>
13. 수양대군이 한글로 번역한 부처의 일대기 <석보상절>
14. 세종이 한글로 지은 부처 칭송 가사 <월인천강지곡>
15. 한문 경전을 한글로 번역하는 과정이 설명된 불경 <능엄경언해>
16. 모든 사람이 부처가 될 수 있음을 한글로 풀어 쓴 책 <법화경언해>
17. 깨달음을 얻기 위한 수행 방법을 한글로 풀어 쓴 책 <선종영가집언해>
18. 부처가 말한 부모의 열 가지 은혜를 한글로 풀어 쓴 책
<부모은중경언해>
19. 한글로 쓴 유교 경전 <중용언해>를 찍어낸 목판, 중용언해 목판
20. 아동을 위한 유학의 기본 내용을 한글로 풀어 쓴 책 <소학언해>
21. 효자, 충신, 열녀 이야기를 한글로 풀어 쓴 책 <삼강행실도 언해>
22. 두보의 한시를 한글로 쉽게 풀어 쓴 책 <두시언해(초간본)>
23. 언어의 변화를 반영하여 다시 간행한 <두시언해>, <두시언해(중간본)>
24. 전염병에 대한 지식을 한글로 풀어 쓴 책 <간이벽온방언해>
25. 임신과 출산에 대해 한글로 풀어 쓴 책 <언해태산집요>
26. 여섯 가지 무기의 사용법을 한글로 풀어 쓴 책 <무예제보언해>
27. 스물 네 가지 무예 기술을 한글로 풀어 쓴 책 <무예도보통지언해>
28. 영조가 술을 경계하여 내린 말을 한글로 쓴 책 <어제계주윤음>
29. 정조가 백성을 구제하기 위해 내린 말을 한글로 쓴 책 <자휼전칙>
30. 헌종이 서양의 종교를 배척하여 내린 말을 한글로 쓴 책
<유중외대소민인등척사윤음>
31.고종이 서양의 종교를 배척하여 내린 말을 한글로 쓴 책
<어제유대소신료급중외민인등척사윤음>
32. 정조가 큰외숙모에게 한글로 쓴 편지 <정조한글편지첩>
33. 양반이 노비에게 한글로 쓴 편지
34. 아무개가 아무개에게
35. 남동생이 누나에게
36. 딸이 아버지에게
37. 아버지가 딸에게
38. 양반인 아버지가 딸에게
39. 어머니가 영감 아들에게
40. 시아버지가 며느리에게
41. 양반인 남편이 아내에게
42. 조카가 왕비인 고모에게
43. 박덕겸이 백영환에게
44. 사돈이 사돈에게
45. 동생이 형에게
46. 왕비가 오빠에게
47. 딸이 어머니에게
48. 당질녀가 시아주버니에게
49. 손녀가 집안 어른에게
50. 돈 빌려준 사람이 돈 빌린 사람에게
51. 하인이 상전에게
52. 형수가 시동생집 여종에게
53. 조카딸이 외당숙모에게
54. 순원왕후가 덕온공주에게 준 혼수품 목록
55. 자라줌치 노리개
56. 연화향낭 노리개
57. 서각향낭 노리개
58. 호박항아리
59. 비녀
60. 반지와 구슬
61. 저동궁 목반
62. 순원왕후가 딸 덕온공주에게 보낸 한글 편지
63. 종이와 봉투
64. 순원왕후가 사위 윤의선에게 보낸 한글 편지
65. 벼루와 벼루함
66. 인주함
67. 김씨 부인이 영조에게 올린 호소문 <김씨부인 상언>
68. 과부 정씨가 어사또에게 올린 청원문 <정소사 원정>
69. 김대백이 이생원에게 돈을 빌린 증서 <김대백 수기>
70. 한글로 '득손'이 새겨진 백자 떡살
71. 한글로 '축'이 새겨진 목제 떡살
72. 사용처를 한글로 써 놓은 다식판
73. 한글로 '득'이 새겨진 목제 떡살
74. 사용처를 한글로 써 놓은 목반
75. 한글로 '삼각뎡'이 쓰여 있는 목반
76. 한글로 '삼각뎡'이 쓰여 있는 함지박
77. 사용처를 한글로 써 놓은 목반
78. 음식 조리법을 한글로 쓴 책 <음식디미방>
79. 음식 조리법을 한글로 쓴 책 <음식방문>
80. 떡 만든느 방법을 한글로 쓴 책 <소견법>
81. 한글로 쓴 살림 지침서 <규합총서>
82. 주인 이름을 한글로 새긴 실패
83. 복을 바라는 글귀가 써 있는 버선본
84. 한글로 관직 이름을 쓴 놀이판 <승경도>
85. 제사상 차리는 법을 한글로 익히는 놀이판 <습례국>
86. 한글로 쓴 운수를 점치는 책 <제갈무후마상점>
87. 한글로 쓴 사주점 책 <당사주>
88. 한글로 쓴 사주점 책 <평생생일길흉법>
89. 한글로 쓴 윷점 책 <윷점책>
90. 한글로 점괘를 쓴 산가지와 점통
91. 관상에 좋지 않은 얼굴 점 뽑기 광고지
92. 가곡 노랫말 580수를 모아 한글로 쓴 책 <청구영언>
93. 효의왕후가 <만석군전>, <곽자의전>을 한글로 쓴 책 <곤전어필>
94. 서울에서 간행한 한글 소설 <홍길동전>
95. 안성에서 간행한 한글 소설 <홍길동전>
96. 전주에서 간행한 한글 소설 <열녀춘향수절가>
97. 고종이 한글을 공문서에 사용하도록 내린 칙령 <고종태황제실록>
98. 한글에 대한 헐버트의 시각이 담긴 책 <사민필지>
99. 한글에 대한 주시경의 견해가 실린 신문 <독립신문(국문론)>
100. 한글에 대한 대한매일신보사의 시각이 담긴 신문 <대한매일신보>
101.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한글 연구서 <국문정리>
102. 국문 연구소가 만든 한글 표기법 연구 보고서 <국문연구의정안>
103.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초등학생용 일본어 교과서
<보통학교 국어독본>
104.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초등학생용 국어 교과서
<보통학교 조선어독본>
105. 주시경이 쓴 우리 말글 연구서 <국어문법>
106. 주시경이 쓴 말소리 연구서 <말의 소리>
107. 주시경과 제자들이 쓴 우리말 사전 원고 <말모이 원고>
108. 한글에 대한 전문 학술 잡지 <한글>
109. 한글 맞춤법 체계를 통일한 표기법 안 <한글 마춤법 통일안>
110. 우리말 표준어를 모아 정리한 책 <조선어 표준말 모음>
111. 외래어 표기법 체계를 통일한 안 <외래어 표기법 통일안>
112. <조선말 큰사전>의 원고
113. <조선말 큰사전>
114. 방정환이 어린이를 위해 만든 잡지 <어린이> 제6권 제3호
115. <어린이> 잡지에 실린 한글 읽기 자료 <어린이> 제7권 제8호
116. 동아일보사가 한글 보급을 위해 만든 교재 <한글 공부>
117. 농민들의 한글 학습을 위한 교재 <농민독본>
118. 성인의 한글 학습을 도운 반절표 <성인 교육용 한글첫걸음>
119. 조선어학회가 추천한 한글 학습 놀이 도구 <조선어 철자기>
120. 시각 장애인의 교육을 위한 한글 점자 <훈맹정음>
121. 우리 문학의 순수성을 지켜 낸 청록파의 한글 시집 <청록집>
122. 독립에 대한 간절함이 담긴 윤동주의 한글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23. 광복 이후 비로소 간행된 황순원의 한글 소설집 <기러기>
124. 일제의 침략을 비판한 안국선의 한글 소설 <금수회의록>
125. 일제강점기 한글 전파에 기여한 구활자본 소설
126. 납으로 만든 한글 활자, 한글 연활자
127. 조사를 단어처럼 띄어 쓴 국어 교과서 <바둑이와 철수>
128. '-읍니다'를 쓴 국어 교과서 <국어 1-2>
129. '-입니다'를 띄어 쓴 국어 교과서 <국어 1-1>
130. '-입니다'를 붙여 쓴 국어 교과서 <국어 1-1>
131. '-읍니다'와 '-습니다'를 섞어 쓴 국어 교과서 <읽기 1-1>
132. '-습니다'만 쓴 국어 교과서 <읽기 1-1>
133. 한자어 문법 용어를 우리말로 수정한 한글 맞춤법
<개정한 한글 맞춤법 통일안>
134. 달라진 언어 현실을 반영하기 위해 개정한 한글 맞춤법
<맞춤법안.표준말안.외래어표기법안.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안>
135. 오늘날 쓰고 있는 어문 규정의 바탕이 된 규정집
<한글 맞춤법 및 표준어 규정>
136. <한글 맞춤법 및 표준어 규정>에 대한 해설집
<한글 맞춤법 표준어 해설>
137. 현재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한글 타자기 <송기주 타자기>
138. 장봉선이 개발한 풀어쓰기 한글 타자기
139. 모아쓰기를 채택한 한글 표준 자판안 <확정표준자판안>
140. 공병우가 개발한 모아쓰기 한글 타자기
141. 가로쓰기를 적용한 국어 교과서 <한글 첫걸음>
142. 최현배가 가로쓰기를 주장한 책 <글자의 혁명>
143. 1970년대에 세로쓰기로 인쇄한 소설 <토지>
144. 1980년대에 가로쓰기로 다시 인쇄한 소설 <토지>
145. 가로쓰기를 전면 적용한 신문 <한겨레 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