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장. 도입
1. 연구 목적
2. 선행 연구
3. 논의 구성

2장. 해석문법의 체계
1. 음운 층위 분석 체계
2. 어휘 층위 분석 체계
3. 통사 층위 분석 체계
4. 화용 층위 분석 체계
5. 문장 분석의 종합적 체계5


3장. 해석문법 체계의 적용
1. 문학 분야
1.1 운문 텍스트
1.1.1 음운 층위 분석
1.1.2 어휘 층위 분석
1.1.3 분석 결과의 종합
1.2 산문 텍스트
1.2.1 어휘 층위 분석
1.2.2 통사 층위 분석
1.2.3 화용 층위 분석
1.2.4 분석 결과의 종합

2. 한국어교육 분야
2.1 교재 텍스트
2.1.1 어휘 층위 분석
2.1.2 통사 층위 분석
2.1.3 화용 층위 분석
2.1.4분석 결과의 종합
2.2 평가 텍스트 245
2.2.1 어휘 층위 분석 246
2.2.2 통사 층위 분석 257
2.2.3 화용 층위 분석 286
2.2.4 분석 결과의 종합 298

2.3 작문 텍스트
2.3.1 어휘 층위 분석
2.3.2 통사 층위 분석
2.3.3 화용 층위 분석
2.3.4 분석 결과의 종합
3. 전체 분석 결과의 종합

4장.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