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_ 조선인들의 질병 투쟁기를 펴내며

1장 조선의 의료 체계와 의료 시설
조선 의료 행정의 중심, 전의감
업무와 조직|의관 선발|약재 재배와 관리|내의원에서 밀려나면 전의감으로?|동물 치료도 병행한 전의감 의사들
왕실 전담 병원, 내의원
업무와 조직|내의원의 실질적 수장, 어의|내의원에서 발생한 도난 사건
서민 의료 전담 병원, 혜민서
업무와 조직|의녀 선발과 교육|의녀의 임무|사건으로 본 혜민서의 역할
행려병자 구제를 위한 시설, 활인서
업무와 조직|활인서의 터줏대감 무녀들|버려진 시신들
조선시대의 찜질방, 한증소
승려가 관리한 치료소|한증소는 사라졌을까?
한국 최초의 서양식 국립병원, 제중원
탄생 과정과 개원|초대 병원장으로 취임한 알렌|제중원의 시작과 끝

2장 조선 백성을 괴롭힌 10대 질병
의외로 무서운 질병으로 인식된 감기
어전회의에서 아들 감기를 고쳐달라고 호소한 형조판서|감기를 핑계로 사신을 피한 세종|감기에 대한 의학적 인식과 치료
천민에서 왕까지 쉽게 피하지 못한 치질
송시열을 괴롭혔던 고질병|치질 때문에 원접사를 바꾸다·76|치질로 고생한 문종과 성종, 토끼 똥을 발랐을까?
걸리면 인생 종 쳤다고 생각한 중풍
중풍에 걸리면 벼슬에서 물러나는 것이 관례|중풍 치료약으로 쓴 누금원과 속명탕
세종과 황희를 평생 괴롭힌 종기
종기로 고생한 세종|종기 때문에 사직을 청한 황희|종기 치료약으로 쓰인 고약과 거머리|신비의 제독제 흡독석
부자들이 가장 무서워하던 소갈증
부자들만 걸리던 병|어떤 방식으로 소갈증에 대처했을까?
살아서 죽음의 고통을 맛보는 학질
어린아이와 노인이 가장 두려워하던 질병|학질을 물리치는 노래를 지어 부른 정약용|학질의 증상과 대처법
소문만 듣고도 10리 밖으로 달아났던 염병
염병에 대한 조선 백성의 두려움|연일 죽어나가는 죄수들|염병에 대한 대처와 민간요법
집안의 대를 끊는 악귀 홍역
대유행으로 10만 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하다|문인들의 글에 등장하는 홍역|전설의 영약 백화사환
사회적 거리 두기의 원조 천연두
천연두의 역사|천연두 예방은 강력한 ‘거리 두기’ 방식으로|천연두에 대한 의학계의 대응|정약용과 지석영의 종두법 도입
악병의 대명사 나병
하늘이 내린 천형으로 여긴 질병|태워지거나 버려진 나병 환자들|나병 환자를 치료한 관리|나병 치료에 쓰인 명약

3장 조선 왕들의 질병과 죽음
종기를 가볍게 여겼다가 풍을 맞고 쓰러진 태종
온갖 질병으로 온몸에 통증을 달고 산 세종
종기를 등한시하다 허망하게 급사한 문종
아토피와 흉복통으로 고생한 세조
감기를 앓다 돌연사한 예종
대장암으로 젊은 나이에 죽은 성종
얼굴 아토피에 시달린 연산군
심열증과 종기의 늪에서 허우적거린 중종
고의로 영양실조에 걸린 인종
어머니가 만병의 근원이었던 명종
어이없는 죽음을 맞은 선조
폐위가 오히려 장수의 비결이 된 광해군
피해망상증으로 진찰조차 거부한 인조
뜻밖의 의료사고로 죽은 효종
각종 질병으로 평생 환자로 지낸 현종
잔병치레 없이 비교적 건강을 누린 숙종
병상을 벗어나지 못한 경종과 무병장수한 영조
평생 종기로 고생한 정조

4장 조선을 풍미한 명의
죽음의 문턱에서 태조 이성계를 회생시킨 양홍달
태종의 총애를 한 몸에 받은 일본 출신 의사 평원해
조선 초기 최고의 의사 반열에 오른 노중례
왕의 주치의가 된 유일한 의녀 대장금
허준과 쌍벽을 이룬 명의 양예수
동방의 편작으로 불린 허준
침과 뜸의 달인 허임
인조의 총애를 독차지한 번침의 명인 이형익
한낱 마의에서 어의로 발탁된 까막눈 백광현
고약 하나로 종기 치료의 명인이 된 피재길

5장 조선 의학의 초석이 된 의서
동양의학의 뿌리, 《황제내경》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의서, 《향약구급방》
조선 최초의 향약 사전, 《향약집성방》
조선 최대 의학 백과사전, 《의방유취》
약이 되는 음식을 다룬 식이요법서, 《식료찬요》
가장 대중적인 민간용 의서, 《구급간이방》
핵심만 간추린 요긴한 의서, 《의림촬요》
동양의학을 대표하는 명저, 《동의보감》
사상의학의 뿌리, 《동의수세보원》
그 밖의 주요 의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