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문화적 고찰

황영미 | 문학과 영화를 통해 본 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인간의 태도

1. 문학과 영화에 나타난 바이러스 감염증과 코로나19 사태
2. 소설과 영화 󰡔페스트󰡕에 나타난 인간과 공권력의 태도
3. 영화에 나타난 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인물과 공권력의 태도
4. 문학과 영화에 나타난 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

김 헌 | 대규모 역병의 서사-그리스 로마 문학의 사례

1. 팬데믹 시대,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답을 얻다
2. 세네카의 비극 󰡔오이디푸스󰡕
3.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
4. 호메로스의 󰡔일리아스󰡕
5. 소포클레스의 󰡔안티고네󰡕
6. 투퀴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사󰡕
7.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하며

유홍식 |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뉴스 소비와 사회 소통

1. 코로나19와 2020년 일상의 변화
2. 코로나바이러스의 양면 효과
3. 코로나19와 미디어 콘텐츠 이용 변화
4. 코로나19와 뉴스, 그리고 허위정보의 확산
5. 코로나 이후 시대의 사람과 사회의 소통

이도흠 | 간헐적 팬데믹 시대에서 좋은 말하기와 글쓰기

1. 간헐적 팬데믹 시대에서 좋을 말과 글이란?
2. 기호와 의미의 형성
3. 말의 의미와 해석
4. 소통의 왜곡/나쁜 말의 원인과 좋은 말하기
5. 좋은 글쓰기
6. 대안의 글쓰기를 향하여

홍성민 | 팬데믹 시대와 생태 지혜의 실천

1. 팬데믹 시대의 공동체
2. 자본주의의 폐해와 생태학적 인식의 필요성
3. 생태에 관한 깊은 통찰
4. 참찬화육과 생태계의 공영
5. 신중한 배려와 대아의 실현
6. 생태공동체를 향하여

제2부 비대면 시대와 삶의 변화

김응교 | 유튜브를 통한 지구인의 문학 교류
-KBS TV 특집 다큐 <바람, 별 그리고 윤동주>의 경우

1. 코로나 시대의 문학 교류
2. 괴테의 세계문학과 김수영의 ‘히프레스’ 문학론
3. ‘위드 코로나’ 시대의 노마드

오영진 | ‘게임적 리얼리즘’으로 살펴본 미래의 읽고 쓰기의 감각

1. 미래의 책 읽기
2. 주체의 불안과 데이터베이스라는 신념체계
3. 소멸하는 신체의 욕망
4. 내재된 승리
5. 게임적 리얼리즘에 나타난 읽고 쓰기의 감각

제3부 언택트 시대와 교육 현장

김중철 | 코로나19와 공간의 변화, 공간에 대한 글쓰기

1. 코로나19와 일상의 변화
2. 공간 읽기의 의미
3. 공간과 인간의 삶
4. ‘나의 공간’과 글쓰기
5. 공간에 대한 글쓰기

신희선 | 비대면 환경에서 비판적 사고와 토론교육

1. 갑작스런 비대면 교육, 첫 학기 수업 어떻게 시작했나?
2. 비대면 온라인 교육 선행연구를 검토하다
3. 공대 신입생 대상으로 한 온라인 수업 사례
4. 보다 효과적인 온라인 토론 수업을 위한 몇 가지 생각
5. 온라인 토론 교육의 한 발을 내딛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