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3

Ⅰ. 서론 9
1. 연구의 목적과 범위 9
2. 연구의 방법 12
3. 선행 연구 검토와 문제 제기 17

Ⅱ. 배경론 25
1. 형태소?형태?이형태 25
2. 이형태 형성의 음운론적 원리 31
3. 이형태의 유형 38

Ⅲ. 중세국어 문법형태소의 이형태교체 52
1. 이형태 목록의 작성 52
1.1. 조사 55
1.2. 어미 80
2. 이형태교체의 조건 113
2.1. 이형태교체 조건의 유형 113
2.1.1. 음운론적 조건 113
2.1.2. 형태론적 조건 123
2.1.3. 통사론적 조건 133
2.2. 문법형태소에 따른 이형태교체의 조건 136
2.3. 요약 168

3. 이형태교체의 내용 208
3.1. 이형태교체 내용의 유형 208
3.1.1. 음운론적인 교체의 내용 208
3.1.2. 형태론적인 교체의 내용 211
3.2. 문법형태소에 따른 이형태교체의 내용 212
3.3. 요약 247

Ⅳ. 형태?음운론적 쟁점에 대한 논의 273
1. 매개모음 첨가의 형태음운론적 해석 273
1.1. 매개모음 관련 현상에 대한 가능한 해석 방안의 검토 274
1.2. 자음의 강도를 이용한 매개모음 첨가의 음운론적 해석 278
2. ‘ㄱ’탈락과 이형태교체 286
2.1. ‘ㄱ’의 탈락인가, 약화인가? 286
2.2. 형태음운현상으로서의 ‘ㄱ’탈락 292
3. 선어말어미 {-으시-}와 ‘오’계 어미의 이형태 297
3.1. ‘-샤(-)’는 과연 선어말어미 {-으시-}의 이형태인가? 298
3.2. ‘오’계 어미의 ‘아’형 이형태 설정 가능성 301
4. ‘ㄷ>ㄹ’ 변화에 의한 이형태교체 313
4.1. ‘ㄷ>ㄹ’ 변화에 의한 이형태 형성의 역사 314
4.2. ‘ㄷ>ㄹ’ 변화의 음운론과 형태론 331
4.3. ‘ㄷ>ㄹ’ 변화에 의한 이형태 형성의 의미 338

Ⅴ. 결론 349

참고문헌 361
찾아보기 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