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一. 序論
1. 訓蒙字會의 硏究 = 7
2. 編纂의 基本方針 = 13
3. 千字文과 訓蒙字會 = 16
4. 類合과 訓蒙字會 = 17
5. 初學字會와 訓蒙字會 = 22
6. 編者에 대하여 = 26
二. 異本의 考證
1. 叡山文庫本 = 31
2. 東京大學 中央圖書館본 = 34
3. 尊經閣本 = 39
4. 奎章閣本 = 42
5. 汎文社本 = 43
6. 結言 = 47
三. 凡例의 檢討
1. 異本間의 差異 = 49
2. 凡例 10條 = 50
3. 諺文子母 = 56
四. 漢字音의 特徵
1. 表記 方法 = 69
2. 異本間의 差異 = 71
3. 特徵 = 84
(1) 俗音 = (85)
(2) 正音 = (92)
(3) 漢音 = (93)
(4) 濁聲 = (94)
(5) 聲調 = (95)
4. 釋에 나타난 漢字音 = 103
5. 餘論 = 104
五. 釋의 檢討
1. 表記 方法 = 109
2. 特徵 = 114
3. 異本間의 差異 = 121
4. 結論 = 132
六. 註의 檢討
1. 註의 內容 = 134
(1) 字體에 관한 것 = (134)
(2) 字音과 意味에 관한 것 = (135)
(3) 用例에 관한 것 = (136)
(4) 中國 俗語에 관한 것 = (136)
2. 叡山本의 特徵 = 137
3. 異本間의 差異 = 142
4. 中國語 資料 = 147
5. 引用書 = 150
七. 結論
1. 訓蒙字會의 性格 = 152
2. 崔世珍의 言語意識 = 155
3. 叡山本과 東中本의 位置 = 157
4. 國語史 資料로서의 價値 = 159
後記 = 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