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음운론을 위한 기본기
1.1. 언어능력 13
1.2. 음운론의 대상 15
1.3. 음성과 음운의 차이 16
1.4. 기본형과 기저형의 차이 17
1.5. 제약과 규칙 19
1.6. 공시론과 통시론 20
2. 자음과 모음
2.1. 자음 27
2.1.1. 조음방식 28
2.1.2. 조음위치 32
2.2. 모음과 반모음 38
2.2.1. 모음 38
2.2.1.1. 혀의 전후 위치에 따른 분류 39
2.2.1.2. 입술 모양에 따른 분류 39
2.2.1.3. 혀의 높낮이에 따른 분류 40
2.2.2. 반모음 46
3. 음성과 음운
3.1. 인식 단위로서의 음운 53
3.2. 음소 설정 방법 55
3.2.1. 최소대립쌍에 의한 음소 설정 56
3.2.2. 분포에 의한 음소 설정 58
3.3. 운소 설정 방법 61
4. 자질
4.1. 음소의 자질값 67
4.1.1. 대분류 자질 69
4.1.2. 자음 분류 자질 71
4.1.3. 모음 분류 자질 73
4.2. 자질의 유용성 및 한계 74
5. 음절
5.1. 한국어의 음절 유형 77
5.2. 음절 구조 제약 78
5.2.1. 초성 제약 78
5.2.2. 종성 제약 79
6. 기저형
6.1. 기저형의 의의 81
6.2. 교체와 이형태 82
6.2.1. 음소 배열과 관련된 교체 82
6.2.2. 언어 단위와 관련된 교체 83
6.2.3. 규칙화 여부에 따른 교체 84
6.3. 기저형 설정 방법 86
6.3.1. 어간의 기저형 설정 방법 86
6.3.2. 어미의 기저형 설정 방법 95
6.4. 기저형 설정의 원칙 96
6.5. 기저형의 유형: 단수기저형과 복수기저형 97
7. 음운 변동과 그 유형
7.1. 음운 변동의 원인 109
7.1.1. 제약에 따른 음운 변동 109
7.1.2. 조음 편의에 따른 음운 변동 115
7.1.2.1. 위치동화 115
7.1.2.2. 움라우트와 구개음화 118
7.1.2.3. 전설모음화 120
7.2. 음운 변동의 유형 121
8. 음운 현상
8.1. 대치 129
8.1.1. 평파열음화 129
8.1.2. 모음조화 132
8.1.3. 비음화 137
8.1.4. ‘ㄹ’ 비음화 138
8.1.5. 유음화 140
8.1.6. 연구개음화 143
8.1.7. 양순음화 144
8.1.8. 모음순행동화 145
8.1.9. 원순모음화 153
8.1.10. 전설고모음화 154
8.1.11. 경음화 155
8.1.12. 반모음화 170
8.1.13. 움라우트 174
8.1.14. 구개음화 179
8.2. 탈락 186
8.2.1. 후음 탈락 186
8.2.2. 유음 탈락 187
8.2.3. 비음 탈락 189
8.2.4. 자음군단순화 190
8.2.5. 어간말 ‘아/어’ 탈락 192
8.2.6. 어간말 ‘으’ 탈락 194
8.2.7. 반모음 탈락 194
8.2.8. ‘이’ 탈락 195
8.3. 첨가 197
8.3.1. 반모음 첨가 197
8.3.2. ‘ㄴ’ 첨가 200
8.4. 축약 203
8.4.1. 자음축약: 유기음화 203
8.4.2. 모음축약 205

보충
언어능력에 따른 교체형의 상이 23
소리대로 적기 24
평음, 경음, 격음 31
장애음과 공명음 32
구개음화와 조음위치 35
ㆆ[?] 37
음운 현상과 체계: 고모음화 41
중세국어 7모음 〉 근대국어 8모음 〉 현대국어 10모음 48
언어의 자의성 49
최소대립쌍을 통한 조사의 중요성 61
강약과 고저의 차이 64
영어에서의 반모음과 부정관사 71
성절성 자음 79
체언의 자립성과 그에 따른 기저형 91
체언의 재구조화 93
재구 95
단음화 관련 기저형 검토 101
복수기저형과 단일화, 그 언어능력 102
매개모음어미의 기저형 104
매개모음어미와 원순모음화 107
동화의 분류 124
p/k 대치 126
이어요 〉 이에요, 이에요 → 이예요 126
음운 현상의 명명 128
중화(neutralization) 131
모음조화 양상의 변화 134
‘어(X)’류 어미 136
직접동화로서의 유음화 142
동남방언에서의 모음순행동화 147
비적격형 도출 저지를 위한 제약 148
규칙순 151
‘푸고, 푸면, 퍼도’의 기저형과 원순모음화 154
명사구 유형에서의 경음화 165
서부 지역 쪽의 강한 ‘ㅅ’ 전치성 169
출혈 관계와 급여 관계 169
‘나비’, ‘거미’가 움라우트되지 않는 이유 178
움라우트의 개재자음 178
n 구개음화와 두음법칙 182
역구개음화 183
두음법칙과 끝말잇기 놀이 183
부록
1. 조사항목 선정의 중요성: ‘ㄴ’ 첨가 209
2. ‘모기’의 방언 지도: 비원순모음화, 움라우트 212
3. 성조 방언의 특징: 성조형과 비어두 장음 214
4. 성조를 고려한 복수기저형 216
5. 성조 층위의 기저형 218
6. ‘ㄹ’ 뒤 ‘ㄷ’, ‘ㅅ’, ‘ㅈ’의 경음화(경북방언) 218
7. 고대국어의 ‘어미 아(X)’ 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