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문제제기: 일제강점기, 헌법은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었나?·15 Ⅱ. 국가가 있으면 헌법도 있다. 그러면 국권을 상실한 경우에는?·18 1. 헌법의 의미와 그 전제로서의 국가·18 2. 일제강점기, 대한제국과 그 헌법은 존속하고 있었나?·21 3. 일제강점기의 한반도에서 일본헌법은 어떤 의미였나?·23 Ⅲ. 3·1운동과 국권회복 노력에서 헌법은 어떤 의미를 갖고 있었나?·24 1. 3·1운동의 의미와 그 배경·24 2. 민족계몽운동과 법의식, 헌법의식·27 3. 독립운동세력들의 시대의식과 헌법의식·29 Ⅳ.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 및 임시헌법의 제정·30 1.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자기 이해와 1919년 4월 11일의 임시헌장·30 2. 1919년 9월 11일의 임시헌법과 그 의미·32 3. 대한민국임시정부 헌법이 헌법의식에 미친 영향·34 Ⅴ. 3·1운동 시대의 헌법교육·36 1. 일제강점기의 법학교육과 헌법교육·36 2. 헌법에 대한 관심의 부족과 그 파급효·38 3. 해방 이후 헌법전문가의 부족과 유진오 박사의 활약·39 Ⅵ. 맺음: 나라도, 헌법도 준비하는 자에게 길이 열린다·41
3·1운동 전후 고등교육제도 _한용진·김자중
Ⅰ. 들어가며·55 Ⅱ. 3·1운동 이전 근대적 고등교육제도의 부침·58 1. 개화기 조선 정부의 근대적 고등교육제도의 도입·58 2. 1910년대 일제의 차별적·억압적 전문학교제도의 시행·64 Ⅲ. 3·1운동 이후 고등교육정책과 고등교육제도·69 1. 식민지 고등교육정책의 변화·69 2. 사학의 대학 설립과 민립대학설립운동·73 3. 경성제국대학의 설립과 관립전문학교의 증설 억제정책·80 Ⅳ. 맺음말·85
3·1운동 시대 보성전문학교의 교육체계 _명순구·한민섭
Ⅰ. 서 설·88 II. 시대 구분과 핵심 자료·90 1. 시대 구분의 기준·90 2. 핵심 자료: 학칙·91 III. 보성전문의 설립 구도와 현실·93 1. 보성전문의 원설립계획·93 2. 보성전문의 실제 설립 모습·95 3. 교육 목표를 넘어 학문적 비전을 품은 보성전문·97 IV. 보성전문 교육제도의 시대별 비교·101 1. 「학교규칙」(1905)과 校典一覽(1915)의 비교·101 2. 校典一覽(1915)과 普成專門學校一覽(1925)의 비교·112 V. 맺음말·120
3·1운동 100주년에 돌아보는 법학교육 100년 ―普成專門學校와 京城專修學校를 중심으로 _명순구
Ⅰ. 서 설·123 Ⅱ. 3·1운동 시대의 법제 및 교육 관련 규범·124 1. 일제강점기 한반도의 법체계·124 2. 3·1운동 시대 교육 관련 법령 체계·127 Ⅲ. 3·1운동 이전 근대 교육기관과 법학교육·138 1. 갑오개혁 이후 학교 설립과 초보적 법학교육 138 2. 전문적 법학교육 기관·141 Ⅳ. 3·1운동 이후 전문 법학교육·157 1. 민립대학 설립운동과 그 좌절·157 2. 사립학교: 보성법률상업학교/보성전문학교·159 3. 관립학교: 경성법학전문학교·160 Ⅴ. 맺음말·164
3·1운동 시대 국제정치적 배경과 한국의 ‘독립외교’ _이신화
Ⅰ. 서 론·166 II. 3·1 운동의 국제정치적 배경·169 1. 우드로 윌슨의 민족자결주의·169 2. 파리강화회의와 베르사유평화체제·177 3. 만주 무오독립선언서와 동경 2·8 독립선언서·181 III. 3·1 운동의 국제적 의의와 영향·185 IV. 결 론·190
근대기업의 생성과 보성전문의 상학 교육 _배종석
Ⅰ. 들어가며·193 Ⅱ. 3·1운동 시대 전후의 경제상황과 근대적 기업의 등장·196 1. 경제상황·196 2. 근대적 기업의 생성·198 3. 근대적 은행의 등장·207 4. 근대 기업에서의 경영활동·211 Ⅲ. 보성전문학교와 상학·216 1. 학교와 학과의 명칭·216 2. 학생의 입학과 졸업·223 3. 교수 및 강사·226 4. 교과과정과 교과목·230 5. 상업학 관련 교재·237 6. 상업학 교재의 주요 내용·239 Ⅳ. 보성전문에서의 상업학 교육의 의의·248 1. 일본의 상업학 교육과 보성전문·248 2. 동시대의 미국 경영학 교육·251 3. 보성전문학교의 상업학 교육의 의의·254
3·1운동 시대 출판 미디어 그룹으로서의 보성사와 보성관 그리고 보성전문학교 _ 구자훈· 김성철
I. 시작하며·261 II. 보성사와 보성관의 설립·262 1. 보성사의 설치·263 2. 보성관의 성립·274 3. 전문학교 교과서의 제작과 보성전문·282 III. 마무리·299
3·1 운동 시대 보성전문과 언어 문화 ―김기전, 방정환, 박승빈을 중심으로 _신지영
I. 서론: 왜 언어 문화인가?·301 II. 배경: 3·1 운동 시대의 언어 환경·305 1. 한글의 공식 문자 채택 그리고 정서법 확립을 위한 노력·305 2. 한국어 글쓰기를 통한 새로운 문어(글말) 전통의 수립·306 3. 신분제 폐지와 평등·인권 의식의 시작·307 4. 김기전, 방정환, 박승빈에 주목하는 이유·308 III. 생 애·310 1. 김기전·310 2. 방정환·312 3. 박승빈·314 IV. 언어 문화에 끼친 영향·316 1. 언어를 통한 평등 사상의 실현: 경어 사용의 문제·316 2. 방정환이 발굴하고 보급한 ‘어린이’의 의미·325 3. 경칭의 문제 및 2인칭 대명사 사용의 문제: 박승빈·332 V. 마무리하며·335
지도로 보는 3·1운동 시대 종로의 보성전문 _류성룡
1. 보성학교가 표기되지 않은 근대 지도들(1905-1910)·339 2. 1910년 지도에 등장하는 보성학교(普成學校)·342 3. 1914년 수송동(壽松洞) 보성사(普成社)·345 4. 1918년부터 1922년까지 낙원동·348 5. 1922년부터 1933년까지: 송현동(松峴洞) 보성전문학교·351 6. 1934년 종로에서 안암동으로·353
보성전문학교와 음악 ―3·1운동 전후 보성전문과 천도교 그리고 음악 _민경찬
1. 들어가는 말·356 2. 천도교와 보성중학을 통해 음악 습득·358 3. 보성전문학교의 노래와 이각종의 창가운동·362 4. 한국동요의 탄생·371 5. 창가 활동·378 6. 인촌 김성수 선생과 창가·379 7. 조지훈의 <3·1절 기념가>와 <선열추모가>·383 8. 나가는 말·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