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장 문부성 『백과전서(百科全書)』로의 초대
1. 번역 텍스트의 연구
2. 『백과전서』 연구의 의의
3. 이 책의 구성

제1장 번역연구에서의 ‘등가’ 언설 — 스캔들의 덫
1. 번역의 이론과 ‘등가’
2. 서양 번역학의 시작
3. 근대 일본의 번역론
4. 일본의 번역학

제2장 문부성 『백과전서』라는 근대 — 불완전한 백과사전
1. 국가적 번역 프로젝트
2. 번역기관의 변천
3. 『백과전서』의 윤곽
4. 기점 텍스트에 대해서
5. 번역자와 교정자의 군상

제3장 ‘신체 교육’이라는 근대 — 문명화된 몸짓
1. 신체의 근대
2. 메이지 정부와 ‘교육’
3. ‘신체 교육’의 행방
4. ‘체육’이란
5. 국민국가의 ‘스포츠’

제4장 ‘언어’라는 근대 — 오쓰키 후미히코의 번역 행위
1. 오쓰키 후미히코와 ‘언어’
2. 『언어편』의 간행 사정
3. 문법을 둘러싼 『언해』와 『백과전서』
4. ‘언어’란•
5. 당연히 ‘언어’라고 생각하는 것을 주저하게 만드는 것

제5장 ‘종교’라는 근대 — 야스쿠니 체제의 주형
1. ‘종교’와 비‘종교’
2. 번역어로서의 ‘종교’
3. 메이지 정부와 ‘종교’
4. 『백과전서』에서의 ‘종교’
5. 비‘종교’의 카무플라주

제6장 ‘대영 제국’이라는 근대 — 대일본 제국의 사후적 이야기
1. 소급되는 단어
2. ‘대영 제국’
3. ‘제국’의 기억
4. ‘인종’을 둘러싼 대일본 제국
5. 갱신되어 지속하는 ‘제국’

제7장 ‘골상학’이라는 근대 — 타자를 보는 눈길
1. 인체해부도와 번역
2. 서양 근대의 ‘과학’
3. ‘골상학’이란
4. 말하는 눈길
5. 유사과학의 근대

제8장 ‘물리’・‘화학’이라는 근대 — 궁리와 세이미에서의 픽션적 이탈
1. 난학에서 영학으로
2. 자연과학의 번역
3. ‘물리’·‘화학’으로의 도약
4. 정의하는 텍스트
5. 학교제도 속의 자연과학

제9장 ‘백과전서’라는 근대 — 제도의 유통과 소비
1. ‘백과전서’란
2. 『백과전서』의 시각 제도
3. 제도로서의 학지
4. 신문 광고에 의한 유통과 소비

종장 ‘번역’이라는 근대 — 번역된 문부성 『백과전서』
1. 번역어의 원근법
2. 증식하는 명사
3. 번역론적 전회로

후기
옮긴이 후기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