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자미있고 자미있네 오백년래 없던 연설
1. 서언
2. 대중 매체로서의 ‘연설’
3. 연설의 능동적 수용자
4. 집회 규율과 만민공동회
5. 결어

제2장 자유연애와 신식결혼을 디자인 한 소설
1. 서언
2. 신식결혼이란 담론
3. 구식혼인 타파 운동의 함의含意
4. 상상으로 만들어낸 결혼-자유연애 결혼의 창조
5. 신식결혼식의 탄생과 근대 결혼제도의 안착
6. 소설에 반영된 근대 결혼 제도
7. 결어

제3장 일상으로 강림한 활동사진/영화
1. 서언
2. 영화의 대중적 감수성과 스타
3. 활동사진 도입과 한국영화의 발전
4. ‘저급영화’라는 담론
5. 애활가愛活家 등장과 영화 문화 성숙
6. 영화문화의 일상화
7. 결어

제4장 애활가愛活家의 탄생
1. 기기괴괴별별奇奇怪怪別別한 신오락물
2. 극장이란 제도
3. 북촌과 남촌의 거리 : ‘경성고등연예관’과 ‘우미관’
4. 극장 안 풍경-애활가와 변사의 갈등
5. 결어 : 호명하는 극장과 호명된 관객

제5장 애활가 임화林和의 영화단상
1. 서언
2. 실증實證의 시선視線-「조선영화발달소사朝鮮映畵發達小史」
3. 창안의 시선-「조선영화론朝鮮映畵論」
4. 결어

제6장 취미실익 잡지 『별건곤』과 대중서사물
1. 서언
2. 계몽담론에서 취미담론으로
3. 호명되는 독자와 호명하는 독자
4. 취미·실익과 서사물
5. 결어

제7장 새로운 광고전략 『박문博文』의 「출판出版토픽」
1. 서언
2. 『박문』이라는 월간 잡지
3. 「출판토픽」이 만든 출판계 토픽
4. 결어

제8장 문학 속의 경성京城/서울
01. 타인 의식하기의 설움 : 한성-서울
02. 찬란한 슬픔의 경성 : 김동인의 「약한 자의 슬픔」
03. 경성의 빈곤 : 조명희의 「땅 속으로」
04. 상고주의자의 30년대 경성 읽기 : 이태준의 「장마」
05. 모더니스트 이상李箱의 아주 모던한 경성 : 「날개」 기타
06. 카메라의 눈으로 응시한 경성 : 박태원의 「천변풍경」
07. 영등포 애가哀歌 : 채만식의 수필 「귀향도중」
08. 경성의 우울 : 백석의 수필 「마포」
09. 해방된 서울과 친일 모리배 : 비판 혹은 풍자 텍스트
10. 특별 자유시 서울의 병리 : 오장환의 시 「병든 서울」
11. 서정이자 서사인 서울 : 박노갑의 「역사」
12. 한국전쟁과 서울 : 종군 문학 텍스트
13. 번영의 텃밭 서울의 이면-박경리의 「불신시대」
14. 로스트 파라다이스 명동 : 최상규의 「포인트」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