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하는 글 - 왜, 한국 디자인사를 연구해야 하는가
들어가는 글 - 각색되지 않은 우리 디자인의 맨얼굴

1장 근대화와 디자인:
디자인의 탄생에 대하여
1. 서구 사회의 근대, 근대화, 모더니즘
2. ‘근대’라는 오해
한국의 근대화에 관한 두 가지 해석 | 이중 종속된 식민지 근대성 | 문화접변과 왜곡된 전통문화
3. 일제강점기, 기만적 문화 정책과 ‘조선 색’
이등 국민을 위한 디자인교육 | 조선미술전람회와 향토색 논쟁 | 야나기 무네요시가
말하는 한국미 | 기형적 산업화의 전개 | 군국주의 체제를 강화한 신고전주의 건축

2장 미국 문화와 근대 디자인:
해방 공간에서의 미국식 생활 방식 (1945-1950년대)
1. 미군정청의 활동과 한국 디자인
대외원조로 유입된 미국 문화 | Made in U.S.A. | 근대 디자인교육의 시작 | 대한민국미술전람회의 출범
2. 한국공예시범소의 ‘코리아 프로젝트’
미국의 대외원조사업과 디자인 진흥 프로젝트 | 한국공예시범소의 설립 | 한국공예시범소의 수공업·경공업 프로젝트와 전시 | 한국공예시범소의 대학교육 프로그램 | 한국공예시범소의 폐소

3장 권력과 한국적 디자인:
정부 주도의 디자인 진흥기 (1960-1970년대)
1. 산업디자인의 등장
5·16 군사정변과 제3공화국의 출범 | 수출 증대를 위한 대동단결 | 산업 발전과 산업디자인의 등장 | 디자인교육의 새국면 | 대한민국상공미술전람회와 디자인 계몽 | 민간 디자인 진흥기관의 출현
2. 모더니즘의 유행
10월 유신과 제4공화국의 출범 | 공산품 디자인의 성장 | 디자인교육의 성장 | 상공미전의 새로운 경향 | 관광산업과 그래픽 포스터 | 모더니즘의 대유행
3. 권력에 동원된 디자인
경제개발 정책과 디자인 | 포장과 디자인에 대한 정권의 관심 | 민간 단체의 강제 해산과 한국디자인포장센터의 출범 | 디자인·포장진흥법의 제정 | 한국디자인포장센터의 구조와 운영 실태 | 한국디자인포장센터의 디자인 진흥과 개선사업 | 국전과 상공미전의 정치적 역할 | 디자인계의 기술 관료화
4. 프로파간다 예술과 한국적 디자인
독재정권과 신고전주의 | 독재정권기의 ‘민족주의’ 담론과 ‘한국의 정체성’의 규정 | 민족주의 문화 정책과 프로파간다 예술의 등장 | 시대의 역사관과 ‘고안된 전통’ | 애국선열 조상 건립 운동 | 한국적 건축에 관한 고민 | 모뉴먼트와 공공디자인 | 한국적 디자인의 등장 | 만화영화와 반공 정책

4장 국제화와 오리엔탈리즘:
세계 무대를 위한 미션 (1980년대)
1. 선진국 프로젝트와 디자인
12·12 사태과 제5공화국의 출범 | 대중문화와 저항문화 | 국제 정세와 개방화 정책 | 산업 발전과 디자인에 대한 인식 변화 | 정부 주도 디자인 진흥의 퇴조 | 굿디자인 제도 | 계몽적 디자인과 상업적 디자인 | 서울아시안게임과 서울올림픽대회 | 서울의 선진국형 외형 만들기 | 디자인교육의 변화
2. 가장 세계적이면서 가장 한국적인 디자인
세계화와 한국적 디자인 | 선전물이 된 근대 건축 | 관광산업과 그래픽디자인 | 대중문화에서 나타난 변화 | 디자인 국부론과 기술, 그리고 문화 정체성

5장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화산업화:
디자인 무한경쟁 (1990년대)
1. 디자인 경영과 디자인 신국부론
탈냉전과 무한경쟁 시대 | 국제 상황의 변화와 지식재산권 협약 | 디자인의 격상과 디자인 경영 | 디자인 진흥 정책의 다변화 | IMF 체제와 디자인 신국부론
2. 포스트모더니즘과 한국형 디자인
탈근대화와 세계화 시대 | 전통문화와 대중문화에서 나타난 ‘우리 것’의 재구성 | 문화산업론과 한국형 디자인 | 한국적 건축의 반성

6장 시장경쟁과 글로벌 디자인:
권력을 위한 신무기, 디자인의 재발견 (2000년대 이후)
1. 디자인 전쟁과 브랜드 개발
한류와 글로벌 디자인 | 디자인 전쟁 | 중앙 집중형 디자인 진흥 체제의 해체 | 지방자치와 브랜드 | 지리적표시제와 농산품의 공동브랜드화
2. 공공디자인과 정치
환경개선사업과 공공디자인 | 디자인과 정치 | 디자인과 법 | 디자인 서울 | 디자인 메가프로젝트의 등장 | 디자인·정치·어젠다

덧붙이는 글 - 역사 없는 학문, 한국의 디자인에 대하여
한국 디자인사 서술의 문제점과 역사적 특수성 | 한국 디자인과 문화 정체성 | 한국 디자인의 미래
나오는 글 - 새로운 한국의 디자인 역사를 기다리며

한국 디자인 연표
참고문헌
관련 도서
도판목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