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브랜드와 정체성
1. 도서관 수호신, 토트
2. 도서관의 사회적 역할과 기능
3. 도서관 대표 브랜드
4. 도서관 정체성의 혼란과 극복
Ⅱ. 법적 근거와 운영시스템
1. 도서관의 법적 근거와 역할
2. 도서관 운영의 현주소와 문제
3. 도서관 운영시스템의 난맥과 해법
Ⅲ. 지식 민주주의 파수꾼
1. 사서의 탄생과 진화
2. 사서의 어원과 이미지
3. 사서 양성 및 자격제도의 현주소
4. 사서 양성 및 사서자격제도의 개선
5. 사서 배치기준의 법리와 쟁점
6. 사서직제의 성찰과 대안
Ⅳ. 하이브리드 장서와 서비스
1. 기록매체의 진화와 변용
2. 하이리드 장서개발의 중요성과 지향성
3. 장서 및 도서관의 메타포와 오마주
4. 장서 기반의 도서관서비스
Ⅴ. 지식문화복지와 취약계층서비스
1. 지식문화복지의 함의와 스펙트럼
2. 지식문화복지 취약계층의 현주소
3. 공공도서관 취약계층서비스 분석
4. 취약계층 지식문화복지서비스 강화
Ⅵ. 인문학 프로그램 성찰
1. 인문학의 기원과 유래
2. 인문학의 스펙트럼과 변용
3. 도서관 인문학 담론
4. 도서관 인문학 성찰
Ⅶ. 일반열람실의 불편한 진실
1. 일본의 자습실 역사와 논쟁
2. 한국의 일반열람실 역사와 쟁점
3. 일반열람실 운영실태 및 인식도
4. 일반열람실 개선을 위한 전략적 접근
Ⅷ. 위기 담론과 쿠오바디스
1. 위기의 개념과 함의
2. 공공도서관 위기의 유형과 내용
3. 국내외 공공도서관 위기의 실체와 사례
4. 공공도서관 위기요인의 진단과 해법
5. 공공도서관, 쿠오바디스(Quo Vad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