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한국의 독자들에게
역자 서문
저자 서문
감사의 글

제1장 박물관과 더 좋은 사회
박물관과 더 좋은 사회 관람객에게로 향하는 시선 | 관람객의 반응 조사 | 책의 구성

제2장 편견에 대하여
편견의 정의와 개념화 | 누구를 향한 편견인가 | 편견에 대한 담론적 분석 | 편견의 반대는 무엇일까 | 편견에 대한 저항

제3장 목적, 그리고 메시지: 세인트 뭉고 종교적 삶과 예술 박물관과 안네 프랑크 하우스
세인트 뭉고 종교적 삶과 예술 박물관 | 안네 프랑크 하우스 | 메시지를 받았나요? | 방문의 의도 | 예상치 못한 것과 마주치다 | 결론

제4장 관람객과 전시의 만남: 둘 사이의 조화를 다시 생각하다
텍스트와 능동적인 관람객, 어느 쪽이 결정적 요인일까 | 미디어-관람객 사이의 권력 | 확증인가 대립인가, 아니면 타협인가 | 관용과 편견의 경계를 짓다 | 미디어-관람객의 관계를 다시 생각하다 | 역동성과 상호소통을 반영한 해석 | 결론

제5장 미디어 세계에서의 박물관
박물관 관람객의 유형 | 박물관의 활용 | 진실만을 말하다: 믿음, 권위 그리고 사실성 | 있는 그대로 말하는 박물관? | 결론

제6장 ‘다름’을 전시하는 박물관: 장애의 숨겨진 역사를 드러내어 해석하다
편견의 특수성 | 박물관과 장애 | 각주에 숨겨두다 | 소장품 유형에 따른 유물 | 딜레마를 전시하다 | 빤히 쳐다보기, 그리고 괴물 쇼의 그림자 | 결론

제7장 대화의 판을 새로 짜다
다름에 대한 새로운 대화를 열다 | 어느 편에 설 것인가 | 문화적 권위의 재구성 | 편견의 경계를 넘어서 | 규범적 합의를 새로 정의하다 | 도덕적 리더십 | 박물관과 사회적 책임

부록
부록 1 관람객 응답 조사의 방법론과 연구 계획, 데이터 출처에 대한 주석
부록 2 각주에 숨겨두다: 박물관과 미술관 소장품에 재현된 장애인의 모습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