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어판 서문 = 6
서문 = 9
1장 인간 두뇌의 진화와 그것이 문화에 끼친 영향
1. 움켜쥘 수 있는 손과 자갈 석기 : 아프리카의 원시 호미니드 = 27
2. 시체 청소부에서 전문 사냥꾼으로 : 호모 에렉투스의 긴 여정 = 37
3. 자연으로부터의 해방과 사후세계의 발견 : 네안데르탈인 = 59
2장 문화적 현대성을 향한 대도약
1. 호모 사피엔스, 세계를 정복하다 = 79
2. 현생인류, 유럽을 변화시키다 = 85
3. 그림과 상징, 의사소통과 제의 : 빙하기의 예술 = 107
4. 아프리카에서 태평양까지 = 126
5. 베링 육교를 지나 신세계로 = 137
6. 또 한 번의 대도약 = 149
3장 야영지에서 서남아시아의 원시 도시로
1. 빙하기 이후 레반트 지역에서의 수렵 채집 생활 = 159
2. 비옥한 초승달 지역과 농경생활로 가는 첫걸음 = 167
3. 새로운 시대의 추동력이 되었던 숭배 의식 축제와 제의 장소 = 177
4. 중앙 아나톨리아의 대규모 초기 주거지 = 199
5.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도시화 = 218
4장 유럽으로 확대된 정착생활
1. 아나톨리아 서부에서 그리스까지 : 농경과 가축 사육 = 235
2. 보스포루스 해협 횡단 = 253
3. 초기 농경 생활 : 흑해에서 판노니아 평원까지 = 264
4. 고정된 장소에서의 정착생활, 개혁, 사회 분화 : 유럽 동남부 = 285
5. 키프로스섬에서 대서양까지 : 지중해 해안을 따라서 = 298
5장 알프스산맥에서 발트해까지의 문화 변화
1. 빙하기 종식 이후 사냥과 채집 활동의 전문화 = 317
2. 중부 유럽에서의 농경생활의 시작 = 328
3. 소규모 집단 중심의 경영과 혁신, 지도층 형성과 조상 숭배 = 355
4. 개인의 재발견 : 유럽의 비커 문화 = 373
6장 고대 이집트 문명 이전의 나일강 계곡
1. 플라이스토세 말엽의 수렵 채집 생활자 = 381
2. 수렵 채집 생활에서 가축 사육과 농경생활로의 전환 = 390
3. 이집트 통일 이전의 농경, 원거리 교류, 지배 권력의 형성 = 404
7장 사하라와 사헬 지대의 기후와 문화 발달
1. 빙하기 종식 이후의 기후 변화와 이주의 역사 = 421
2. 사하라 동부 : 호의적 환경에서의 초기 소 유목 = 426
3. 마그레브에서의 수렵 채집 생활과 농경의 시작 = 442
4. 사하라-수단 신석기시대의 사냥, 채집, 소 유목 = 455
5. 장소 결속성과 사헬 지대 중심지들 = 467
8장 아프리카 사하라 이남 지역에서의 더딘 발달
1. 서아프리카에서의 수렵 채집 생활과 가축 사육 그리고 삼림 농업 = 493
2. 중앙아프리카 열대 우림 지역에서의 획득 경제 생활 = 504
3. 동아프리카와 남아프리카에서의 철기시대 이전 문화 = 511
9장 유라시아 스텝과 삼림지역에서의 원시생활
1. 흑해 북부의 농경과 목축 공동체 = 527
2. 볼가강에서 발트해 지역까지, 숲 신석기시대의 수렵 채집 생활자들 = 550
3. 시베리아 스텝과 숲 지대에서의 사냥, 어로, 채집 = 555
4. 우랄산맥과 예니세이강 사이 지역에서 금속 가공과 사회적 분화 = 577
10장 캅카스산맥에서 인도양까지의 문화 발달 과정
1. 트랜스캅카스에서의 원시 농경문화와 야금술의 시작 = 589
2. 정착생활에서 원시 도심지로의 발달 과정 : 이란과 중앙아시아 = 602
3. 원시 농경에서 고등 문명으로의 발달 과정 : 인도 아대륙 = 621
11장 원시 농경문화에서 고등 문명으로 : 동아시아편
1. 기장 농사에서 원시 도시 중심지로 : 황허강 유역 = 649
2. 북중국과 극동 지방에서의 수렵 채집 생활과 돼지 사육 = 662
3. 농업으로 가는 긴 도정 : 한국과 일본 = 674
4. 양쯔강에서의 쌀 경작 = 692
5. 중국 남부, 그리고 동남아시아에서의 생산 경제의 시작 = 703
12장 오세아니아 군도와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1. 파푸아뉴기니에서의 원시 농업과 환경의 변화 = 717
2. 태평양 제도에서의 주거 및 문화 발달의 역사 = 724
3. 오스트레일리아와 애버리지니의 고립된 세계 = 742
13장 북극에서 사막까지, 북아메리카의 생활상
1. 북극과 아북극에서의 생존 = 759
2. 태평양 서북 해안지역의 전문 사냥꾼과 어부 = 772
3. 그레이트플레인스의 들소 사냥꾼 = 782
4. 이스턴 우드랜즈에서의 복합사회의 발달 = 793
5. 사막과 숲 사이 : 서남부 지방에서의 옥수수 경작 = 812
14장 중앙아메리카에서의 원시 고등 문명의 형성
1. 메소아메리카에서의 촌락생활과 경제 = 829
2. 메소아메리카 최초의 고등 문명의 발흥 = 848
3. 중앙아메리카 육교와 카리브 제도에서의 문화 발달 = 863
15장 촌락에서 제의 중심지로 : 남아메리카 초기 문명
1. 안데스산맥 북부에서의 농업과 최초의 권력층 형성 = 875
2. 중앙 안데스산맥 지역에서 초기 고등 문명의 형성 = 891
3. 안데스 남부 지역에서의 늦은 발달 = 912
4. 오리노코와 기아나 사이 지역의 수렵 채집 생활과 초기 농경생활 = 923
5. 아마존 분지에서의 사냥, 채집, 최초의 농경생활 = 931
6. 산간 지대, 해안, 팜파스 사이 지역에서의 원시 문화 발달 = 940
16장 결론 : 비교적 고찰
1. 생각하는 존재로 가는 길과 인류 최초의 혁신적 사건들 = 957
2. 수렵 채집 생활자에서 농경 생활자로 : 자연과의 관계에서 근본적인 변화 = 967
3. 규율의 필요성에서 복잡사회가 성립되기까지 = 990
옮긴이의 말 = 1008
참고문헌 = 1012
찾아보기 = 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