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1부 명동의 역사성
1. 명동, 신문화 수용과 발신의 장소/김선희
2. 복합 영화상영관 메이지좌의 사회사/양인실
3. 걸(girl)들의 시대

2부 명동의 공공성
1. 재한화교의 언론활동과 1960년대 명동/노상호
2. 다원적 성역의 형성과 공존/이현경

3부 명동의 상징성
1. 중국과 일본 여행 가이드북에 나타난 명동/야마모토 아야노, 이매
2. 서울을 움직이는 두 개의 문화/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에필로그
미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