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한.중 근대 지식 교류의 연구 목적과 방법
한.중 근대 지식 교류 연구 목적과 방법 <황종원?허재영>
1. 연구의 목적과 의의
2. 연구 대상과 방법
3. 선행 연구
제2부 근대 중국의 서양서 번역과 보급 과정
제1장 근대 계몽기 한국에 수용된 중국 번역 서학서<강미정.김경남>
1. 서론
2. 근대 계몽기 중국에서의 서양서 번역
3. 근대 계몽기 한국에서의 번역 서학서 수용 양상
4. 결론
제2장 근대 중국어 번역 학술어의 생성 양상과 그 영향 <허재영>
1. 번역 학술어 생성과 보급의 의미
2. 근대 중국에서의 역법(譯法)과 언어
3. ≪청의보≫와 ≪신민총보≫의 학술어 논쟁
4. ≪신명사훈찬≫의 신어(新語)
5. 근대 한국의 학술어에 대한 태도
6. 한국에 영향을 미친 중국 근대 번역 학술어의 의미
제3부 한국에 영향을 미친 중국 근대 지식과 사상
제1장 근대 계몽기 지식 유통의 특징과 역술 문헌 <허재영>
1. 서론
2. 개항에서 갑오개혁까지(1880~1894)
3. 근대식 학제 도입기의 지식 유통과 역술 문헌
4. 통감시대 지식 유통과 역술 문헌
5. 결론
제2장 근대 한국에서의 양계초 저술 번역의 의미 <허재영>
1. 서론
2. ≪음빙실문집≫의 판본과 내용
3. ≪음빙실문집≫ 역술 상황과 의미
4. 결론
제3장 양계초의 유교에 대한 견해가 박은식에게 미친 영향 <황종원>
1. 들어가는 말
2. 양계초의 유교의 근대화 및 종교화에 대한 견해
3. 양계초의 유교에 대한 견해가 박은식에게 미친 영향
4. 나오는 말
제4부 근현대 동아시아 학문 지평의 특징
제1장 양계초 격의 서양철학에 관한 연구 <황종원>
1. 들어가는 말
2. 주자의 격물궁리설로 설명한 베이컨, 데카르트 사상
3. 홉스와 순자, 묵자의 정치사상 사이의 유사성에 대한 설명
4. 칸트와 유식불교, 주자, 왕양명 사이의 유사성에 대한 설명
5. 나오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