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5
제1부
고대가요의 전통과 향가 = 13
詞腦歌 형식 발생론 서설 = 34
향가와 그 배경설화의 수록 양상에 대한 재검토 - 『萬葉集』의 物語歌와의 비교를 통하여 = 58
〈祭亡妹歌〉와 서정 그리고 기형도 = 78
제2부
詩에서의 사소함에 대하여 = 111
19세기 漢文敍事詩의 리얼리티와 近代性 - 李建昌의 〈田家秋夕〉 분석 = 132
白石의 〈修羅〉와 그 주변 - 사설시조에서 유래하는 근대시의 한 유형에 대하여 = 158
시인인가 죄인인가 - 궁핍의 시학 = 185
슬픈 천명으로서의 문학 - 문학과 종교 = 200
제3부
사슴과 마귀할멈 - 노천명 전집, 『사슴』과 『나비』에 대하여 = 215
申東曄 생각 = 221
가난한 시인의 보람 - 천상병 小論 = 230
눈물 혹은 승화 - 박재삼 小論 = 238
우주의 숨통 - 정현종 小論 = 244
농촌현실과 새로운 詩的 대응 - 하종오의 『반대쪽 천국』 = 255
부조리한 삶과 현실의 변증 - 최영철의 『그림자 호수』 = 266
찾아보기 = 277
초출일람 = 283

[국립중앙도서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