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며

1장 공공역사란 무엇인가
1. 공공역사의 역사와 제도화
1—미국과 세계의 공공역사
2—독일의 공공역사
2. 공공역사의 개념과 실제
3. 공중 속의 역사: 공공역사의 선도 개념인 역사문화와 기억문화

2장 역사교육과 공공역사
1. 공중의 역사 전유
2. 역사교육의 원리: 내러티브, 역사적 상상, 다원적 관점
1—내러티브
2—역사적 상상
3—다원적 관점
4—공공역사 생산을 위한 역사교육의 표준
3. 사회적 차원 I: 다양성
1—다양성, 사회, 역사
2—인종, 계급, 젠더: 다양성과 교차성 연구의 사회적 범주
4. 사회적 차원 II: 포용
1—사례 1: 20세기 초 아르메니아인 제노사이드
2—사례 2: 동성애의 역사

3장 공공역사 방법론
1. 물질문화
2. 이미지 역사
3. 소리 역사
4. 역사 매개에서 구술사와 시대 증인
1—구술사 인터뷰
2—‘시대 증인’이라는 존재
5. 리빙 히스토리

4장 공공역사와 미디어
1. 미디어가 ‘진실한’ 역사를 만든다: 공공역사의 미디어 구성력인 진본성과
미디어 전유
2. 텍스트와 이미지 관련 출판 미디어
1—역사소설
2—역사 전문서
3—역사 전문잡지
4—만화
3. 시청각 미디어: 영화와 텔레비전 속의 역사
4. 디지털 미디어

5장 박물관과 기념관
1. 박물관과 기념관의 개념과 역사
1—박물관의 기원과 발전
2—1945년 이후 독일에서 기념관의 발전
2. 박물관 연구의 방법
1—박물관학
2—박물관 분석과 전시 분석
3. 전시 제작과 교육

6장 공공역사 교육
1. 대학 교육: 이론과 실제의 결합
2. 석사 논문: 분석 및 수행 과제
1—역사 제시의 분석
2—수행 과제와 프로젝트 관리
3. 경력 개발
1—대학 교육
2—인턴십
3—박사학위
4—수습사원
4. 학문과 이벤트 사이에서: 공공역사의 연구지침과 윤리지침
5. 직업 분야
1—미디어
2—박물관과 기념관
3—정치
4—경제

옮긴이 해제
도판과 표
약어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