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제1부 아리랑 연구사
Ⅰ. 서 론
Ⅱ. 논점별 연구상황
1. 아리랑 후렴구와 사설의 뜻
2. 노래의 성격
3. 영화 ‘아리랑’노래와의 관계
4. 각편(version)의 명칭
5. 종합적 저작물
6. 문화콘텐츠?아리랑學
Ⅲ. 결 론

제2부 아리랑 연구의 現況과 課題
Ⅰ. 서 론
Ⅱ. 植民史觀에 의한 아리랑 연구의 歪曲
Ⅲ. 고증을 통한 원형적 本質의 추출
Ⅳ. 原形에 기초한 후렴구 암호문의 解讀
1. 후렴구의 유형
2. 아아리랑
3. ‘아리랑’의 뜻
4. 암호화 과정
Ⅴ. 結論 및 향후 課題

제3부 아리랑 원형연구
Ⅰ. 서 론
1. 학술적 논점
2. 전개방향
Ⅱ. 기존 학설들의 방향과 연구사적 비전
1. 아리랑 발생설의 허구
2. 관련 학설들의 문제점 및 지향
Ⅲ. 문헌적 존재양상
1. 문헌상의 실태
2. 추정되는 연원
Ⅳ. <아리랑> 노랫말 표기의 역사적 성격
1. 원곡(元曲)과의 교섭 및 자주적(自主的) 발전
2. 기존 향찰(鄕札) 표기의 변용(變容)
Ⅴ. <아리랑>에 관한 해석적 의미의 가능태
1. <아리랑> 노랫말의 언어적 특성
2. ‘아리랑’의 의도적인 뜻
3. ‘아리랑 고개’의 숨은 뜻
4. ‘아리랑’의 본래적인 뜻
Ⅵ. <아리랑>의 구조 및 시 문법
1. 독백체 구조
2. 대화체 구조
3. 참요적 특성
Ⅶ. <아리랑>의 원형 및 의미적 정합성(整合性)
1.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의 의미
2. ‘십리도 못 가서 발병난다’의 의미
3. ‘아리랑 고개를 넘어 간다’의 의미
Ⅷ. 향후 연구방향
Ⅸ. 국문 및 영문 요약
1. 아리랑 원형연구의 개요
2. A Study on Original Arirang

참고문헌
색인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