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1. 서론 1
1.1. 대상과 목적 1
1.2. 책의 구성 3
1.3. 보충문헌 4
2. 통계와 엑셀의 기초 7
2.1. 통계의 개념 7
2.2. 모집단과 표본 9
2.3. 변인과 측정 11
2.4. 엑셀의 기초 14
연습문제 22
3. 빈도 23
3.1. 도수분포 23
3.2. 다른 자료 표현 방식 30
3.4. 언어 자료와 빈도 33
연습문제 39
4. 평균과 분산 41
4.1 평균 41
4.2. 분산 43
4.3. 언어 자료와 평균, 분산 47
연습문제 51
5. 확률 53
5.1. 확률의 기초 53
5.2. 이산확률 62
5.3. 언어 자료와 확률 68
연습문제 73
6. 정규분포 75
6.1. 정규분포 곡선 75
6.2. 표본분포 통계 83
6.3. 언어 자료와 정규분포 86
연습문제 90
7. 추정 91
7.1. 추정이란? 91
7.2. 모집단 표준편차를 아는 경우와 모르는 경우 92
7.3. 표본 크기와 모집단 비율결정 97
7.4. 언어 자료와 추정 98
연습문제 103
8. 검정 105
8.1. 연구가설과 영가설 105
8.2. 모집단 표준편차를 아는 경우와 모르는 경우 109
8.3. 모비율 113
8.4. 언어 자료와 검정 114
연습문제 117
9. 모수통계 119
9.1. 평균비교란? 119
9.2. 표준편차를 아는 경우와 모르는 경우 120
9.3. 대응표본 127
9.4. 언어 자료와 모수통계 131
연습문제 133
10. 비모수통계 135
10.1. 비모수 통계란? 135
10.2. 만-위트니 U 검정 136
10.3. 윌콕슨 부호순위검정 139
10.4. 부호검정 141
10.5 언어 자료와 비모수통계 143
연습문제 145
11. 카이제곱 검정 147
11.1 카이제곱 검정이란? 147
11.2. 비율에 의한 가설 검정 149
11.3. 독립성 검정 151
11.3. 언어 자료와 카이제곱 검정 154
연습문제 160
12. F-분포 161
12.1 F-분포란? 161
12.2. F-검정 165
12.3. 다변량 F-검정 170
12.4. 언어 자료와 F-검정 173
연습문제 176
13. 상관성과 회귀분석 177
13.1 상관성과 회귀분석이란? 177
13.2. 상관성 180
13.3. 회귀분석 185
13.4. 언어 자료와 상관성, 회귀분석 193
연습문제 198
14. 결론 199

연습문제 풀이 203

부록 209
통계표 209
참고문헌 219
찾아보기 225























▪서문  
▪이 책의 구성  

제1부
언어 자료 분석의 변천과 언어 자료

제1장 언어 자료 분석 방법의 이론적 배경과 변천
1. 학습자는 왜 오류를 만들까: 오류 분석  
2. 어떤 문법 형태는 왜 잘 사용할까: 필수 경우 분석과 빈도 분석   
3. 언어 형태는 어떤 기능을 수행할까: 형태-기능 분석과 기능-형태 분석 
4. 학습자의 언어 발달은 무엇으로 측정할까: 정확성, 유창성, 복잡성 분석  
5. 언어 학습의 상대방은 학습자에게 어떤 역할을 할까: 상호작용 분석과 대화 분석    

제2장 언어 자료 수집 방법과 연구 자료 선택
1. 어떤 연구 자료를 가지고 있는가 : 연구 자료 모으기 
2. 종적 연구의 자료와 횡적 연구의 자료는 다른가: 연구 방법 선택하기  
3. 필요한 자료는 어떤 방법으로 모을까: 연구 자료 수집 방법   
4. 학습자 말뭉치(corpus)는 모든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가: 말뭉치 기반 연구  

제2부
학습자 언어 자료 분석 방법

제1장 오류 분석(Error Analysis)
1. 오류 분석 방법 및 분석 절차
2. 한국어교육의 오류 분석 연구 경향  
3. 오류 분석 방법의 실제  

제2장 필수 경우 분석(Obligatory Occasion Analysis)
1. 필수 경우 분석 방법 및 분석 절차  
2. 한국어교육의 필수 경우 분석 연구 경향 
3. 필수 경우 분석 방법의 실제  

제3장 빈도 분석(Frequency Analysis)
1. 빈도 분석의 방법 및 절차 
2. 한국어교육의 빈도 분석 연구 경향 
3. 빈도 분석 방법의 실제  

제4장 형태-기능 분석(Form-functional Analysis)
1. 형태-기능 분석 방법 및 분석 절차  
2. 한국어교육의 형태-기능 분석 연구 경향   
3. 형태-기능 분석 방법의 실제  

제5장 기능-형태 분석(Functional-form Analysis)
1. 기능-형태 분석 방법 및 분석 절차  
2. 한국어교육의 기능-형태 분석 연구 경향  
3. 기능-형태 분석 방법의 실제  

제6장 복잡성, 정확성, 유창성 분석(Analysing Complexity, Accuracy, Fluency)
1. 복잡성, 정확성, 유창성 분석 방법 및 분석 절차  
2. 한국어교육의 복잡성, 정확성, 유창성 분석 연구 경향  
3. 복잡성, 정확성, 유창성 분석 방법의 실제  

제7장 상호작용 분석(Interactional Analysis)
1. 상호작용 분석 방법 및 분석 절차   
2. 한국어교육의 상호작용 분석 연구 경향  
3. 상호작용 분석 방법의 실제  

제8장 대화 분석(Conversation Analysis)
1. 대화 분석 방법 및 분석 절차   
2. 한국어교육의 대화 분석 연구 경향  
3. 대화 분석 방법의 실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