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 21
1.1. 연구 목적 21
1.2. 선행 연구 23
1.2.1. 한국어 시각 형용사에 대한 선행 연구 24
1.2.2. 중국어 시각 형용사에 대한 선행 연구 27
1.2.3. 한중 시각 형용사에 대한 대조 연구 28
1.3. 연구의 범위 30
1.4. 논의의 구성 35

제2장 시각 형용사의 개념과 의미 분석 ● 39
2.1. 시각 형용사의 개념 및 하위분류 39
2.2. 시각 형용사의 의미 분석 방법 42
2.3. 시각 형용사의 단의 분포 양상 60

제3장 한중 밝기 형용사의 의미 확장 양상 ● 65
3.1. 명암(明暗) 66
3.1.1. 밝다/亮 66
3.1.2. 어둡다/暗 86
3.2. 청탁(靑濁) 104
3.2.1. 맑다/靑 105
3.2.2. 흐리다/渾 121
3.3. 농담(濃淡) 136
3.3.1. 짙다/濃 136
3.3.2. 옅다/淡 148
3.4. 밝기 형용사 의미 확장 양상의 대조 165

제4장 한중 색채 형용사의 의미 확장 양상 ● 169
4.1. 무채색(無彩色) 169
4.1.1. 흑색(黑色) 169
4.1.2. 백색(白色) 177
4.2. 유채색(有彩色) 185
4.2.1. 황색(黃色) 185
4.2.2. 홍색(紅色) 192
4.2.3. 청색(靑色) 201
4.3. 색채 형용사 의미 확장 양상의 대조 212

제5장 한중 크기 형용사의 의미 확장 양상 ● 215
5.1. 장단(長短) 216
5.1.1. 길다/長 216
5.1.2. 짧다/短 227
5.2. 고저(高低) 238
5.2.1. 높다/高 238
5.2.2. 낮다/低 258
5.3. 심천(深淺) 272
5.3.1. 깊다/深 273
5.3.2. 얕다/淺 287
5.4. 광협(廣狹) 299
5.4.1. 넓다, 너르다/寬 299
5.4.2. 좁다, 솔다/窄 314
5.5. 조세(粗細) 328
5.5.1. 굵다/粗 328
5.5.2. 가늘다/細 346
5.6. 후박(厚薄) 361
5.6.1. 두껍다/厚 361
5.6.2. 얇다, 엷다/薄 372
5.7. 대소(大小) 391
5.7.1. 크다/大 391
5.7.2. 작다/小 409
5.8. 크기 형용사 의미 확장 양상의 대조 424

제6장 한중 모양 형용사의 의미 확장 양상 ● 427
6.1. 정사(正斜) 428
6.1.1. 바르다, 곧다/正, 直 428
6.1.2. 비뚤다, 굽다/偏, 歪, 斜, 彎 446
6.2. 원형(圓形):둥글다/圓 465
6.2.1. ‘둥글다’ 465
6.2.2. ‘圓’ 468
6.2.3. ‘둥글다’와 ‘圓’의 대조 470
6.3. 모양 형용사 의미 확장 양상의 대조 472

제7장 결론 ● 4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