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부 근대 한국어학의 지적 기반 성찰
제1장 들리지 않는 소리, 혹은 발설되지 않는 말과 '국어'의 구상 - 근대계몽기 국문 담론 분석
1. 들어가는 말 - '대상'에 선행하는 '관점'의 문제 = 19
2. 균질화와 국민화 - 근대의 포획 장치 = 22
3. 소리의 특권화와 '국문'의 재발견 = 29
4. 말의 새로운 층위와 '국어'의 구상 = 37
5. 나가는 말 - 언어의 '자연성'이라는 문제 = 50
제2장 근대계몽기 한자 훈독식 표기에 대한 문제
1. 들어가는 말 = 52
2. 한자 훈독식 표기의 제안 = 55
3. 한자 훈독식 표기의 실제 = 66
4. 한자 훈독식 표기에 대한 평가 = 81
5. 나가는 말 = 88
제3장 '음성 중심주의'와 '과학주의'에 대하여 -「한글마춤법통일안」(1933) '총론' 재론
1. 들어가는 말 = 91
2. 소리나는 대로 적는다는 것 - 표음주의라는 문제 = 96
3. 어법에 맞도록 한다는 것 - 형태주의라는 문제 = 105
4. '언어학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 - 메타언어학이라는 관점 = 115
5. 나가는 말 - 균질적 단일언어 사회와 근대적 표기 규범의 관계 = 124
제4장 초기 '국어문법' 성립의 몇 가지 쟁점에 대하여 - 품사 분류와 '보조어간' 설정의 문제
1. 들어가는 말 = 128
2. 김두봉의『조선말본』(1916)과 '겻'의 갈래 = 131
3. 최현배의「조선어의 품사분류론」(1930)과 '보조어간' = 137
4. 박승빈의『조선어학강의요지』(1931)와 '조용사' = 146
5. 나가는 말 - '보조어간' 문제의 현재적 의의 = 153
제5장 분열된 근대 한국어학의 발자취 - 북한의 규범문법 성립 과정을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 157
2. 현재 북한 문법에서의 '토'의 분류 = 161
3.『조선어문법』1(1960)과 '토-형태조성의 접사'라는 체계 = 166
4.『조선어문법』1(1960)에 대한 문제제기와 '자리토-끼움토' 체계의 성립 = 177
5. 나가는 말 = 188
제2부 언어적 근대의 극복이라는 문제
제1장 '과학으로서의 언어학'이라는 난점 - 1930년대 홍기문의 언어 연구 검토
1. 들어가는 말 - '가갸날' 기념과 그 이견 = 197
2. 1930년대 '조선학운동'의 안과 밖 = 202
3. 분열된 '과학', 혹은 이중 기준 = 207
4. '과학', 아직 오지 않은 그러나 지체될 수 없는 = 217
5. 나가는 말 - '새로운 시대'의 언어학을 위하여 = 224
제2장 '국어학'이라는 사상 - 근대언어학의 정치적 함의에 대하여
1. 들어가는 말 - 칸트 미학과 근대언어학의 '순수한 시선' = 231
2. 자연에서 사회로, 혹은 '하나의 언어'와 '균질적 언어공동체'의 (불)가능성 = 237
3. '국어' 없는 '국어학' - 주시경의『국문문법』(1905)의 경우 = 246
4. 식민지 사회와 과학, 혹은 과학으로서의 언어학이라는 난점 = 253
5. 나가는 말 = 265
제3장 '국어의 사상'을 넘어선다는 것에 대하여 -『겨레말큰사전』의 경우
1. 들어가는 말 = 267
2. '국어의 사상'과 언어적 근대 = 270
3. 균질적 주체의 형성과 근대적 산문 문체 - 중립적 매체라는 신화 = 276
4. 무표화되지 않는 변종들의 공존 -『겨레말큰사전』에서의 남북 언어 통합 = 284
5. '국어문법'에서의 '국가연합' 혹은 '연방제'라는 문제 = 292
6. 나가는 말 - 새로운 언어학에 대한 요청 = 300
제4장 언어적 근대의 극복을 위하여 - 가스야 게스케의『언어ㆍ헤게모니ㆍ권력』서평
1. 촘스키와 푸코, 그리고 가스야의 일반문법 - 일반문법의 정치학 = 303
2. 근대의 새로운 권력 양식과 언어의 문제 - 언어와 헤게모니 = 312
3. '국어'의 사상과 언어의 존재론이라는 문제 - 전체론적 언어상의 형성 = 320
4. 언어적 근대의 극복을 위하여 = 329
제5장 등가교환의 의사소통 모델 넘어서기
1. 야콥슨의 의사소통 모형과 근대언어학 = 341
2. 교환양식과 의사소통이라는 문제 = 346
3. '언어'라는 대상에 선행하는 '관점'의 문제 = 353
참고문헌 = 361
초출일람 = 371
간행사 = 372


[국립중앙도서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