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3
제1장 극마당으로 재현된 근대계몽기 신문 공간 = 11
1. 개요 = 11
2. 연구사 검토와 문제제기 = 19
3. 근대적 장소로서 신문의 공간성 = 27
제2장 연희마당, 근대계몽기 공론장의 실체를 구성하는 지각 공간 = 37
1. 무동연희장(舞童演戱場)ㆍ희대(戱臺)ㆍ협률사, 근대계몽기 신문 공간-기계 = 39
2. 신문종람소(新聞縱覽所), 근대계몽기 신문의 공간-기계 = 50
3. '연극개량', 신문 공간에서 근대성 배치 전략 = 59
4. 풍류성(風流聲) 낭자한 신문 공간의 지각구조 = 79
5. 기생ㆍ여성 - 연행자의 신체로 재현된 신문의 근대적 지각 주체 = 91
6. 연행자로 재현된 독자 = 98
제3장 근대계몽기 신문의 의사소통 모델과 연행 텍스트의 배치 = 105
1. 신문 공간의 지각구조 배치 전략을 논하다 - 극담(劇談) 텍스트 = 105
2. 연행적 논술 텍스트의 담론구조 = 116
3. 논설류 연행 텍스트의 지각구조 = 123
4. '한반도가 연극장이 되었구나' - 연행적 담화로 재현된 공간, 시사평론류 연행 텍스트 = 128
5. 연희 경험과 연행적 구술 감각으로 구성된 독자투고 연행 텍스트 = 141
제4장 잡보(雜報)로 연행된 '시사평론' -『대한매일신보』를 중심으로 = 171
1. 잡보를 연행 텍스트로 번역한 '시사평론' = 172
2. 잡보와 시사평론의 상호 텍스트 비교 = 178
3. 시사평론과 연행 레파토리의 상호 텍스트성 = 186
4. 신문연재와 연행적 지각 방식의 관계 = 219
5. 근대계몽기 신문의 관찰자 - 연희 필사자(scripter) = 242
제5장 연극소셜 = 267
1. 산대류 연재소설 = 270
2. 소설「골계 절영신화」의 연행성 = 273
3. 연극소셜「구마검」의 구조 - 문학 이전 시대의 드라마적 패러다임 = 290
4. 신문과 연행 텍스트 구성의 메커니즘 = 326
5. 신문'소셜'의 구술드라마적 속성 = 331
제6장 결론 = 337
참고문헌 = 344
간행사 _ 근대 한국학총서를 내면서 = 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