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글 = 3
일러두기 = 5
1부 불교에 대한 이해
Ⅰ. 불교의 발생과 전파 = 13
1. 불교란? = 13
2. 인도 불교의 변화 = 15
3. 불교의 중국전래 = 20
Ⅱ. 한국 불교에 대한 이해 = 22
1. 불교의 전래와 수용 = 24
1) 삼국시대 불교의 전래와 수용 = 24
2) 삼국시대 불교 수용의 특징 = 30
3) 불교수용에 따른 변화 = 31
2. 통일신라시대의 불교 = 35
1) 통일신라 전기의 불교 = 35
2) 통일신라 후기(하대)의 불교 = 36
3. 고려시대의 불교 = 41
1) 고려 전기 불교계의 재편 = 41
2) 불교개혁운동(신앙결사운동) = 45
3) 고려 말의 불교계 동향 = 48
4. 조선시대의 불교 = 50
1) 조선 전기 불사 폐지와 종단의 통ㆍ폐합 = 50
2) 조선후기 배불(排佛)과 불교계의 흐름 = 53
5. 근대불교 = 55
2부 불교문화재
Ⅰ. 가람의 형성과 변천 = 59
1. 가람의 기원 = 59
1) 절이란 이름은 어떻게 생겼나 = 59
2) 절이 산으로 간 까닭은? = 62
3) 가람이 지닌 상징성 = 64
2. 한국의 가람배치 = 67
1) 삼국시대의 가람배치 = 67
2) 통일신라시대의 가람배치 = 70
3) 고려시대의 가람배치 = 71
4) 조선시대의 가람배치 = 71
3. 가람건축의 구성요소 = 73
1) 가람구조 = 73
2) 가람건축의 구성요소 = 75
4. 가람건축양식 = 89
1) 지붕양식 = 89
2) 공포양식 = 91
3) 기둥양식 = 93
4) 기단양식 = 94
5) 초석(주춧돌)양식 = 95
Ⅱ. 불상 = 96
1. 불상(佛像)의 기원 = 96
1) 불상의 기원 = 96
2) 불상 조각의 기준 : 32길상 80종호 = 98
3) 불상의 기본 명칭 = 101
4) 불상의 손모양(수인) = 109
2. 불상의 종류와 구분 = 113
1) 여래상 = 113
2) 보살상 = 120
3) 신중(神衆)상 = 128
3. 한국불상의 특징 = 135
1) 삼국시대의 불상양식 = 136
2)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양식 = 139
3) 고려시대의 불상 양식 = 144
4) 조선시대의 불상 양식 = 147
Ⅲ. 한국의 탑 = 149
1. 탑의 기원 = 151
1) 탑의 의미=부처의 무덤에서 유래 = 151
2) 탑의 기원 = 151
3) 탑의 종류 = 153
2. 탑의 부분별 이름 = 157
3. 석탑의 시대별 특징 = 162
1) 삼국시대 : 석탑의 발생과 시원 양식 = 162
2) 통일신라시대 석탑의 양식 = 165
3) 고려와 조선시대의 석탑 = 180
Ⅳ. 기타 = 186
1. 부도(浮屠) = 186
2. 석등 = 193
3. 범종 = 197
참고문헌 = 203
찾아보기 = 206



[국립중앙도서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