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며 - 허락된 시간에 감사하며 살아갈 기적을 꿈꾼다
김종삼의 시와 삶 - 풍경의 배음과 문학적 저항

1부 – 소리 나지 않는 완벽

G·마이나, 「연대시집•전쟁과음악과희망과」, 자유세계사, 1957.
십이음계十二音階의 층층대層層臺, 『현대문학』, 1960. 11.
주름간 대리석大理石, 「현대문학」, 1960. 11.
음音, 「현대시」 제3집, 1963. 1.
단모음短母音, 「현대시」 제5집, 1963. 12.
샹뼁, 「신동아」, 1966. 1.
앙포르멜, 「현대시학」, 1966. 2.
배음背音, 「현대문학」, 1966. 2.
문장수업文章修業, 「현대한국문학전집 18·52인시집」, 신구문화사, 1967.
스와니강江이랑 요단강江이랑, 「현대한국문학전집 18·52인시집」, 신구문화사, 1967.
미사에 참석參席한 이중섭씨李仲燮氏, 「현대문학」, 1968. 8.
음악音樂—마라의 「죽은 아이를 추모追慕하는 노래」에 부쳐서, 「십이음계」, 삼애사, 1969.
아뜨리에 환상幻想, 「십이음계」, 삼애사, 1969.
시인학교詩人學校, 「시문학」, 1973. 4.
피카소의 낙서落書, 「월간문학」, 1973. 6.
올페, 「심상」, 1973. 12.
미켈란젤로의 한낮, 「문학과지성」, 1977. 봄.
최후最後의 음악音樂, 「현대문학」, 1979. 2.
내가 죽던 날, 「현대문학」, 1980. 4.
라산스카, 「누군가 나에게 물었다」, 믿음사, 1982.

2부 – 주검의 갈림길도 없는

원정園丁, 「신세계」, 1956. 3.
전봉래全鳳來, 「연대 시집•전쟁과음악과희망과」, 자유세계사, 1957.
오월五月의 토끼똥·꽃, 「한국전후문제시집」, 신구문화사, 1961.
아우슈뷔치, 「현대시」 제5집, 1963. 12.
소리, 「조선일보」, 1965. 12. 5.
오五학년 일一반, 「현대시학」, 1966. 7.
지대地帶, 「현대시학」, 1966. 7.
묵화墨畵, 「월간문학」, 1969. 6.
돌각담, 「십이음계」, 삼애사, 1969.
두꺼비의 역사轢死, 「현대문학」, 1971. 8.
엄마, 「현대시학」, 1971. 9.
장편掌篇, 「월간문학」, 1976. 11.
아우슈비츠 라게르, 「한국문학」, 1977. 1.
민간인民間人, 「시인학교」, 신현실사, 1977.
기동차가 다니던 철뚝길, 「시인학교」, 신현실사, 1977.
앤니 로리, 「세대」, 1978. 5.
장편掌篇, 「문학과지성」, 1980, 여름.
소곰 바다, 「세계의문학」, 1980. 가을.
소공동 지하 상가, 「누군가 나에게 물었다」, 민음사, 1982.
서시序詩, 「평화롭게」, 고려원, 1984.

3부 – 받기 어려운 선물

받기 어려운 선물처럼, 「연대 시집·전쟁과음악과희망과」, 자유세계사, 1957.
쑥내음 속의 동화, 「지성」, 1958. 가을.
드빗시 산장 부근, 「사상계」, 1959. 2.
부활절復活節, 「한국전후문제시집」, 신구문화사, 1961.
라산스카, 「현대문학」, 1961. 7.
라산스카, 「자유문학」, 1961. 12.
라산스카, 「현대시」 제4집, 1963. 6.
나, 「자유공론」, 1966. 7.
북치는 소년, 「현대한국문학전집 18·52인시집」, 신구문화사, 1967.
라산스카, 「신동아」, 1967. 10.
나의 본적本籍, 「본적지」, 성문각, 1968.
무슨 요일曜日일까, 「본적지」, 성문각, 1968.
물통桶, 「본적지」, 성문각, 1968.
유성기留聲機, 「현대시학」, 1974. 3.
따뜻한 곳, 「월간문학」, 1975. 4.
어부漁夫, 「시문학」, 1975. 9.
장편掌篇, 「시문학」, 1975. 9.
새, 「심상」, 1977. 1.
평범한 이야기, 「신동아」, 1977. 2.
누군가 나에게 물었다, 「누군가 나에게 물었다」, 민음사, 1982.

김종삼 시와 오민준의 캘리그라피에 대한 소고 - 김종삼의 시정詩情과 오민준의 서의書意
김종삼 연보 - 잔잔한 성하星河의 흐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