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Ⅰ. 근대계몽기와 국한문체 = 11
1. 국한문체 글쓰기의 배경과 지향 = 13
2. 국한문체 분석의 방법 = 21
선행연구의 정리 = 21
계몽기 잡지와 국한문체 = 28
국한문체의 분석방법 = 31
Ⅱ. 계몽기의 단체와 잡지 = 41
1. 새로운 단체와 잡지 =43
1) 근대적 단체와 잡지의 등장 = 43
2) 당시 발간된 잡지들의 개황 = 54
정치단체의 기관지 = 55
학회들의 기관지 = 59
일본 유학생 단체의 기관지 = 62
상업적 성격의 잡지 = 67
2. 잡지의 체제와 지향 = 72
1) 잡지의 편집 체제 = 72
2) 논설의 경향 = 76
3) 학술ㆍ교양의 성격 = 81
4) 문예적 글쓰기의 양상 = 88
3. 언어의식의 전환과 국한문체 = 96
자국어 의식의 대두 = 96
과도기적 국한문체 = 105
Ⅲ. 잡지에 실현된 국한문체 = 113
1. 국한문체의 유형: 1유형(한문 문장체), 2유형(한문 구절체), 3유형(한문 단어체) = 115
1유형 : 한문 문장체, 한주국종(漢主國從)의 양상 = 126
2유형 : 한문 구절체, 국주한종(國主漢從)의 시도 = 133
3유형 : 한문 단어체, 국주한종(國主漢從)의 양상 = 138
문장유형과 언어ㆍ문화적 의식 = 143
2. 국한문체의 수사학 = 146
1) 국한문체의 과제 = 146
2) 한문전통의 적용 = 151
3) 국문체의 도입-연설체를 중심으로 = 159
4) 번역의 영향 = 169
5) 국한문체의 수사적 실험 = 181
Ⅳ. 근대계몽기 국한문체의 전개 = 191
1. 국한문체 문장유형의 잡지별 분포 = 193
1) 국한문체 유형의 분포 상황 = 193
2) 전체적 변화 과정 = 209
2. 국한문체 수사학의 변천양상 = 218
1) 수사의 변천 = 218
국내 잡지 작가들의 경우 = 219
유학생 잡지 작가들의 경우 = 277
2) 문장구조의 정비과정 = 234
3) 논리와 사상의 탐색 = 243
국내 작가들의 경우 = 244
유학생 작가들의 경우 = 252
국한문체의 수사학적 전개와 문장유형의 교체과정 = 258
3.《소년》의 문체적 특성과 계몽기 국한문체 = 262
1)《소년》의 문체와 편집의 성격 = 262
《소년》의 국한문체 = 265
편집 체제와 성격 = 268
2) 문체의 전환과 그 한계 = 277
《소년》의 문체적 전환 = 277
《소년》문체의 한계 = 287
3) 계몽기 국한문체와 1910년대 잡지의 문체 = 295
1910년대 초반 잡지에 나타난 당대의 언어상황 = 295
근대계몽기 국한문체의 형성과정 = 299
Ⅴ. 계몽기의 국한문체-한문의 정당한 위치규정을 위하여 = 303
잡지로 보는 국한문체의 형성과정 = 305
계몽기 국한문체의 의미-국문과 한문, 우리와 타자의 대립을 넘어서 = 311
이후의 과제 = 315
영문요약 = 317
참고자료 : 근대계몽기 잡지의 문장유형 분포도 = 321
〈부록〉
1.〈대동제국사서언(大東帝國史敍言)〉의 해제 = 357
2.〈대동제국사서언〉의 번역문 = 372
3.〈동방 고대의 각인종〉의 번역문 = 392
참고문헌 = 397
찾아보기 = 403

[국립중앙도서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