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4
제1장 음운론과 어문규범 10
1. 음운론의 연구 대상과 목표 11
1.1. 연구 대상 11
1.2. 연구 목표 15
2. 어문규범과의 관계 19
2.1. 한글 맞춤법과 음운론 21
2.2. 표준 발음법과 음운론 26
2.3. 외래어 표기법과 음운론 29
2.4.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과 음운론 32

제2장 음성학과 음성 34
1. 음성학 35
1.1. 조음 음성학 36
1.2. 음향 음성학 39
1.3. 청취 음성학 40
2. 음성 42
2.1. 국제음성기호 44
2.2. 자음 48
2.2.1. 조음위치 48
2.2.2. 조음방법 53
2.2.3. 발성방법 59
2.3. 모음 62
2.3.1. 단모음 62
2.3.2. 반모음과 이중모음 67

제3장 음소와 음소체계 70
1. 음성과 음소 71
2. 음소 분석 74
2.1. 최소대립쌍과 음소 75
2.2. 배타적 분포와 결합 변이음 77
2.3. 자유 분포와 임의 변이음 80
3. 음소 목록 82
3.1. 자음소와 어문규범 84
3.2. 모음소와 어문규범 85
3.2.1. 단모음 목록과 어문규범 85
3.2.2. 이중모음 목록과 어문규범 87
4. 이음규칙 93
5. 음소체계 95
5.1. 변별자질 95
5.2. 단모음 체계 99
5.3. 반모음과 이중모음 체계 101
5.4. 자음 체계 103

제4장 음절 110
1. 음절과 음절구조 111
2. 음절구조제약 118
2.1. 초성 제약 118
2.2. 중성 제약 119
2.3. 종성 제약 121
3. 음소결합제약 126
3.1. 음절 내부 제약 126
3.1.1. 초성과 중성의 결합제약 126
3.1.2. 중성과 종성의 결합제약 129
3.2. 형태론적 제약 130
3.2.1. 어두음 제약 130
3.2.2. 형태소 결합제약 131

제5장 운소 134
1. 운소 체계 135
1.1. 길이 135
1.2. 억양 138
1.3. 끊어읽기 140
2. 운소의 변동 142
2.1. 짧은소리되기 142
2.2. 긴소리되기 147

제6장 음소 변동과 규칙 150
1. 변동규칙 151
1.1. 형태소와 기저형 151
1.2. 기저형과 단수 표기형 156
1.3. 단수 표기형과 변동규칙 158
1.4. 변동규칙의 하위분류 159
1.4.1. 결과에 따른 분류 159
1.4.2. 원인에 따른 분류 161
1.4.3. 적용 범위에 따른 분류 163
1.4.4. 규범문법의 분류 165
2. 음절구조제약에 따른 변동 171
2.1. 연음 171
2.2. 평파열음화 177
2.3. 자음군단순화 181
3. 자음 연쇄로 인한 변동 188
3.1. 비음화 188
3.2. 자음 위치동화 190
3.3. 경음화 193
3.3.1. 불파음 뒤의 경음화 193
3.3.2. 유성자음 뒤의 경음화 198
4. ‘ㅎ’으로 인한 변동 205
4.1. 격음화 206
4.2. ‘ㅎ’ 탈락 210
5. ‘ㄹ’로 인한 변동 214
5.1. 유음화 215
5.2. ‘ㄹ’ 비음화 218
6. ‘ㅣ’로 인한 변동 224
6.1. 구개음화 224
6.2. ‘ㅣ’ 역행동화 227
6.3. ‘j’ 첨가 230
6.4. ‘ㄴ’ 첨가 234

제7장 표기에 반영된 음소 변동 242
1. 복수 표기형과 음소 변동 243
2. 두음법칙 248
3. ‘ㄹ’ 탈락 255
3.1. 어간 끝 ‘ㄹ’ 탈락 255
3.2. 복합어에서의 ‘ㄹ’ 탈락 259
4. 모음 탈락 261
4.1. 어간 끝 ‘ㅡ’ 탈락 261
4.2. 어미 모음 ‘아/어’ 탈락 262
5. 반모음화 264
6. 모음조화 269
7. ‘-하다’ 관련 음운현상 273
8. 사잇소리 현상 277
8.1. 사이시옷 있는 사잇소리 현상 279
8.2. 사이시옷 없는 사잇소리 현상 283
9. 불규칙활용 287
9.1. 어간 불규칙 289
9.1.1. ‘ㅅ’ 불규칙 290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