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Ⅴ
제1부 토대
제1장 단어 연구 2
1. 단어 연구의 목적 2
2. 단어 연구의 속성 6
3. 단어 연구의 영역 10
제2장 단어를 바라보는 관점 19
1. 형태와 의미 19
2. 분석과 형성 22
3. 공시와 통시 24
4. 통합관계와 계열관계 27
제3장 단어의 정체 32
1. 단어의 발견 32
2. 단어 개념의 한계 36
3. 품사: 단어의 부류 39
4. 단일어와 복합어 42

제2부 단어의 구성과 형성
제4장 단어의 구성 50
1. 형태소의 발견 50
2. 형태소 개념의 한계 56
3. 단어의 구조 61
4. 핵: 단어의 중심 66
제5장 단어의 형성 75
1. 형성의 동기와 과정 75
2. 형태 정보와 의미 정보 80
3. 결합과 대치 84
4. 단어화: 층위의 전환 88
제3부 단어의 유형
제6장 합성어 96
1. 합성어의 유형 96
2. 구성성분의 의미 관계 101
3. 내심 합성어와 외심 합성어 105
4. 통합 합성어 109
제7장 파생어 117
1. 파생어의 유형 117
2. 접사의 형성 122
3. 생산성 128
4. 저지 133
제8장 단어 유형의 다양성 140
1. 통사적 복합어 140
2. 축약어 145
3. 혼성어 152
xii 차 례
제4부 단어의 삶
제9장 단어의 등재 160
1. 단어 연구와 등재 160
2. 등재소의 발견 167
3. 등재부 연결망 171
4. 개인어와 사회어 178
제10장 단어의 변화 187
1. 변화의 동기와 과정 187
2. 형태 변화와 의미 변화 191
3. 분석에 의한 변화 195
4. 단일화에 의한 변화 202
제11장 단어의 공인화 211
1. 공인화의 유형 211
2. 언어 공동체 220
3. 신어와 사전등재어 223
제5부 탐구
제12장 단어 형성과 의미 234
1. 서론 234
2. ‘함수’로서의 의미 합성성 237
3. 단어 형성 과정의 α 기능 246
4. 결론 263
제13장 규칙과 유추 268
1. 서론 268
2. ‘유추’와 ‘유추의 틀’ 271
3. ‘통합관계 기반 단어 형성’과 ‘계열관계 기반 단어 형성’ 281
4. ‘유추’ 그리고 ‘규칙’과 ‘틀’ 286
5. 결론 296
제14장 남북한의 단어 형성 302
1. 서론 302
2. ‘단어 형성’과 ‘문장 형성’의 평행성 308
3. ‘표현론적 접근’과 ‘새말 만들기’ 312
4. ‘형태적 복합어’의 형성 317
5. ‘통사론적 구성의 단어’ 형성 321
6. ‘등재부 연결망’과 ‘조어그물’ 329
7. 결론 333
제15장 한국수어의 단어 형성 340
1. 서론 340
2. 단어 형성의 몇 유형 345
3. 한국어와 한국수어의 단어 형성 방법 351
4. 한국수어의 특징적 단어 형성 360 5. 결론 375
참고문헌 377
찾아보기 381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