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문__v

1. 한국과 중국의 현대 한자음 대응관계__1
1.1. 현대 한자음 비교의 필요성__1
1.2. 연구대상 및 방법__2
1.3. 한중 현대한자음에 대한 연구__6
1.4. 논의의 구성__9

2.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운 대응__11
2.1. 현대 한국어의 음운 체계__11
2.2. 현대 표준중국어의 음운 체계__13
2.3. 현대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운 대응__17

3. 한중 현대 한자음의 음소 대응__22
3.1. 초성 대응__22
3.1.1. 초성 빈도__23
3.1.2. 파열음 대응__25
3.1.3. 마찰음 대응__32
3.1.4. 파찰음 대응__38
3.1.5. 비음 대응__46
3.1.6. 유음 대응__48
3.1.7. 초성 대응의 종합적 검토__51
3.2. 중성 대응__56
3.2.1. 중성 빈도__56
3.2.2. 단모음 대응__58
3.2.3. 이중모음 대응__72
3.2.4. 삼중모음 대응__87
3.2.5. 중성 대응의 종합적 검토__91
3.3. 종성 대응__94
3.2.1. 종성 빈도__94
3.2.2. 종성 /n, ŋ/의 대응__95

4. 한중 한자음의 음절 대응__108
4.1. 음절의 부분 대응__109
4.1.1. 초성 + 중성 음절의 유형과 대응__109
4.1.2. 중성 + 종성 음절의 유형과 대응__124
4.2. 음절 전체의 대응__128
4.2.1. 음절 유형별 대응__129
4.2.2. 음절별 대응__137

5. 한중 한자음 대응의 활용__151
5.1. 연구를 위한 활용__151
5.2. 교육과 학습을 위한 활용__153

■ 참고문헌__155

[부록 1] 분석 대상 한자(4,251자)__158
[부록 2] 자형 중복 제외자(2,677자)__162
[부록 3] 한국 목록에만 있는 한자(823자) *문자 코드 기준__164
[부록 4] 중국 목록에만 있는 한자(823자) *문자 코드 기준__165
[부록 5] 한국 한자 중 다음자(94자)__166
[부록 6] 중국 한자 중 다음자(81)__166
[부록 7] 한국 현대 한자음의 음절 유형 목록__167
[부록 8] 중국 현대 한자음의 음절 유형 목록 - 병음 표기 기준__167
[부록 9] 중국 현대 한자음의 음절 유형 목록 - 음소 표기 기준(399)__168
[부록 10] 음절별 대응 전체 __168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