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살아 있는 말소리로 시작하는 맞춤법 공부 = 5
1장 그림자에 속지 말자 - 우리를 절대 속이지 않는 규칙들
'귀하지 않다'에서 온 '귀찮다' = 17
ㅊ 받침은 일석삼조 = 20
'ㄹ' 발음 빠져도 머릿속엔 '닭'뿐 = 23
우리 글자 이름 '디귿' = 26
물고기는 왜 '물꼬기'로 읽나 = 29
사라진 'ㅎ'의 흔적 = 32
'오너라'와 '가거라' = 35
'웃프다'가 어긴 규칙 = 38
'의사'는 [의사], '희사'는 [히사] = 40
'황당 맞춤법'을 쓰는 용기 = 43
교과서도 어려워하는 외래어 표기 = 46
발음인가, 의미인가 = 49
'하필'이 '해필'이면 '고기'도 '괴기' = 52
'학여울'의 발음법 = 55
맥락이 안내하는 발음 = 58
2장 형태에 속지 말자 - 동사의 기본형을 몰라서 틀리는 말
'날으는' 새는 없다 = 63
편하게 발음하려다가 덧붙이는 'ㄹ' = 66
'불은' 라면이 계속 '붇는다' = 69
더 쓸 데 없는 연습장은 '쓸데없다' = 72
원말이 사라진 '아무튼' = 75
일관성이 없어 보이는 '얽히고설키다' = 78
두 번 잊히면 '잊혀질까' = 81
없애도 말이 되는 '요', 뺄 수 없는 '오' = 84
3장 얼굴에 속지 말자 - 모양이 비슷해서 헷갈리는 말
'내로라'의 뿌리는 '내놓다'가 아니다 = 89
선택은 '-든지', 회상은 '-던지' = 92
웃음 '띤' 밝은 얼굴이 눈에 '띈다' = 95
'맛있다, 멋있다'가 두 가지로 발음되는 이유 = 98
정답을 '맞혔는지' 서로 답을 '맞추어' 보다 = 101
시간적 의미를 획득한 '머지않아' = 104
못이 '박이면' 불편, '박히면' 큰일 = 107
이 자리를 빌어? 빌려? = 110
'사단'을 쓰면 사달 난다 = 113
시큰한 발목에서 시큼한 냄새가 난다 = 116
'안일하다'와 '안이하다'의 차이보다 중요한 것 = 119
딸을 '여읜' 뒤 부쩍 '여윈' 얼굴 = 122
'윗옷'을 입고 '웃옷'을 걸치다 = 125
과일 '장사'를 하는 과일 '장수' = 128
4장 목소리에 속지 말자 - 발음이 비슷해서 헷갈리는 말
'갖은' 꿈을 '가진' 우리 = 133
'값진' 기회를 준 은혜를 돈으로 '갚진' 못한다 = 136
낳으면 나을까 = 139
산 '너머'를 보려고 저 산을 '넘어' = 142
'네'와 '예'에 적용된 두 가지 두음 법칙 = 145
점점 더 어색해지는 '달이다' = 148
들은 것은 '-대', 본 것은 '-데' = 151
'몇 월'은 맞고 '몇 일'은 틀린 이유 = 154
'뵈요'에는 무엇이 빠졌을까 = 157
'안 되'라고 적으면 안 돼 = 160
'어떡해'는 '어떻게' 쓰나 = 163
'심문'을 할 때는 '유도'를 할 수 없다 = 166
'이따가' 대합실에 '있다가' 기차를 타렴 = 169
국물은 '졸이고' 생선은 '조린다' = 172
5장 사전에 속지 말자 - 시간이 흘러 달라진 말
'너무'와 '별로'의 엇갈린 운명 = 177
'맨날'로 변해 가는 '만날' = 180
'먹거리'와 '먹을거리'가 보여 주는 우리말 원리 = 183
찬찬히 뜯어보면 어색한 '새롭다' = 186
'짬뽕'은 먹고 '짜장면'은 먹을 수 없었던 사연 = 189
6장 글자에 속지 말자 - 문장 안에서 잘못 쓰인 말
시킨 적이 없는데도 '시켰다'니? = 195
소똥에서 풍기는 것은 '내음'일까 '냄새'일까 = 198
두 가지 '안다' = 201
'벗겨진 가발'과 '벗어진 가발'의 차이는 뭘까 = 204
부모'에게' '에'를 붙이면 잘못 = 207
우리는 어떤 민족입니까 = 210
'운명을 달리했다'고 죽은 것은 아니다 = 213
7장 습관에 속지 말자 - 무심코 잘못 쓰는 틀린 말
'가능한 빨리' 잊을 수는 없어 = 219
'강추위'의 반대말은 '약추위'? = 222
'골이 따분한' 성격 = 225
[니] 것은 '네' 것, [네] 것도 '네' 것 = 228
'대인배'의 풍모 = 231
'받아들이다'를 '받아드리다'로 적는 이유 = 234
크기가 큰 발자국, 소리가 큰 발걸음 = 237
물건을 '삼', 마포구에 '삶' = 240
'서툴어도'의 오류 = 243
'안절부절' 사용에 안절부절못하다 = 246
'오회말카드' = 249
'완전' 좋다 = 252
밤새 '울음'을 크게 '욺' = 255
조문객의 '환담' = 258
'주책이 있다'는 이제 없다 = 261
선조들 말의 질서가 반영된 '알은척' = 264
8장 시옷에 속지 말자 - 맞춤법의 복병, 사이시옷
'머릿속'이라 쓰는 당신은 이미 우리말 능력자 = 269
'수도세'는 없다 = 272
'찻잔'은 맞고 '햇님'은 틀린 이유 = 275
'숟가락'에는 왜 'ㅅ' 말고 'ㄷ'이 있을까 = 278
'햅쌀' 속 'ㅂ'의 유래 = 281
'헛고생' 속 'ㅅ'은 빼야 하는 것 아닐까 = 284
9장 한 칸에 속지 말자 - 띄어쓰기가 어려운 말
'같은'은 띄어 쓰지만 '같이'는 붙일 때도 있다 = 289
어제 시장에서 살 걸 살걸 = 292
늘 '자는 데'서 '자는데' 웬 참견이오 = 295
'돌아가다'는 한 단어이니 붙여 써야만 할까 = 298
노래를 못해 부끄러워서 못 했다 = 301
두 가지 품사로 쓰이는 '만큼' = 304
창문 '밖에' 바다'밖에' 보이지 않는다 = 307
'이다'는 'be 동사'와 다르다 = 310
'한잔' 사겠다더니 정말 '한 잔'만 사네 = 313
'큰 일'을 띄어 쓸 때도 있다 = 316
'필요할테고'는 어디에서 띄어 써야 할까 = 319
'기획' 뒤에 오는 '하다'를 붙이는 이유 = 322
할머니뼈 해장국 = 325


[국립중앙도서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