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언어적 존재의 창의ㆍ인성적 지평 = 4


1부 국어과 교육과 창의ㆍ인성 교육의 본질 = 13

1장 국어과 창의ㆍ인성 교육의 개념과 특성 = 14
1. 언어ㆍ창의ㆍ인성 사이의 상호성 = 14
2. 국어과 창의성 교육의 본질과 의의 = 29
3. 국어과 창의ㆍ인성 교육의 특성 = 43

2장 국어과 교육과 창의ㆍ인성 교육의 기본 방향 = 46
1. 언어 경험 제공 차원의 국어과 창의ㆍ인성 교육 = 46
2. 사고력 함양 차원에서의 국어과 창의ㆍ인성 교육 = 48
3. 텍스트 생산ㆍ수용 차원에서의 국어과 창의ㆍ인성 = 54

3장 국어과 교육에서의 창의ㆍ인성 요소 구체화 = 58
1. 국어과 활동에 적합한 창의 요소 = 58
2. 창의 요소와 인성 요소의 결합 양식 = 68

4장 국어과 창의성 교육의 전략적 범주들 = 73
1. 언어적 문제해결력 = 73
2. 소통 능력 : 복합 미디어 문식력 = 75
3. 언어문화의 내면화 및 재창조 = 76
4. 메타언어 능력의 생산성 높이기 : 문법 능력과 비평 능력 = 80
5. 창작과 '창의적 자아' 만들기 = 83
5장 국어과 교육에서의 창의ㆍ인성의 내용 조직 = 87
1. 언어 중심의 교과 내용 간 상호성 = 87
2.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 영역 간의 상호성 = 92
3. 장르나 제재의 상호성을 살리는 내용 체계 = 96

2부 창의ㆍ인성 교수ㆍ학습 활동 = 101

1장 인간 이해의 창의ㆍ인성 활동 = 102
1. 동기와 욕구 이해하기 = 102
2. 공감 소통하기 = 103
3. 자아 탐구하기 = 104
4. 회의하기와 가치 유보하기 = 105
5. 반성적 사고 확장하기 = 106

2장 언어문화 탐구의 창의ㆍ인성 활동 = 108
1. 전통문화 재발견하기 = 108
2. 대중문화와 소통하기 = 109
3. 다른 문화와 대화하기 = 110
4. 표현 문화의 이해와 공유하기 = 111

3장 체험을 통한 창의ㆍ인성 활동 = 113
1. 언어적 유희 활동 = 113
2. 역할극 하기 = 114
3. 공동체 글쓰기 = 115

4장 창작을 통한 창의ㆍ인성 활동 = 117
1. 인물 살려내기 = 117
2. 비유로 사물 보기 = 118
3. 상징 만들기 = 119
4. 패러디 = 119
5. 내러티브 재구성하기 = 120
6. 역사적 상상력 확장하기 = 121
7. 새로운 세계 창조하기 = 122
8. 연출가 되어보기 = 122
9. 장르 변환하기 = 123

5장 언어적 문제해결로서 창의ㆍ인성 활동 = 125
1. 생활 언어 장르 활용하기 = 125
2. 공동체 문제 발견과 해결하기 = 126
3. 화용적 전략 활용하기 = 127
4. 비판적 사고와 대안적 사고 이어가기 = 128
5. 보고서 쓰기 및 매체를 활용한 프레젠테이션 하기 = 129


3부 창의ㆍ인성을 기르는 국어 수업의 실제 = 131

1장 함께 만드는 이야기 - 창작 모형 = 132
1. 창작 모형이 어떤 점에서 유용한가 = 132
2. 창작은 어떤 방법으로 할까 = 142
3. 창작 모형의 실천 사례는 어떤 것이 있을까 = 143
4. 평가는 어떻게 할까 = 150

2장 문학의 갈등, 삶의 갈등 - 갈등 이해 모형 = 153
1. 갈등 이해 모형이 어떤 점에서 유용한가 = 153
2. 갈등 이해 모형을 어떻게 적용할까 = 161
3. 갈등 이해 모형의 적용 사례는 어떤 것이 있을까 = 162
4. 평가는 어떻게 할까 = 167

3장 너의 마음을 느끼다 - 감정 이입 모형 = 175
1. 감정 이입 모형이 어떤 점에서 유용한가 = 175
2. 감정 이입 모형을 어떻게 적용할까 = 184
3. 감정 이입 모형의 적용 사례는 어떤 것이 있을까 = 185
4. 평가는 어떻게 할까 = 193

4장 작품의 논쟁 공간을 찾아서 - 가치 탐구 모형 = 199
1. 가치 탐구 모형이 어떤 점에서 유용한가 = 199
2. 가치 탐구는 어떤 방법으로 할까 = 208
3. 가치 탐구 모형의 적용 사례는 어떤 것이 있을까 = 209
4. 평가는 어떻게 할까 = 221

5장 한 세계 너머에 다른 세계가 있다 - 은유적 사고 모형 = 225
1. 은유적 사고 모형이 어떤 점에서 유용한가 = 225
2. 은유적 사고 모형은 어떤 방법으로 적용할까 = 232
3. 은유적 사고 모형의 적용 사례는 어떤 것이 있을까 = 232
4. 평가는 어떻게 할까 = 243

6장 삶을 나누다 - 소통 확장 모형 = 246
1. 소통 확장 모형이 어떤 점에서 유용한가 = 246
2. 소통 확장 모형을 어떻게 적용할까 = 255
3. 소통 확장 모형의 적용 사례는 어떤 것이 있을까 = 256
4. 평가는 어떻게 할까 = 266

7장 생각하는 재미의 터득 - 해석 교환 모형 = 268
1. 해석 교환 모형이 어떤 점에서 유용한가 = 268
2. 해석 교환 모형을 어떻게 적용할까 = 281
3. 해석 교환 모형의 적용 사례는 어떤 것이 있을까 = 282
4. 평가는 어떻게 할까 = 295

8장 작품들과 놀며 깊어지다 - 텍스트 상호성 모형 = 300
1. 텍스트 상호성 모형이 어떤 점에서 유용한가 = 300
2. 텍스트 상호성 모형을 어떻게 적용할까 = 312
3. 텍스트 상호성 모형의 적용 사례는 어떤 것이 있을까 = 313
4. 평가는 어떻게 할까 = 325


4부 국어과 창의ㆍ인성의 실천과 전망 = 329

참고문헌 = 360
찾아보기 = 362

[국립중앙도서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