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책을 펴내면서 = 5
추천의 글 = 11
제1부 북한 언어의 특징 이해
제1장 북한 언어 발전 방향에 관한 김일성의 교시 = 22
제1절 1차 교시(1964. 1. 3) = 23
제2절 2차 교시(1966. 5. 14) = 24
제2장 북한 언어의 특징 = 26
제1절 우상화에 따른 정치 사상적 언어와 계급 투쟁적 언어 = 26
제2절 대표적인 언어들 = 27
제2부 남한 사람들에게 생소한 북한 말
제1장 수령 관련 언어들 = 34
제1절 개요 = 33
제2절 수령론에 대한 이해 = 35
제3절 수령의 지위 = 36
제4절 수령에 대한 예우 관련 전문용어들 = 38
제5절 수령 우상화로 인하여 새로 만들어진 언어들 = 40
제2장 당 관련 언어들 = 43
제1절 개요 = 43
제2절 당과 관련된 언어들과 의미 = 43
제3장 혁명와 건설 관련 언어들 = 45
제1절 개요 = 45
제2절 혁명에 관한 교과서 내용 소개 = 46
제3절 혁명과 건설 관련 언어들과 의미 = 47
제4장 계급투쟁관련 전투적 언어들 = 62
제1절 개요 = 62
제2절 관련 언어들과 의미 = 63
제5장 사회생활 언어들 = 70
제1절 개요 = 70
제2절 가정 관련 언어 = 71
제3절 고난의 행군 관련 언어 = 72
제4절 농업 관련 언어 = 73
제3부 표현이 다른 남북한 말과 잘못 알려져 있는 북한 말(인터넷, 출판물에 게시된 언어 중심)
일러두기 = 83
(표 1) 표현이 서로 다른 남북한 말 = 84
(표 2) 출판물과 인터넷상에 잘못 알려져 있는 북한말 바로잡기 = 114
(표 3) 수학에서의 몇 가지 용어 비교 = 170
(표 4) 문장부호 사용에서의 남북한 차이 = 174
제4부 북한 사람들(새터민)에게 생소한 남한 말
제1장 정치 관련 용어 = 180
제2장 경제 관련 용어 = 186
제3장 사회복지 관련 용어 = 194
제4장 의료(병원) 관련 용어 = 196
제5장 교육 문화 관련 용어 = 197
제6장 법 관련 용어 = 199
제7장 기타 용어 = 203
제5부 몇 가지 표기에서의 남북한 차이
(표 1) 나라 이름 = 234
(표 2) 화학원소 이름 = 241
마치면서 = 247
북한 사회상을 반영하는 유머 한마디 = 251

[국립중앙도서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