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인용 자료와 약호

제1장 한국어와 한국어학
1.1. 언어와 한국어
1.1.1. 언어의 본질
1.1.1.1. 언어의 기능
1.1.1.2. 언어의 특성
1.1.2. 한국어의 특성과 위상
1.1.2.1. 한국어의 특성
1.1.2.2. 한국어의 위상
1.2. 언어학과 한국어학
1.2.1. 언어와 언어 연구의 관점
1.2.2. 언어 연구와 한국어 연구의 영역

제2장 음운론
2.1. 발음 기관
2.2. 음운 체계
2.2.1. 음운의 개념
2.2.2. 자음
2.2.3. 단모음
2.2.4. 반모음과 이중 모음
2.2.5. 장단
2.3. 음절
2.3.1. 음절의 구조
2.3.2. 음절의 제약
2.4. 음운 변동
2.4.1. 음운의 대치
2.4.2. 음운의 탈락
2.4.3. 음운의 첨가
2.4.4. 음운의 축약
2.5. 형태소의 교체

제3장 형태론
3.1. 형태소와 단어
3.1.1. 형태소
3.1.1.1. 형태소의 정의
3.1.1.2. 형태소, 형태, 이형태와 기본형
3.1.1.3. 형태소의 하위 유형
3.1.2. 단어
3.1.2.1. 단어의 정의
3.1.2.2. 단어의 구조
3.1.2.3. 단어의 구성 요소
3.1.2.4. 구조에 따른 단어의 유형
3.2. 단어 형성론
3.2.1. 단어 형성 방법과 유형
3.2.2. 파생
3.2.2.1. 파생어 형성과 파생 접사
3.2.2.2. 접두 파생
3.2.2.3. 접미 파생
3.2.3. 합성
3.2.3.1. 합성과 합성어
3.2.3.2. 합성의 유형
3.2.3.3. 품사별 합성
3.2.4. 한자어 단어 형성
3.2.4.1. 한자어 단어 형성의 특징
3.2.4.2. 한자어 파생
3.2.4.3. 한자어 합성
3.3. 품사론
3.3.1. 품사 분류
3.3.1.1. 품사의 정의와 품사 분류
3.3.1.2. 품사 분류의 기준과 분류의 실제
3.3.1.3. 품사 통용
3.3.2. 특징적인 한국어 품사
3.3.2.1. 관형사와 형용사
3.3.2.2. 조사와 어미

제4장 통사론(1): 문장 구조론
4.1. 문장 구조와 어순
4.1.1. 통사론의 단위
4.1.2. 문장 구조
4.1.3. 어순
4.2. 문장 성분
4.2.1. 주어
4.2.2. 목적어
4.2.3. 보어
4.2.4. 서술어
4.2.5. 관형어
4.2.6. 부사어
4.2.7. 독립어
4.3. 서술어의 자릿수와 문형
4.4. 문장의 확장
4.4.1. 단문과 복문
4.4.2. 접속문(이어진문장)
4.4.3. 포유문(안은문장)
4.4.3.1. 명사절을 가진 안은문장
4.4.3.2. 관형사절을 가진 안은문장
4.4.3.3. 부사절을 가진 안은문장
4.4.3.4. 서술절을 가진 안은문장
4.4.4. 복문의 문법적 특성

제5장 통사론(2): 문법 요소론
5.1. 문장의 유형
5.1.1. 평서문
5.1.2. 의문문
5.1.3. 명령문
5.1.4. 청유문
5.1.5. 감탄문
5.1.6. 문장의 유형과 발화의 의도
5.2. 높임 표현
5.2.1. 주체 높임
5.2.2. 객체 높임
5.2.3. 상대 높임
5.2.4. 겸양 표현
5.2.5. 높임의 특수 어휘
5.3. 시제와 상
5.3.1. 절대 시제와 상대 시제
5.3.2. 현재 시제
5.3.3. 과거 시제
5.3.4. 미래 시제
5.3.5. 진행상
5.3.6. 완료상과 결과 상태상
5.3.7. 상과 동사의 연관성
5.4. 양태
5.5. 피동과 사동
5.5.1. 피동의 종류
5.5.2. 피동의 특성 및 제약
5.5.3. 사동의 종류
5.5.4. 사동의 특성 및 제약
5.6. 부정문
5.6.1. 부정의 종류
5.6.2. 부정문의 특성

제6장 의미론
6.1. 의미의 뜻과 종류
6.1.1. 의미의 뜻
6.1.2. 의미의 종류
6.2. 단어의 의미
6.2.1. 단어 의미 파악의 방법
6.2.1.1. 성분 분석
6.2.1.2. 의미장
6.2.2. 의미 변화
6.2.2.1. 의미 변화의 원인
6.2.2.2. 의미 변화의 과정
6.2.2.3. 의미 변화의 결과
6.2.3. 어휘 관계
6.2.3.1. 어휘의 계열 관계
6.2.3.2. 어휘의 통합 관계
6.2.4. 한국어의 어휘 체계
6.2.4.1. 고유어
6.2.4.2. 한자어
6.2.4.3. 외래어
6.2.5. 어휘 변이
6.2.5.1. 어휘의 지역적 변이
6.2.5.2. 어휘의 사회적 변이
6.3. 문장의 의미
6.3.1. 문장 의미 해석의 원리
6.3.2. 문장의 진리치
6.3.3. 문장의 중의성과 모호성
6.3.3.1. 문장의 중의성
6.3.3.2. 문장의 모호성

제7장 담화론
7.1. 담화의 개념과 구성 요소
7.1.1. 담화의 개념
7.1.2. 담화의 구성 요소
7.2. 의사소통의 원리
7.2.1. 발화 의미 해석의 원리
7.2.2. 대화 함축
7.2.3. 대화 격률
7.3. 담화의 성립 요건
7.3.1. 의미적 요건
7.3.2. 형식적 요건
7.3.3. 화용적 요건
7.4. 화행
7.4.1. 화행의 개념
7.4.2. 화행의 종류
7.4.3. 직접 화행과 간접 화행
7.5. 담화와 매체
7.5.1. 매체 발달의 역사
7.5.2. 구어 담화와 문어 담화
7.5.3. 매체 다변화에 따른 현대 담화의 특성

제8장 한국어사
8.1. 한국어의 형성
8.1.1. 한국어사 연구의 필요성
8.1.2. 한국어의 계통과 한국어의 형성
8.1.3. 한국어사의 시대 구분
8.2. 고대 한국어
8.2.1. 도입
8.2.2. 음운
8.2.3. 형태와 통사
8.2.4. 어휘
8.3. 중세 한국어
8.3.1. 도입
8.3.2. 음운
8.3.2.1. 음운 체계
8.3.2.2. 음절
8.3.2.3. 음운 현상
8.3.3. 형태
8.3.3.1. 단어 형성론
8.3.3.2. 품사론
8.3.4. 통사
8.3.4.1. 문장 성분
8.3.4.2. 문장의 유형
8.3.4.3. 문법 범주
8.3.5. 어휘
8.4. 근대 한국어
8.4.1. 도입
8.4.2. 음운
8.4.2.1. 음운 체계
8.4.2.2. 음운 현상
8.4.3. 형태
8.4.3.1. 단어 형성론
8.4.3.2. 품사론
8.4.4. 통사
8.4.4.1. 문장 성분
8.4.4.2. 문법 범주
8.4.5. 어휘

제9장 문자와 표기
9.1. 차자 표기
9.1.1. 차자 표기의 원리
9.1.2. 고유 명사와 일반 어휘의 차자 표기
9.1.3. 이두
9.1.4. 구결
9.1.5. 향찰
9.2. 한글
9.2.1. 한글의 제자 원리 및 특성
9.2.1.1. 자음자의 제자 원리
9.2.1.2. 모음자의 제자 원리
9.2.1.3. 한글의 특성
9.2.2. 한글 자모의 명칭
9.3. 표기법
9.3.1. 한글 표기법의 변천
9.3.2. 한글 맞춤법
9.3.2.1. 총칙
9.3.2.2. 자모
9.3.2.3. 소리에 관한 것
9.3.2.4. 형태에 관한 것
9.3.2.5. 띄어쓰기
9.3.2.6. 그 밖의 것
9.3.3. 표준어 규정
9.3.3.1. 표준어 사정 원칙
9.3.3.2. 표준 발음법
9.3.4. 외래어 표기법
9.3.4.1. 표기의 기본 원칙
9.3.4.2. 표기 일람표와 표기 세칙
9.3.4.3. 인명, 지명 표기의 원칙
9.3.5. 로마자 표기법
9.3.5.1. 표기의 기본 원칙
9.3.5.2. 표기 일람
9.3.5.3. 표기상의 유의점

제10장 방언학
10.1. 방언의 개념
10.2. 방언 조사
10.2.1. 제보자
10.2.2. 질문지
10.2.3. 조사 방법
10.3. 방언 구획
10.3.1. 방언 구획의 기준
10.3.2. 등어선
10.3.3. 방언 지도
10.3.4. 한국어의 방언 구획
10.4. 사회 방언
10.4.1. 계층과 사회 방언
10.4.2. 연령과 사회 방언
10.4.3. 성별과 사회 방언
10.5. 방언의 가치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