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과 방법 = 1
1.2. 연구대상 = 2
1.3. 연구사 = 5
1.4. 논의의 구성 = 7
제2장 감각동사의 분류와 의미분석 = 9
2.1. 동작성 감각동사 = 9
2.1.1. 동작성 감각동사의 체계 = 9
2.1.2. 의미 분석의 기준과 방법 = 10
2.1.3. 유형별 의미 분석 = 11
2.1.3.1. 시각 = 11
2.1.3.2. 청각 = 13
2.1.3.3. 후각 = 15
2.1.3.4. 미각 = 16
2.2. 상태성 감각동사 = 18
2.2.1. 상태성 감각동사의 체계 = 18
2.2.2. 의미분석의 기준과 방법 = 21
2.2.3. 유형별 의미분석 = 21
2.2.3.1. 시각 = 21
(1) 광선의미 = 22
(2) 색상의미 = 26
(3) 공간의미 = 31
2.2.3.2. 청각 = 38
2.2.3.3. 후각 = 40
2.2.3.4. 미각 = 42
(1) 기본미각 = 43
(2) 파생미각 = 45
(3) 종합미각 = 47
(4) 융합미각 = 48
2.2.3.5. 촉각 = 49
2.2.3.6. 통각 = 52
2.2.3.7. 온각 = 53
2.2.3.8. 냉각 = 54
2.2.3.9. 유기감각 = 56
2.3. 간추림 = 57
제3장 감각동사의 어휘체계 = 63
3.1. 온도감각동사의 사각체계 = 63
3.2. 온각동사 = 64
3.2.1. 물체의 감각온도 = 64
3.2.2. 기후의 감각온도 = 66
3.2.3. 물체·기후감각온도 = 67
3.3. 냉각동사 = 68
3.3.1. 물체의 감각온도 = 68
3.3.2. 기후의 감각온도 = 69
3.3.3. 물체·기후감각온도 = 71
3.4. 온도감각동사의 상관체계 = 72
3.4.1. 인체적도와 인체과도 = 73
3.4.2. 물체온도와 기후온도 = 75
3.4.3. 높은온도와 낮은온도 = 77
3.5. 간추림 = 79
제4장 감각동사의 낱말밭 = 81
4.1. 미각동사 = 82
4.1.1. 기본미각의 체계 = 83
4.1.1.1. 미뢰 위치별 미각 = 84
4.1.1.2. 종합미각 = 94
4.1.1.3. 구미적응 어휘 = 98
4.1.1.4. 낱말밭의 특징 = 102
4.2. 시각동사 = 103
4.2.1. 기본색채의 체계 = 103
4.2.2. 색채어의 어휘분화 = 105
4.2.2.1. 색상의 정도 = 105
4.2.2.2. 혼색 = 114
4.2.2.3. 색조 = 117
4.2.2.4. 안색표현 = 119
4.2.2.5. 낱말밭의 특징 = 124
4.3. 간추림 = 125
제5장 결론 = 127
참고문헌 = 130
부록 = 135
찾아보기 = 145

[국립중앙도서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