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 13
1.1. 연구 목적 = 13
1.2. 연구사 = 18
1.3. 연구 방법 = 22
2. 활용 체계의 구성과 그 변화 = 29
2.1. 활용 체계의 구성 = 30
2.1.1. 패러다임, 활용 부류, 활용 틀, 활용 체계 = 30
2.1.2. 활용 부류의 유형 및 명명법 = 44
2.2. 활용 체계의 변화 유형 = 59
2.3. 용언의 형태 변화 방식 : 활용형 중심의 변화 = 70
3. 활용 체계 변화의 양상과 동인 = 104
3.1. 자음 말음 정칙 활용의 변화 = 106
3.1.1. 단자음 말음 정칙 활용의 변화 = 107
3.1.2. 겹자음 말음 정칙 활용의 변화 = 130
3.2. 모음 말음 정칙 활용의 변화 = 148
3.3. 변칙 활용의 변화 = 172
3.4. 활용 체계의 변화 동인 = 194
3.4.1. 음운론적인 동인 = 195
3.4.2. 심리적인 동인 = 202
3.4.3. 사회적인 동인 : 방언 차용 = 230
4. 변칙 활용 부류의 형성과 소멸 = 232
4.1. 변칙 활용 부류의 형성 = 232
4.1.1. 음운론적인 변화에 의한 형성 = 233
4.1.2. 어휘화와 형태적 융합에 의한 형성 = 250
4.1.3. 심리적인 동인에 의한 형성 = 303
4.2. 변칙 활용 부류의 소멸 = 357
4.2.1. 패러다임 평준화와 마ㆍ므 변칙 활용의 소멸 = 358
4.2.2. 음운론적인 변화와 ○ㆍ○ 변칙 활용의 소멸 = 369
4.2.3. 라ㆍ르 변칙 1(ᄅᄋ형) 활용의 소멸 = 375
5. 변칙 활용 부류별 어휘 목록의 변화 = 381
5.1. 전반적인 변화 개관 = 382
5.2. 유추적 확장과 변칙 활용 구성원의 증가 = 397
5.2.1. ᄇ 변칙 1(ᅮ형) 활용 = 402
5.2.2. 앟ㆍ엏 변칙 활용 = 417
5.2.3. 르 변칙 1(ᄅᄅ형) 활용 = 419
5.2.4. ᄃ 변칙 2(탈락형) 활용 = 434
5.3. 패러다임 평준화와 변칙 활용 구성원의 감소 = 446
5.3.1. 자음ㆍ매개모음 어미 혹은 모음 어미 결합형을 중심으로 = 449
5.3.2. 모음ㆍ매개모음 어미 결합형을 중심으로 = 466
5.3.1. 패러다임 내 활용형 간 혼효ㆍ감염 = 479
5.4. 재분석과 변칙 활용 간 전환 = 482
5.5. 방언 차용 = 489
5.5.1. ᆲ 변칙 활용의 경우 = 490
5.5.2. ᄃ 변칙 2(탈락형) 활용의 경우 = 506
6. 결론 = 524
6.1. 논의 요약 = 524
6.2. 남은 문제 : 공시 문법에서 활용형의 지위 = 531
참고 문헌 = 543
[부록 1] 연구 대상 문헌 자료 목록 = 567
[부록 2] 15C 고유어 용언 목록 = 579
색인 = 596


[국립중앙도서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