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 9
1.1. 연구 목적과 대상 = 9
1.2. 기존 연구 검토 = 12
1.3. 연구 방법과 관점 = 18
1.4. 논의의 구성 = 24
제2장 기본적 논의 = 26
2.1. 정보구조의 유형 : 절대적 정보구조와 상대적 정보구조 = 28
2.2. 절대적 정보구조 = 30
2.2.1. 절대적 정보지위의 대상 : 실체와 명제 = 30
2.2.2. 절대적 정보지위의 위계 = 35
2.3. 상대적 정보구조 = 55
2.2.1. 화제 = 55
2.2.2. 초점 = 67
2.4. 사용역 = 73
2.4.1. 정보구조에서 사용역의 중요성 = 73
2.4.2. 사용역의 선정 = 77
제3장 절대적 정보구조 = 88
3.1. 명사구 실체의 정보지위 = 88
3.1.1. 명사구 실체의 정보지위의 의의 및 대상 = 88
3.1.2. 담화-구 실체 = 92
3.1.3. 담화-신ㆍ청자-구 실체 : 'X 있잖아' 및 'X 말이야' 구성 = 122
3.1.4. 청자-신 실체 : 부정관형사 및 부정대명사, 'X이라는 Y' 구성 = 130
3.2. 명제의 정보지위 = 141
3.2.1. 명제의 정보지위의 개념 = 141
3.2.2. 명제의 정보지위와 화용론적 전제 = 143
3.2.3. 담화-구 명제 = 148
3.2.4. 담화-신ㆍ청자-구 명제 = 180
3.2.5. 청자-신 명제 : '-단다', '-거든' = 195
제4장 상대적 정보구조 : 화제와 초점 = 203
4.1. 화제 = 203
4.1.1. 화제의 개념 : 정언판단의 대상 = 204
4.1.2. 화제의 표현 = 225
4.2. 초점 = 278
4.2.1. 초점 판별의 문제 = 278
4.2.2. 초점의 표현 = 291
4.3. 화제와 초점 = 315
4.3.1. 화제와 초점의 관계 = 315
4.3.2. 화제와 초점의 표현 : 분열문 = 328
제5장 관계적 고찰 = 357
5.1. 형식과 기능의 상호관계 = 357
5.1.1. 형식과 기능으로의 관계 = 359
5.1.2. 기능에서 형식으로의 관계 = 364
5.2. 정보지위의 상호관계 = 365
5.2.1. 실체의 절대적 정보지위와 명제의 절대적 정보지위의 관계 = 366
5.2.2. 실체의 절대적 정보지위와 명제 내적 상대적 정보지위의 관계 = 372
5.2.3. 명제의 절대적 정보지위와 명제 내적 상대적 정보지위의 관계 = 374
5.3. 사용역에 따른 정보구조 = 379
5.3.1. 개별 사용역의 정보구조적 특성 = 380
5.3.2. 복합 사용역의 정보구조적 특성 = 385
제6장 결론 = 387
6.1. 요약 = 387
6.2. 남은 문제 = 390
〈부록 1〉말뭉치에 포함된 텍스트들의 약호 = 392
〈부록 2〉전사 약호 = 395
참고문헌 = 396
찾아보기 = 416

[국립중앙도서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