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ⅲ
제1부 3·1운동의 사회사
제1장 1910년대 新民會의 민족독립운동 = 3
1. 新民會의 창립 = 3
2. 신민회의 조직 = 5
3. 신민회의 목적과 입헌공화국 건설 = 8
4. 신민회의 新敎育救國運動과 민족간부 양성 = 10
5. 신민회의 學會활동과 愛國啓蒙강연운동 = 12
6. 신민회의 실업구국운동 = 14
7. 신민회의 청년운동 = 15
8. 신민회의 獨立軍기지 창설과 武官學校 설립 = 16
제2장 大韓光復會의 민족독립운동 = 23
1. 大韓光復會의 창립 = 23
2. 대한광복회의 조직과 강령 = 25
3. 대한광복회의 민족독립운동 = 27
제3장 3·1운동의 사회·경제적 배경 = 31
1. 머리말 = 31
2. 민족독립운동에 대한 탄압과 獨立運動力量의 축적 = 33
3. 愛國啓蒙敎育에 대한 탄압과 식민지 노예교육의 실시 = 43
4. 토지조사사업의 실시와 土地掠奪 = 52
1) ‘國有地’調査에 의한 토지약탈 = 56
2) 未墾地에 대한 토지약탈 = 62
3) 민유지조사에 의한 토지약탈 = 63
4) 일제의 토지약탈 총괄 = 65
5) 土地調査紛爭 = 66
6) 일제의 분쟁지 처리 = 71
7) 토지조사사업의 결과와 한국 농민의 저항 = 75
5. 韓國民族産業에 대한 억압과 鑛山資源의 약탈 = 82
1) 일제의 「會社令」제정 = 82
2) 한국민족산업에 대한 억압과 일제자본의 지배 = 84
3) 광산자원의 약탈 = 87
6. 맺음말 = 90
제4장 3·1독립운동의 역사적 動因과 內因·外因論의 제문제 = 93
1. 머리말 = 93
2. 3·1운동 외인론의 기본내용 = 94
3. 3·1운동과 윌슨의 민족자결주의의 문제 = 99
4. 3·1운동과 러시아 10월혁명의 문제 = 109
5. 3·1운동 내인론과 기본내용 = 113
6. 3·1운동 내인론과 機會捕捉論 = 117
7. 3·1운동의 내인론과 ‘組織’의 문제 = 125
8. 전세계 민족운동의 새로운 유형으로서의 3·1운동 = 132
9. 맺음말 = 135
제5장 3·1운동의 主體性과 민족자결주의 = 141
1. 머리말 = 141
2. 3·1운동과 제1차 세계대전 = 143
3. 민족대표자들의 民族自決主義에 대한 태도 = 146
4. 윌슨의 민족자결주의의 본질 = 158
5. 3·1운동의 세계사적 의의 = 164
6. 맺음말 = 167
제6장 3·1운동의 기획과 전개과정 = 171
1. 상해 新韓靑年黨의 국내외 밀사 파견 = 171
2. 간도·노령과 만주의 한민족 독립운동 = 174
3. 2·8 독립선언 = 175
4. 국내 천도교·기독교·불교·학생단의 3·1운동 기획 = 176
5. 민족 대연합전선의 형성 = 178
6. 독립선언서의 작성과 거사 일정 결정 = 180
7. 독립선언과 독립만세 시위운동의 전개 = 182
제7장 3·1운동 주체세력의 社會的 구조 = 187
1. 3·1운동의 초기조직단계와 대중운동단계 = 187
2. 3·1운동의 주체세력과 민족 대연합전선 = 188
3. 3·1운동 주체세력의 사회사적 분석 = 194
제8장 3·1독립운동의 非暴力方法의 사회적 배경과 社會的 조건 = 201
1. 머리말 = 201
2. 3·1운동의 客觀的 조건과 독립운동 방법 = 203
3. 3·1운동의 主體的 조건과 독립운동 방법 = 208
4. 3·1운동의 비폭력방법의 適合性과 正當性 = 213
5. 3·1운동방법의 실제 전개과정 = 215
6. 맺음말 = 217
제9장 3·1운동의 獨立運動史的 의의 = 221
1. 머리말 = 221
2. 3·1운동의 한국민족 독립운동사상의 의의 = 222
3. 3·1운동의 세계 약소민족 독립운동사상의 의의 = 229
4. 맺음말 = 237
제10장 3·1운동 연구의 현단계와 과제 = 239
1. 3·1운동 연구의 진전과정 = 239
2. 3·1운동 연구의 현단계(Ⅰ) = 260
3. 3·1운동 연구의 현단계(Ⅱ) = 271
4. 3·1운동 연구의 과제 = 285
제2부 3·1운동 이후의 한국 독립운동
제11장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와의 관계 = 295
1.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의 관계 = 295
2. 國民大會에 의한 民主共和政의 수립 = 299
3. 3개 임시정부와 統合臨時政府의 수립 = 304
4.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특징 = 309
제12장 통합임시정부 수립과 연해주지역 한인 민족운동 = 311
1. 머리말 = 311
2. 연해주지역의 한인민족운동과 국민의회 임시정부의 수립 = 313
3.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립 = 324
4. 한성 임시정부의 수립운동 = 329
5. 통합임시정부의 수립과 국민의회 임시정부 = 334
6. 맺음말 = 342
제13장 한민족 독립군의 鳳梧洞戰鬪와 靑山里獨立戰爭 = 347
1. 머리말 = 347
2. 독립군의 봉오동전투의 대승리 = 349
3. 독립군의 근거지 이동 = 353
4. 일본군의 간도침입과 ‘庚申年 大討伐’ = 356
5. 독립군의 청산리독립전쟁 = 360
6. 청산리독립전쟁의 결산 = 364
7. 맺음말 - 청산리독립전쟁 승리의 요인 = 367
제14장 한국 국내 민족독립운동의 특징 = 371
1. 머리말 = 371
2. 국내 민족독립운동의 특징(Ⅰ) = 372
3. 국내 민족독립운동의 특징(Ⅱ) = 384
4. 맺음말 = 392
제15장 6·10만세 독립운동 = 397
1. 6·10만세 독립운동의 추진세력 = 397
2. 학생단의 6·10만세 독립운동의 준비 = 399
3. 일제의 6·10만세 독립운동 준비에 대한 탄압 = 400
4. 6·10만세 독립운동의 전개 = 401
제16장 新幹會의 창립과 民族協同戰線 운동 = 405
1. 신간회 창립의 배경 = 405
2. 신간회의 창립과 민족협동전선의 성립 = 409
3. 신간회의 조직과 지방지회 = 424
4. 신간회의 민족운동(Ⅰ) = 435
1) 민족협동조직의 확대운동 = 436
2) 국외 ‘한국독립유일당촉성회’ 대표파견 시도 = 437
3) 실제운동 당면과제 6항목의 발표 = 438
4) 전국순회 강연운동 = 439
5) 수재민 구호운동 = 440
6) 재만동포옹호운동 = 440
7) 어부들의 권익옹호활동 = 441
8) 원산 총파업과 노동운동 지원 = 441
9) 함남 수력발전소 매립지구 토지보상운동 = 442
10) 단천 산림조합사건 지원운동 = 443
11) 갑산 화전민 방축사건 규탄운동 = 443
12) 태평양문제연구회의 참가 반대운동 = 444
13) 언론·출판·집회·결사 탄압 규탄운동 = 444
14) ‘밀러’박사 연설회 개최 = 445
15) 재일본 한국인 노동자송환 항의운동 = 445
16) 광주 학생독립운동 옹호·지원활동 = 446
17) 민중대회운동 = 447
18) 장풍 탄광노동자의 노동운동 지원 = 449
19) 사회 각 부문 민족운동의 정신적 지주 = 449
20) 학생부의 민족교육운동 = 450
5. 신간회의 민족운동(Ⅱ) = 450
1) 민족운동방침의 제안 = 451
2) 독립운동에 대한 지원·연락·참가 = 454
3) 시국강연회·계몽강연회의 개최 = 454
4) 일제 지방행정 규탄운동 = 455
5) 조선총독 폭압정치 반대운동 = 455
6) 소작쟁의 지원활동 = 456
7) 동척이민 반대운동 = 456
8) 수리조합 반대운동 = 457
9) 산립조합 반대운동 = 457
10) 군농회 반대운동 = 457
11) 해태조합 반대운동 = 458
12) 어민권익 옹호활동 = 458
13) 노동운동 지원 = 458
14) 야학운동 = 459
15) 한국인본위 교육과 교육개선 운동 = 459
16) 학생운동 지원활동 = 459
17) 향교 철폐운동 = 460
18) 전매제도 반대운동 = 460
6. 신간회의 해소 = 461
제17장 尹奉吉의 홍구공원 의열투쟁 = 473
1. 문제의 설정 = 473
2. 일본 제국주의의 도전에 의한 한국독립운동의 國際的 條件의 변동 = 474
3.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대응과 임시정부 特務隊로서의 韓人愛國團의 창립 = 478
4.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尹奉吉의 亡命의 관계 = 481
5. 虹口公園 義擧의 준비 = 484
6. 윤봉길의 虹口公園 義擧의 대성공 = 490
7. 윤봉길의 上海 虹口公園 義擧의 역사적 의의 = 497
8. 虹口公園義擧는 ‘테러’인가, ‘特攻作戰’인가 = 500
9. 맺음말 = 502
제18장 建國同盟의 민족독립운동 = 505
1. 건국동맹의 창립 = 505
2. 건국동맹의 조직과 간부·맹원 = 507
3. 건국동맹의 민족독립운동 = 508
제19장 韓國光復軍 창군과 그 역사적 의의 = 513
1. 주제의 한정 = 513
2. 임시정부의 직속 독립군 창군 준비활동 = 514
3. 한국광복군의 창군과 韓國光復軍 總司令部의 성립 = 517
4. 한국광복군 각 지대의 편성 = 527
5. 중국측의 광복군활동 저지와 「9개 항 행동준승」 = 529
6. 광복군의 확대 개편·조선의용대의 편입과 군사통일 = 535
7. 광복군 창군의 역사적 의의 = 539
제20장 한국 독립운동의 역사적 의의와 평가 = 545
1. 문제의 한정 = 545
2. 한국 독립운동의 민족사적 의의 = 546
1) 3·1운동 = 547
2) 임시정부 = 555
3) 독립군 = 564
3. 한국독립운동의 세계사적 의의 = 575
1) 3·1독립운동 = 575
2) 임시정부 = 585
3) 독립군 = 594
4. 한국 독립운동의 특징 = 604
찾아보기 = 607

[국립중앙도서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