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차례

1. 출토 가야직물의 고고학적 성격_박승원. 김연미

I. 들어가며 = 10

II. 가야직물의 연구 성과 = 10
1. 고령 지산동고분군의 직물
2. 산청 생초고분군의 직물
3. 김해 양동리고분군의 직물
4. 부산 복천동고분군의 직물
5. 부산 복천동고분군의 직물
6. 합천 옥전고분군의 직물
7. 김해 예안리고분군의 직물

III. 연구 결과로 본 가야직물의 성격
1. 직물의 종류와 제직 방법
2. 직물이 발견된 유물의 유형

IV. 정리하며
<부록> 가야 고분별 발견 직물의 성격과 참고자료
<출토 가야직물의 고고학적 성격>에 대한 토론 및 ''고고학과 고대직물 연구''
에 대한 제언_안보연


2. 대외교류사적 관점에서 본 고대 Ikat직물과 가야직물관의 관련성_권영숙
I. 서언
1. 왜 Ikat인가?

II. 가야시대 대외교류
1. 북방계 문화와의 대외교류
2. 신라와의 대외교류
3. 일본과의 대외교류
4. 남방계 문화와의 대외교류

III. 고대 아시아 지역의 Ikat 직물
1. 고대 인도의 Ikat직물
2. 고대 아시아 지역의 Ikat 직물의 유통

IV. 한국 고대 Ikat 직물
1. 문헌자료를 통하여 본 Ikat 직물
2. 일본 법륭사 소장 한국계 Ikat 직물

V. 결언
지역 간 협력시스템 구축에 의한 전통직물자원의 현대적 활용 방안_김희숙


3. 가야 고분군 출토 직물_박윤미
I. 머리말
II. 직물 출토 가야 고분군
III. 가야 직물의 특성
1. 마직물
2. 견직물
3. 모섬유
4. 염직물
IV. 바느질 기법
V. 고대 직물 복원 사례
VI. 맺음말
<가야 고분군 출토 직물> 논고에 대한 질의_민보라


4. 고대직물의 연구방법론
과학적인 시점에서 고대의 직물을 탐색하다_오쿠야마 마사요시
I. 머리말

II. 연구방법
1. ''視''
2. 재료조사

III. 맺음말
<고대직물의 연구방법론>에 대한 토론문_장현주

편집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