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발간사 = 2
축사 = 4

들어가는 말
아미동, 부산의 역사를 내려다보다 = 8

1. 아미동 공간에 새겨진 이야기를 읽다
한국 땅에서 죽은 일본인들 = 18
근대 도시 부산의 골자기, 다니마치 = 26
도시의 성장, 화장장의 확장 = 32
해방과 함께 방치된 일본인 묘지(1945~1950) = 36
6.25 전쟁과 공동묘지에 생긴 마을(1950~1953) = 40
휴전, 그리고 아미동 피란민촌(1953~1960) = 48
피란민에서 산업노동자로(1960~1970) = 55
성장이 멈추다(1970~1990) = 60

2. 아미동 언덕 위에서 삶과 삶이 포개지다
토박이가 없는 동네 = 64
물이 귀한 산동네, 아미동 = 67
난방과 민둥산 = 75
종교가 많은 동네 = 79
하루 벌어 하루 사는 동네 = 86
아미동에 살지만 아미동에 살지 않는 사람들 = 93
먼저 떠난 영감에 대한 추억 = 97
도둑과 깡패에 대한 기억 = 100
알로이시오 신부, 야고보 신부 그리고 이태석 신부 = 105
비석과 함께 살아온 사람들 = 110

3. 아미동의 집, 생활이 겹쳐 집이 되다
비석마을의 공간적 특성 = 120
비석 위에 새운 집 = 129
아미동 비석주택 138
아미동 돌집 = 160

4. 아미동과 감천동, 닮은 듯 다른 두 마을
감천문화마을의 뿌리, 강증산과 태극도 = 166
태극도와 보수동 판자촌 = 171
유토피아의 건설, 계단형 택지와 판잣집 = 174
감천계곡의 이상향, 감천동 105번지와 아미동 산19번지 = 182
조정산의 죽음과 태극도의 분열 그리고 산업화 = 190
공공미술 프로젝ㅌ오ㅘ 감천문화마을, 그리고 오버 투어리즘 = 197

5. 아미동 비석문화마을, 내일을 꿈꾸다
사람들이 떠나는 아미동 비석마을 = 208
감천문화마을을 통해 비석문화마을을 상상하다 = 218
콘텐츠가 된 사람과 공간 = 226
새로운 공동체를 위하여 = 234

나오는 말
우리 마을은 절대 없어지지 않을 거예요 = 246

참고 문헌 = 252
국문 초록 = 256
Abstract = 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