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 양층언어현상(diglossia)으로 본 한시와 국문시가의 상관관계사 = 1
15세기
2.〈龍飛御天歌〉와〈月印千江之曲〉의 한문과 국문에 나타난 양층언어문학성 = 24
1. 서론 = 24
2.〈용비어천가〉와〈월인천강지곡〉의 표기매체와 대상독자의 관계 = 27
3.〈용비어천가가〉와〈월인천강지곡〉의 표기매체ㆍ대상독자와 창작동기ㆍ세계관의 관계 = 33
4.〈용비어천가〉와〈월인천강지곡〉의 문체 비교 = 37
4.1. 구두점(권점) 표기의 유무(有無) = 37
4.2. 통사구조 = 41
4.3. 텍스트구조 = 44
5. 결론 = 50
16세기
3. 이황과 이이의 한시와 시조 비교 = 52
1. 작품 현황 및 선행연구 검토 = 52
2.〈도산십이곡발〉에 나타난 이황의 양층언어시가관 = 56
3. 이황의 한시와 시조의 상관관계 = 63
3.1. 한시에 나타난 구술적 특징 : 대화체, 동음 반복, 허자(虛字) = 64
3.2.〈도산십이곡〉에 나타난 시적(詩的) 특징 : 한문식 표현, 대구, 등가 구조, 각운 = 77
4. 이황의 한시와 시조의 차이점 = 85
4.1. 제목, 작가와 화자의 거리, 화자와 대상의 관계 = 86
4.2. 연작구조에서의 유기성 문제 = 88
5. 이황과 대비해 본 이이의 한시와 시조 = 94
5.1. 이황과 이이의 공통점 = 96
5.2. 이황과 이이의 차이점 = 101
6. 16세기 이황과 이이를 통해 본 이 시기 전후의 한시와 시조의 상관성 = 110
4. 정철의 한시와 시조 비교 = 114
1. 작품 현황 및 선행연구 검토 = 114
2. 한시와 시조의 주제 비교 = 119
3. 한시와 시조에 나타난 ''사람'' 비교 = 126
3.1. 특정인 對 보편적인 인간으로의 확장 = 127
3.2. 작가와 시적 화자의 관계 = 130
4. 음성언어와 문자언어, 그리고 보편적 인간애의 표현 = 136
5. 결론 = 143
5. 허난설헌과 황진이의 한시와 국문시가의 상관성 = 147
1. 서론 = 147
2. 허난설헌의 한시와 국문시가의 상관성 = 151
2.1. 한시의 노래적 특성 지향 = 153
2.2. 한시에 나타난 다양한 화자 = 159
2.3. 한시 창작에 구비문학적 향유 방식 접목 = 162
3. 황진이의 한시와 시조의 상관성 = 165
3.1. 자유로운 생각의 표현 통로로서의 시조 = 166
3.2. 한시와 시조의 다양한 화자 = 171
4. 16세기 여성의 양층언어문학적 관점과 문식성 = 174
5. 결론 = 183
16-17세기
6.《악장가사》의 한문가요ㆍ현토가요ㆍ국문가요의 상관성 = 186
1. 이중언어문학 자료로서의《악장가사》 = 186
2.《악장가사》전체의 표기방식 개관 = 192
3. 표기매체ㆍ발화대상ㆍ작품내용의 상관관계 = 202
3.1. 한문가요 : 신(神)을 향한 찬양과 간구 = 202
3.2. 현토가요 : 임금(君)을 향한 찬양 = 211
3.3. 국문가요 : 발화대상의 확장(君臣男女)과 다양한 정서 표출 = 223
4. 국문가요ㆍ현토가요ㆍ한문가요에 나타난 양층언어문학성 = 231
17세기
7. 신흠의 한시와 시조 비교 = 237
1. 작품의 현황 및 선행연구 검토 = 237
2. 신흠의 양층언어문학관 : 한문과 국어, 한시와 시조, 시와 노래에 대한 관점 = 239
3. 노래 취향의 한시와 시조, 시조 한역(漢譯)의 비교 = 249
3.1. 자유로운 시형의 한시 : 풍체(風體), 악부체(樂府體), 잡체(雜體), 사(詞) = 250
3.2. 시조와 시조 한역 = 255
4. 절구와 시조의 세계관적 지향 : 규범적 세계관과 탈속적 세계관 = 262
5. 작가와 화자의 거리에 따른 절구의 사실성과 시조의 허구성 = 273
6. 신흠의 절구와 시조의 상관성이 가지는 문학사적 의미 = 286
8. 윤선도의 시조와 한시 비교 = 290
1. 작품 현황 및 선행연구 검토 = 290
2. 한시와 시조의 내용 비교 = 297
2.1. 전체적 비교 = 297
2.2. 한시와 시조의 공통 내용에서 나타나는 차이 : 서경성과 서정성 = 299
2.3. 7언 절구에서만 보이는 내용 : 개인적 가족사, 만사(挽詞), 일상사, 화답시 = 307
2.4. 시조에서만 보이는 내용 : 대민적(對民的) 교화시, 잔치의 유흥시 = 313
3. 시적 화자와 실제 작가의 거리 비교 = 316
3.1. 작가의 삶과 밀착된 사실적 기록으로서의 절구 = 317
3.2. 인명, 지명 등의 고유명사의 사용 양상 = 320
3.3. 임금에 대한 표현 = 324
4. 시조에 나타난 변화들 : 한시와 시조의 가까워진 거리 = 328
4.1. 시조 제목의 존재 및 양상 = 328
4.2. 시조의 부연설명에 나타난 작가의 목소리 = 330
4.3. 시조의 한역(漢譯)과 국ㆍ한문의 표기방식 = 335
5. 윤선도의 양층언어시가사적 위치 = 339
소결 : 조선 전ㆍ중기 한시와 국문시가의 상관성 = 346
9. 정훈의 시조와 한시 비교 = 354
1. 작품의 현황 및 선행연구 검토 = 354
2. 시조와 한시의 주제 비교 = 361
3. 시조와 한시의 등장인물, 시어, 형식 비교 = 368
3.1. 시조와 한시의 제재와 등장인물의 비교 : 자연과 사람을 다루는 비중의 변화 = 370
3.2. 시조에 나타난 시어 사용의 변화 : 고유명사, 대명사, 투어의 사용 양상 = 374
3.3. 한시에 나타난 형식과 시어 사용의 변화 = 377
4. 정훈의 시조와 한시가 가지는 양층언어시가사적 의미 = 380
10. 박인로의 시조와 한시 비교 = 385
1. 작품의 현황과 선행연구 검토 = 385
2. 시조와 7언 절구의 주제적 경향 비교 = 390
2.1. 개괄적 비교 = 390
2.2. 공통된 주제 영역의 비교 = 395
3. 시조에 나타난 ''읽는 시(詩)''의 특징 = 407
3.1. 제목의 양상 : 절구와 같은 방식의 시조 제목 = 407
3.2. 시조에서의 한문 문장식 표현 = 413
4. 한시에 나타난 구술성의 특징 = 414
4.1. 절구에서의 동일 운자(韻字) 반복 = 414
4.2. 구어성의 활용 : 대화체 한시와 허사(虛辭)의 빈번한 사용 = 420
5. 시조와 한시의 더 가까워진 거리 = 426
18세기
11. 권섭의 시조, 한시, 한역시의 비교 = 430
1. 권섭의 시조, 한시, 한역시의 개관 및 선행연구 검토 = 430
2. 주제, 제재 비교를 통해 본 시조와 한시의 가까워진 거리 = 436
2.1. 시조와 한시의 유사성 = 436
2.2. 유사성 내에서의 차이점 = 448
3. 시조의 시화(詩化) : 시조의 한시적 작시 경향 = 453
3.1. 영물(詠物)과 기록으로서의 시조 창작 = 453
3.2. 시조 제목에 나타난 변화와 표기 방식 = 457
3.3. 작가의 삶과 밀착된 시조 창작 경향과 화답시조 = 461
3.4. 시조에서의 한문구 사용 = 468
4. 시조의 반경 확대 = 472
4.1. 시조 구조의 파격적 변화와 한문구의 사용 = 472
4.2.〈황강구곡가〉에 나타난 국어의 위상 변화 = 476
5. 절구의 가화(歌化) : 절구에 국어시가의 접목 = 480
5.1. 우리말 발음의 활용과 시어의 중첩 = 481
5.2. 허자 사용과 7언 절구 형식의 파괴 = 485
5.3. 문답적 대화체와 교화성 = 488
5.4. 연작성(連作性)의 표지가 강한 절구 창작 = 493
6. 기녀 가련(可憐)과의 화답 연작 한역시에 나타난 양층언어 시가성 = 495
6.1. 기녀와 사대부 남성 간 화답의 한역시화(漢譯詩化) 배경 = 498
6.2. 한시와 시조 수창(酬唱)의 ''연작적 한역시''로의 재구성 = 500
6.3. 고전시가 수용 흔적과 시가사적 의미 = 512
7.〈고산구곡가〉의 국어시가와 한역시로의 수용 = 518
8. 권섭의 양층언어시가사적 위치 = 525
12. 황윤석의 시조, 한시, 한역시 비교 = 527
1. 작품의 현황 개관 = 527
2. 시조에 나타난 변화들 = 536
2.1. 연작적 구조가 약한 시조 창작 = 536
2.2. 자연 대상에서 사람 대상으로의 시조 창작 = 545
2.3. 연군시조에서의 표현적 변화 = 551
2.4. 교화성의 변화와 화자 지향성 = 555
2.5. 형식적 변화와 읽는 시로서의 특징 = 569
2.5.1. 행말(行末)의 명사적 종결과 허사(虛辭)의 탈락 = 569
2.5.2. 한문 어순의 한자구 사용 = 575
2.5.3. 평시조 정형성의 균열 = 577
2.6. 시조의 기록방식 = 581
3. 한시에 나타난 노래 지향적 특성 = 583
3.1. 교훈적(敎訓的) 한시의 노래적 특성 = 585
3.2. 연군(戀君) 한시와 여성적 화자(話者) = 592
3.3. 희작적(戱作的) 경향의 한시와 구술성(口述性) = 596
4. 국어시가의 한역(漢譯)에 나타난 ''한국고전시가''의 인식 = 598
4.1. 한역 양상 개관 = 598
4.2. ''古歌''에 대해서 = 602
4.3. ''新''飜에 대해서 = 606
4.3.1. 한시화(漢詩化)가 아닌 한역가(漢譯歌)로서의 장단구(長短句)로의 한역 = 607
4.3.2. 다양한 국어시가 갈래로의 한역 대상 확장 = 612
4.3.3. 고가(古歌)의 작가에 대한 새로운 평가로서의 한역 = 614
4.3.4. 원가(原歌)에 대한 기록들 : 가화(歌話)의 존재 및 내용 = 616
4.4. 한문과 국어의 언어 매체 차이, 기록방식 및 주제 = 620
4.5. 한국고전시가의 ''시''로서의 인식과 기록으로서의 한역 = 626
5. 한시의 노래화, 시조의 시(詩)로서의 인식과 기록 = 630
19세기
13. 이세보, 조황, 정현석을 통해 본 19세기의 한시와 국문시가의 상관성 = 633
1. 19세기 이중언어시인의 시조와 한시의 창작 양상 개관 = 633
2. 표기상의 특징 = 639
2.1. 기록매체로서의 국문(國文) = 639
2.2. 띄어쓰기와 구두점 = 646
3. 시조의 내용에 나타난 변화와 시(詩)로서의 시조의 위상 = 658
3.1. 시조 내용의 개괄적 검토 = 658
3.2. 중앙 관직시절의 시조 창작과 시조의 위상 변화 = 664
3.3. 애정시조의 작가와 화자의 분리 현상과 교화시조의 고백적 문체 = 670
3.4. 메타적 시조의 창작 = 678
4. 시조 형식의 해체에 나타난 시화(詩化)의 양상 = 683
4.1. 시조와 한시의 교섭 : 한시구, 긴 한문구의 빈번한 등장 = 683
4.2. 행말(行末)의 형태와 기록문학성 = 699
4.3. 작품 배열의 연속적 경향 : 가집 편집물의 기록문학적 성격 = 709
5. 근대 자유시로 가는 길목의 19세기 한시와 국문시가의 상관성 = 717
14. 고전시가에서 근대시로 : 요약 및 남은 과제들 = 721
출처 = 732
참고문헌 = 733
찾아보기 = 7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