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서문
Ⅰ. 서 론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2. 선행 연구 검토
1.2.1. 한국어 관형어에 대한 연구
1.2.2. 한국어와 중국어 관형어 대조에 대한 연구
1.3. 연구 대상 및 방법
1.3.1. 연구 대상
1.3.2. 연구 방법

Ⅱ. 이론적 배경
2.1. 한국어 관형어
2.1.1. 한국어 관형어의 개념과 특징
2.1.2. 한국어 관형어의 구성
2.2. 중국어 관형어
2.2.1. 중국어 관형어의 개념과 특징
2.2.2. 중국어 관형어의 구성

Ⅲ. 한국어 관형사 관형어의 중국어 대응 표현
3.1. 지시 관형사 관형어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3.1.1. 고유어 지시 관형사 관형어
3.1.2. 한자어 지시 관형사 관형어
3.2. 수 관형사 관형어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3.2.1. 고유어 수 관형사 관형어
3.2.2. 한자어 수 관형사 관형어
3.3. 성상 관형사 관형어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3.3.1. 고유어 성상 관형사 관형어
3.3.2. 한자어 성상 관형사 관형어
Ⅳ. 한국어 체언 관형어의 중국어 대응 표현
4.1. ‘체언+의’ 관형어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4.1.1. ‘N1의+N2’ 구성
4.1.2. ‘N1∅+N2’구성
4.1.3. ‘N1+N2’ 구성
4.2. ‘N—적’ 관형어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4.2.1. ‘N1-的N2’로 대응하는 경우
4.2.2. ‘N–X-的N2’로 대응하는 경우
4.2.3. ‘N1-ØN2’로 대응하는 경우
4.3. 관형명사 관형어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4.3.1. 동형동의 관형명사
4.3.2. 동형이의 관형명사
4.3.3. 동의이형 관형명사

Ⅴ. 한국어 용언 관형어의 중국어 대응 표현
5.1. 관형사형 어미 ‘-(으)ㄴ’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5.1.1. 동사 어간+‘-(으)ㄴ’형
5.1.2. 형용사 어간+‘-(으)ㄴ’형
5.1.3. ‘이-/아니-’+‘-(으)ㄴ’형
5.2. 관형사형 어미 ‘-는’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5.2.1. 동사 어간+‘-는’ 형
5.2.2. ‘있-/없-’+‘-는’ 형
5.3. 관형사형 어미 ‘-(으)ㄹ’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5.3.1. 동사 어간+‘-(으)ㄹ’ 형
5.3.2. ‘이-/아니-’+‘-(으)ㄹ’
5.4. 관형사형 어미 ‘-던/었던’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5.4.1. 동사 어간+‘-던/-었던’
5.4.2. 형용사 어간+‘-던/-었던’
5.4.3. ‘이-/아니-’+‘-던/었던’ 형

Ⅵ. 한국어 복합 관형어의 중국어 대응 표현
6.1. ‘관형사+관형사’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6.2. ‘관형사+체언 관형어’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6.3. ‘용언+관형사’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6.4. ‘체언 관형어+용언’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6.5. ‘용언+용언’에 대응하는 중국어 표현

Ⅶ. 결 론

참고문헌